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반부 군수(君秀), 潘阜가서 전함을 만들 공장(工匠)과 역도(役徒)를 징집하였는데, 마침 원나라(몽골)가 일본을 정벌하기 위해 전함 300척을 만들 것을 매우 독촉하던 중이었다. 그해 지병마사(知兵馬事) 나유(羅裕)와 박보(朴保)의 부사(副使)가 되어 제1차 일본원정(日本遠征)에 참전해 이키섬[壹岐島]을 함락하고 북구주(北九州)를...
- 시대 :
- 고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명나라 영락제 즉위 명나라 전성기를 연 황제머물며 몽골족을 상대로 전쟁을 이끈 무인이었다. 그는 과거의 몽골제국에 지지 않는 세계 제국 건설을 꿈꿨다. 이에 다섯 차례에 걸친 몽골 원정을 비롯해 베트남을 침공하고 일본, 티베트 등으로부터 조공을 받는 등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폈다. 명나라의 위세는 영락제 때 크게 높아지지만, 잦은 대외 원정으로...
- 시대 :
- 1402년
- 국가/대륙 :
- 아시아
-
-
충렬왕 충렬(忠烈), 忠烈王이듬해 원종이 사망하자 귀국해 왕위에 올랐다. 황실과의 통혼을 비롯한 몽골과의 관계는 충렬왕이 즉위 후 그간 무신 집권기를 거치며 약화된 국왕권을 재구축...받는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 즉위 년인 1274년(충렬왕 즉위년) 10월, 제1차 일본 원정이 실행되어 여원 연합군이 합포(合浦: 지금의 경상남도 마산)에서...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여원 연합군의 1차 일본 정벌 원나라의 일본 정복 야욕에 휘말리다독촉에 따라 감행된 여원 연합군의 1차 일본 정벌은 이렇게 마무리됐다. 1차 원정에 실패한 원나라는 1280년 2차 일본 정벌을 준비하기 위한 기구로 개경에 정동...5월, 여원 연합군은 마침내 다시 일본으로 향한다. 김방경의 고려군과 흔도와 홍다구의 몽골이군 및 한군을 합해 동로군(東路軍) 5만 명이 전함 900척에...
- 시대 :
- 1274년
-
정동행성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 征東行省역시 애초의 군사적인 목적 이외에도 내지의 행성들과 마찬가지로 각종 속사(屬司)를 두면서 기능을 확대해 갔다. 이러한 경향은 쿠빌라이 사후에 몽골 제국이 일본 원정을 단념함에 따라 더욱 분명해졌다. 이후 정동행성 역시 군사 지원 업무는 더 이상 수행하지 않고, 일반적인 행성과 비슷하게 일상적인 행정 업무를...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제도/관청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여원연합군 여몽연합군(麗蒙聯合軍), 麗元聯合軍과 몽골의 흔도(忻都, 忽敦), 홍다구(洪茶丘) 등이 연합군 3군을 인솔하여 진도에 머물고 있는 삼별초를 공격하였다. 삼별초는 김통정(金通精)을 중심으로 탐라(제주도)로 병력을 옮겨 계속 대항하였다. 하지만 1273년 4월 28일전라도 병선 1백 60척과 육 · 해군 1만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탐라에 들어온 김방경, 흔도...
- 시대 :
- 고려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