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반부 군수(君秀), 潘阜
    가서 전함을 만들 공장(工匠)과 역도(役徒)를 징집하였는데, 마침 원나라(몽골)가 일본을 정벌하기 위해 전함 300척을 만들 것을 매우 독촉하던 중이었다. 그해 지병마사(知兵馬事) 나유(羅裕)와 박보(朴保)의 부사(副使)가 되어 제1차 일본원정(日本遠征)에 참전해 이키섬[壹岐島]을 함락하고 북구주(北九州)를...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명나라 영락제 즉위 명나라 전성기를 연 황제
    머물며 몽골족을 상대로 전쟁을 이끈 무인이었다. 그는 과거의 몽골제국에 지지 않는 세계 제국 건설을 꿈꿨다. 이에 다섯 차례에 걸친 몽골 원정을 비롯해 베트남을 침공하고 일본, 티베트 등으로부터 조공을 받는 등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폈다. 명나라의 위세는 영락제 때 크게 높아지지만, 잦은 대외 원정으로...
    시대 :
    1402년
    국가/대륙 :
    아시아
  • 충렬왕 고려 25대왕, 忠烈王
    버렸다. 나중에 투서가 무고임이 밝혀져 혐의를 벗었으나 김방경은 계속해서 모함을 받았다. 몽골의 지시를 받은 고려는 서찬을 사신으로 일본에 보냈으나 일본에서 피살되고 말았다. 이에 격분한 몽골은 대규모의 일본 원정을 준비했다. 충렬왕 6년에 고려의 합포에 몽골의 정동행성(政東行省)을 설치하고, 충렬왕을...
  • 충렬왕 충렬(忠烈), 忠烈王
    이듬해 원종이 사망하자 귀국해 왕위에 올랐다. 황실과의 통혼을 비롯한 몽골과의 관계는 충렬왕이 즉위 후 그간 무신 집권기를 거치며 약화된 국왕권을 재구축...받는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 즉위 년인 1274년(충렬왕 즉위년) 10월, 제1차 일본 원정이 실행되어 여원 연합군이 합포(合浦: 지금의 경상남도 마산)에서...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여원 연합군의 1차 일본 정벌 원나라의 일본 정복 야욕에 휘말리다
    독촉에 따라 감행된 여원 연합군의 1차 일본 정벌은 이렇게 마무리됐다. 1차 원정에 실패한 원나라는 1280년 2차 일본 정벌을 준비하기 위한 기구로 개경에 정동...5월, 여원 연합군은 마침내 다시 일본으로 향한다. 김방경의 고려군과 흔도와 홍다구의 몽골이군 및 한군을 합해 동로군(東路軍) 5만 명이 전함 900척에...
    시대 :
    1274년
  • 정동행성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 征東行省
    역시 애초의 군사적인 목적 이외에도 내지의 행성들과 마찬가지로 각종 속사(屬司)를 두면서 기능을 확대해 갔다. 이러한 경향은 쿠빌라이 사후에 몽골 제국이 일본 원정을 단념함에 따라 더욱 분명해졌다. 이후 정동행성 역시 군사 지원 업무는 더 이상 수행하지 않고, 일반적인 행성과 비슷하게 일상적인 행정 업무를...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제도/관청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몽골 제국 Mongol Empire, モンゴル帝国
    이끌고 몽골고원으로 가 아리크부카와 싸웠다. 초기에는 아리크부카에게 유리하였으나 보급로가 끊기고, 지지하던 차가타이 한국의 배신으로 패배, 4년 만인 1264년 8월 쿠빌라이에게 항복한다. 1266년 내전에서 쿠빌라이가 승리하였다. 그는 수도를 카라코룸에서 대도(현재의 베이징)로 옮기고 1271년 국호를 원으로...
    도서 위키백과
  • 여원연합군 여몽연합군(麗蒙聯合軍), 麗元聯合軍
    몽골의 흔도(忻都, 忽敦), 홍다구(洪茶丘) 등이 연합군 3군을 인솔하여 진도에 머물고 있는 삼별초를 공격하였다. 삼별초는 김통정(金通精)을 중심으로 탐라(제주도)로 병력을 옮겨 계속 대항하였다. 하지만 1273년 4월 28일전라도 병선 1백 60척과 육 · 해군 1만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탐라에 들어온 김방경, 흔도...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대몽 항쟁
    요구를 모두 수락하였다. 강화는 성립되었으나, 1264년(원종 5년) 몽골에서 친조를 요구하자, 무신들을 중심으로 반몽 여론이 다시 일어났다. 더욱이 몽골일본 원정을 위해 군대와 물자를 지원해 줄 것을 고려에 요구함에 이르러서는 반몽 여론이 크게 고조되어, 원종(元宗)을 중심으로 한 강화론과 충돌하게 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삼별초의 항쟁 삼별초의 난
    후 국왕 측근의 문신들이 몽골과 친선유대를 강화하여 왕권을 확고히 하는 동시에 무인들의 집권을 방지하려 한 데서 비롯된 무인들의 반발과, 몽골의 압력에 의한 일본원정 준비로 고려가 입는 막대한 피해와 희생도 항쟁의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이 항쟁에는 몽골에 대한 고려의 종속을 막자는 의도도 있었다. 1270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원나라 Yuan dynasty, 元 (王朝)
    폴로 등 수많은 서방의 여행자가 방문하고, 그 번영은 유럽에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강남의 항만도시에서는 해상무역이 융성하였고, 일본 원정을 통해 국교가 단절되었던 일본에서도 사적인 무역선 및 유학승의 방문이 끊이지 않아 어느 정도 교류가 지속되었다. 몽골은 남송을 정벌했으나 그 후 이루어진 군사원정은...
    도서 위키백과
  • 아쿠토 (일본사) 悪党, 惡黨
    계층 내부 또는 장원 지배 내부의 여러 모순은 일본 중세 사회의 유동화로 이어져 13세기 후반부터 악당의 활발화를 가져왔다. 게다가 같은 시기의 몽골의 일본 원정 역시 이러한 모순을 더욱 증대시켜 악당들의 활동을 더욱 활발하게 부추겼던 것이다. 외부에서 장원 지배에 침입하는 악당 외에 북방의 에조, 바다에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