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극단적인 감정을 표현했던 음악계의 악동, 카를로 제수알도 Carlo Gesualdo처음으로 작품집을 출판했다. 1596년 그는 제수알도에 있는 자신의 영지로 돌아왔다. 이곳에서 그는 자신의 작품 중 제일 유명한 다섯 번째부터 일곱 번째 마드리갈곡집과 후기 종교곡을 썼다. 혼자 떨어져 살면서 가정 음악회를 주관하던 이 시기에 음악은 그의 삶의 중심이 되었다. 제수알도는 말년에 망상증에 걸려...
- 출생 :
- 1560년경
- 사망 :
- 1613년 09월 08일
- 국적 :
- 이탈리아
- 대표작 :
- 마드리갈 〈나는 고통 속에 죽어야 하네〉, 〈달콤한 내 인생〉 등
-
베스타 여신이 라트모스 언덕에서 내려올 때 토머스 윌크스, As Vesta was from Latmos hill descending《오리아나의 승리》에 수록된 가장 유명한 마드리갈 중 하나 《오리아나의 승리》는 1601년 토마스 몰리가 출판한 영국 마드리갈곡집으로, 몰리 자신을 포함하여 총 23명의 작곡가들이 만든 25곡의 마드리갈을 담고 있다. 이 선곡집에 담겨 있는 모든 마드리갈은 “아름다운 오리아나 만세(long live fair Oriana...
- 시대 :
- 르네상스
- 분류 :
- 고음악 > 르네상스 음악
- 작곡가 :
- 토머스 윌크스(Thomas Weelkes, 1576~1623)
- 출판 :
- 1601년
-
몬테베르디의 중기생애노래부르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베르트의 음악은 몬테베르디에게 즉각적인 영향을 끼쳤고, 몬테베르디가 만토바에서 일한 첫해에 출판한 다음의 마드리갈집에는 다소 불충분한 이해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긴 하지만 이러한 새로운 동향의 영향이 나타났다. 이것은 몬테베르디에게 있어서 완전한 방향전환을 뜻했다. 이...
-
몬테베르디의 초기생애외과의를 겸한 이발사이자 약사의 아들로 태어나, 크레모나 대성당의 음악 감독 마르칸토니오 인제녜리에게 음악을 배웠다. 인제녜리가 작곡한 교회음악과 마드리갈은 혁신적이지는 않아도 시대를 앞서갔던 1570년대 음악 양식으로 작곡된 작품들이다. 그의 조숙한 제자 몬테베르디는 10대에 이미 스승에 뒤지지 않는...
-
근대 오페라의 선구자,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Claudio Monteverdi현악기의 일종인 비올을 배웠으며, 크레모나 대성당의 소년성가대원으로 활약했다. 일찍이 작곡에도 소질을 보여 16살 때 교회용 마드리갈을 작곡했으며, 20살 때 첫 번째 마드리갈곡집을 내기도 했다. 22살 때인 1589년경, 직업을 구하고자 밀라노로 갔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1590년, 몬테베르디...
- 출생 :
- 1567년 05월 15일
- 사망 :
- 1643년 11월 29일
- 국적 :
- 이탈리아
- 대표작 :
- 오페라 〈오르페오〉, 〈포페아의 대관〉, 〈율리시즈의 귀향〉 등
-
르네상스 시대의 서양음악프로톨라(이탈리아어 가사에 붙인 단순한 수직화음 양식의 3·4성부 세속음악) 등 민족 양식이 발달했다. 이탈리아 북부 프로톨라의 발전에 이어 르네상스 마드리갈이 꽃피게 되었고, 이것은 전유럽에서 절대적인 인기를 누렸다. 성악음악과 더불어 독립적인 기악 어법이 발전하게 되었다. 기악은 물론 중세 이후 줄곧...
-
-
리날도 알레산드리니 Rinaldo Alessandrini16세기에서 18세기에 성행한 이탈리아의 음악을 연주하는 일에 주력했는데, 특히 창단 초 가장 큰 관심을 쏟았던 음악은 이탈리아의 전통적인 성악음악인 마드리갈이었다. 1984년 프란체스코 카발리의 오페라 〈칼리스토〉로 활동을 시작한 후 10년 동안은 몬테베르디의 마드리갈과 헨델의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 분류 :
- 연주자>지휘자
- 출생 :
- 1960년 1월 25일, 이탈리아 로마
- 경력 :
- 1984년~ 콘체르토 이탈리아노 설립 및 지휘
- 유형 :
- 지휘자, 바로크 건반주자
- 수상 :
- • 그라모폰상 • 프랑스 그랑프리 음반상 • 독일 레코드상 • 체칠리아 상 • 미뎀 상 • 디아파종 황금상
- 데뷔 :
- 1984년(지휘)
- 레퍼토리 :
- 16~18세기 이탈리아 음악, 특히 마드리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