항목
-
논어 학이편, 군자식무구포 거무구안 민어사이신어언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 敏於事而..원문 〈학이(學而)〉 군자는 배부르게 먹지 않고, 안일하게 살지 않으며, 일을 민첩하게 하고 말을 신중히 한다. 해설 배부르게 먹지 않고 적당한 식사는 오히려 정신을 맑게 하고, 적당한 가난은 생활을 건실하게 한다. 이런 청빈한 생활을 하면서 신중한 언행으로 남의 신임을 얻고 자기에게 맡겨진 일을 부지런히...
-
이창정 중번(仲蕃), 李昌庭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중번(仲蕃), 호는 화음(華陰) 또는 무구옹(無求翁). 이말(李煞)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경종(李慶宗)이고, 아버지는 정언(正言) 이주(李澍)이며, 어머니는 군수 사필(師弼)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3년(선조 36) 진사시에 합격하여 내시교관에 발탁되어 재행(才行)이 겸비되고...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73년(선조 6)
- 사망 :
- 1625년(인조 3)
- 경력 :
- 순천부사, 동래부사, 양주목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이괄의 난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
-
백분화 무구(無咎), 白賁華개설 본관은 남포(藍浦). 자는 무구(無咎). 호는 남양(南陽)·참선거사(參禪居士). 할아버지는 태복경 백사청(白司淸)이며, 아버지는 판비서성사 한림학사 지제고(判祕書省事翰林學士知制誥)백광신(白光臣)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198년(신종 1)에 국자감시(國子監試)에 합격하고 그 해 과거에 급제하였다. 1206년(희종...
- 시대 :
- 고려
- 출생 :
- 1180년(명종 10)
- 사망 :
- 1224년(고종 11)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남포(藍浦)
-
동령 청동방울, 銅鈴개설 방울이 달린 의기(儀器)로, 8개의 방울이 달린 팔주령(八珠鈴), 2개의 방울이 달린 쌍두령(雙頭鈴)과 가지 방울, 장대 위에 방울을 단 간두령(竿頭鈴)이라고 부르는 장대 투겁 방울 등이 있다. 끼우거나 달아매는 고리가 달려 있는데, 용도는 알 수 없으므로 주술 의기, 또는 제사 때 사용한 방울로 추정된다. 동령...
- 시대 :
- 선사/철기
- 성격 :
- 무구/청동방울
- 유형 :
- 유물
- 재질 :
- 청동
- 제작시기 :
- 초기철기시대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형주 무구(無垢), 泂珠내용 선사(禪師). 김해김씨(金海金氏). 자는 무구(無垢), 호는 백화(白華). 강서(江西 : 현재의 황해도 금천군) 출신. 어려서 어버이를 여의고 여러 곳을 돌아다니다가 황해도 구월산의 현관선사(玄寬禪師)를 은사로 삭발·수계(受戒)하였다. 그 뒤 금봉선사(金峯禪師)에게 경전을 배우고 그의 법을 이었다. 50여 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39년(인조 17)
- 사망 :
- 1720년(숙종 46)
- 유형 :
- 인물
- 직업 :
- 승려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본관 :
- 김해(金海)
-
무구정광대다라니경현존하는 목판 인쇄물 중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 1966년 석가탑 해체·복원공사를 진행하던 중 탑신부 제2층에 안치된 사리함 속에서 발견된 것으로, 통일신라 700년대 초에서 751년 사이에 '다라니경'이 출간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보 제126호로 현재 국립 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두루마리 1축이 6.6m×7m이다.
-
청동방울 청동령(靑銅鈴), 靑銅─개설 청동기시대 말기∼초기철기시대에 제사장 혹은 군장이 종교의례에 사용하였던 무구(巫具)로서 팔주령(八珠鈴), 쌍두령(雙頭鈴), 조합식쌍두령(組合式雙頭鈴), 간두령(竿頭鈴) 등이 있다. 내용 팔주령은 1쌍으로 직경 12㎝ 내외이다. 8개의 공 모양 방울이 한 가운데가 우묵한 몸체 주위로 돌아가며 부착한 것이다...
- 시대 :
- 선사/청동기 , 선사/철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최우순 무구(舞九), 崔宇淳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순구(舜九). 경상남도 고성 출신. 1910년 국권이 상실되자 분함을 참지 못하여 두문불출하고 눈물로 세월을 보내면서 마을사람들에게 우리나라의 역사를 가르쳤다. 1911년 일본헌병이 회유하기 위하여 은사금(恩賜金)을 전달하려 하였으나 끝까지 거부하였다. 일본헌병이 밤이...
- 시대 :
- 근대/개항기
- 출생 :
- 미상
- 사망 :
- 1911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열사(烈士)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전주(全州)
-
영기 令旗내용 원래는 군사상 군명을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던 작은 기였다. 농민 사이에서 쓰이는 영기는 약 60∼70㎝의 정방형의 작은 기이다. 남색의 비단천으로 기폭을 만드는데, 기폭 바탕에는 ‘令(영)’자를 붉은 글씨로 큼직하게 쓰거나 붉은 천으로 ‘令’자를 오려서 붙이거나 한다. 영기의 기폭 둘레에는 대농기...
- 시대 :
- 근대
- 성격 :
- 무구, 기(旗)
- 유형 :
- 유물
- 크기 :
- 약 60∼70㎝의 정방형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육군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