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574. 3. 7, 잉글랜드 노퍽 디스에서 세례받음 |
---|---|
사망 | 1638. 9, 에식스 콜체스터 |
국적 | 잉글랜드, 영국 |
요약 영국의 작곡가.
당대 영국 최고의 마드리갈 작곡가 중의 한 사람이다.
부유한 농부이자 지주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음악적 재능이 뛰어나 지방유지 계층의 관심을 끌었고 이 지방 유지의 딸이 세인트에드먼즈에 있는 헨그레이브홀 근처에 사는 토머스 키트슨 경과 결혼하게 되자 윌비는 그곳에서 상주하는 음악가로 임명되었다(1595경). 키트슨가(家)는 1613년 그에게 커다란 양(羊) 목장을 빌려주는 등 극진한 대우를 해주었고 그무렵 디스와 베리를 비롯한 지방의 땅을 직접 소유하기까지 했다. 1628년 토머스의 미망인인 엘리자베스 키트슨 부인이 죽자 더이상 키트슨가의 후원을 받지 못하게 되었고 콜체스터에 있는 키트슨의 막내 딸 리버 부인 밑에서 일했다.
그의 명성은 주로 66곡의 마드리갈에서 비롯된 것이었지만, 이중 2곡만이 1598, 1609년에 각기 출판된 그의 〈영국 마드리갈 악파 The English Madrigal School〉(1913~24, E. H. 펠로스 편집) 중 제6·7권으로 재출판한 악보집을 통해 보전되었다. 그는 마드리갈 중에도 특히 당대 영국에서 그다지 흔하지 않던 '진지한' 곡들을 잘 썼다. 1580~1600년 인기를 누렸던 이탈리아 양식의 시인 필립 시드니 경, 에드먼드 스펜서의 '새로운 시'에 훌륭한 음악을 붙였다.
그는 당시의 다른 마드리갈 작곡가들에 비해 가사에 문학적 재능을 보였고, 그의 이러한 재능은 헨그레이브홀을 자주 방문한 시드니와의 만남을 통해 더욱 빛을 보게 되었다. 그밖에 이탈리아 시를 영어로 번역한 가사들에 음악을 붙이기도 했다.
윌비는 노랫말의 감정 내용을 곡 전체에 걸쳐 스며들도록 했고, 특히 사랑을 주제로 한 것이 많았다. 가급적이면 느낌의 급작스러운 대조나 변화를 피했고, 이로써 그의 마드리갈은 당시 영국 작품들에서 볼 수 없는 예술적 통일성을 이룰 수 있었다. 리듬의 대가였던 윌비는 뛰어난 시 감각으로 시의 강세와 음악적 강세를 잘 조화시켰다.
또한 〈Adieu, sweet Amaryllis〉, 이보다 좀더 복잡한 노래인 〈Draw on, sweet night〉 등에서는 동형진행이나 후렴구 및 주제 발전 등의 실험을 꾀했다. 〈Draw on, sweet night〉, 유명한 노래 〈Flora gave me fairest flowers〉·〈Sweet honey-sucking bees〉 등에서는 성악 앙상블 기법에 대한 기술적 면을 잘 보여주었는데, 특히 이 곡들에서는 성부의 숫자가 일정하게 지속되는 것이 아니라 상당한 시간 동안 전체 성부들 중 일부씩 소규모 편성을 이루면서 전체적인 짜임새의 변화를 꾀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음악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