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외줄타기를 할 때 왜 장대를 들고 있나요?수평을 잡아 보았어요. 역시 예상대로 당근의 가운데가 아닌 곳에서 수평이 되었어요. 그래서 수평이 된 곳을 잘랐어요. 그런데 물체의 무게중심은 어디에 있나요? 무게중심 둥근 나무막대, 윷가락같이 왼쪽과 오른쪽의 모양이 같은 물체는 가운데를 자르면 양쪽의 무게가 똑같아요. 그러나 당근, 무, 주걱, 야구방망이...
- 분야 :
- 운동과 에너지
- 교과단원 :
- 초등 4학년 1학기 〈무게재기〉, 초등 6학년 2학기 〈에너지와 도구〉
-
공중으로 던졌을 때 망치는 왜 아래위로 도는가?공은 구형 대칭을 이룬다. 물체의 무게 중심은 무게의 평균점이라고 할 수 있다. 야구공에서는 모든 질량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므로 무게 중심은 공의 중심이 된다. 그러나 금속으로 된 머리 부분과 나무로 된 손잡이 부분을 가지고 있는 망치와 같은 물체의 경우에는 무게 중심이 중간에 위치하지 않는다. 더 많은...
-
무게 중심 한계 --中心限界, Center Of Gravity ..무게 중심(CG)의 범위. 안전한 비행을 위하여 항공기의 무게 중심은 비행중 무게 중심 한계 내에 있어야 한다. 종방향 한계(longitudinal : forward and backward limit)와 횡방향 한계(lateral : left and right limit)가 있다.
- 분야 :
- 항공
-
미처 몰랐던 홈런 타자의 비밀, 타자가 배트 무게를 늘릴 때타자에게 방망이는 자신의 생존과 직결되는 도구와 마찬가지다. 그리고 선수마다 각각 좋아하는 방망이 스타일이 있다. 박병호와 같은 거포 스타일은 무게 중심이 헤드 끝부분에 있는 무거운 방망이를 선호한다. 그런 방망이는 원심력을 최대한 이용하면서 회전하기에 장타를 만들어내는 데 적합하다. 손잡이 부분을...
-
물리를 배운 사람은 가방끈이 짧다쉬워진다. 흔히 끈을 짧게 하는 것을 간단히 지레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 사람을 비롯해 지상의 모든 물체는 쓰러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무게 중심의 수직선이 발 사이에 위치해야 한다. 사람의 경우 무게 중심은 발바닥으로부터 약 58%인 배꼽 근처에 있는데, 이 지점의 수직선이 발 사이에 위치...
-
근 斤지는 기장 1,200톨의 무게를 12수(銖)로 하고, 24수를 1량(兩), 16냥을 1근(斤), 30근을 1균(鈞), 4균을 1석(石)으로 한다’고 기록하고 있는 것을 통해 무게의 중심 단위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근의 단위는 중국 한대 이후부터 오늘날까지도 제도화하여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조선 초기 『경국대전』에 ‘황종관...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대한민국 과학자들의 한(恨)을 풀다… 쇄빙선 아라온호있다. 선체 앞머리를 최대 5m까지 들어 얼음을 짓눌러 깰 수도 있다. 아라온호의 바닥에는 300톤에 달하는 물을 싣고 있는데, 이 물을 옮겨 가며 배 자체의 무게중심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얼음을 깨기 위해서는 배 자체의 무게도 중요하기 때문에 다른 배보다 훨씬 무겁게 만들어졌다. 총 무게...
-
-
만유인력의 법칙 萬有引力法則, law of universal gravitation않던 마지막 퍼즐을 맞춰 이론을 성립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중력 지구와 물체 사이에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지구 시스템으로 지구가 물체를 지구 중심으로 잡아당기는 힘 때문에 중력가속도(g)가 생기게 되며, 물체의 무게와 마찬가지로 질량에 비례한다. 중력과 무게 : 지구가 질량을 가지고 있는 물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