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상아아세포 적신호는 절대로 놓치지 않는다, 象牙芽細胞
    치수의 표층에 질서정연하게 머물러 있다. 상아질은 치수에서 법랑질까지 상아세관(象牙細管)이라는 터널에 의해 뚫려 있다. 상아세관은 17세기 네덜란드의 레벤후크(Antony van Leeuwenhoek, 1632~1723)가 발견했다. 영국의 치과의사 S. J. 톰스(1856)는 상아질을 갈거나 부수어서 세관 안으로부터 섬유를 빼내어 그것...
    도서 누구나 세포 | 태그 세포
  • 현미경의 발달
    하나의 볼록렌즈 또는 렌즈계를 갖는 확대용 광학기구로 저배율의 단순한 확대경은 15세기 중엽에 이미 사용되었다. 그후 네덜란드의 현미경학자 A. 레벤후크에 의해 렌즈의 제조기술이 크게 향상되어 점차 높은 배율의 렌즈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1830년대에 색수차(chromatic aberration:각 파장의 색에 따른 굴절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골격근세포 스포츠 만능
    수천 개가 융합된 것이 이 골격근섬유라는 거대한 세포다(사진 1). 17세기에 네덜란드에서 수제 현미경(물방울렌즈)을 사용하여 정자와 적혈구 등을 발견한 레벤후크는 고래의 살점을 관찰하고 이것이 미세한 섬유의 집합체이며, 그 섬유의 표면에는 철사를 감은 듯한 줄무늬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9세기에 이르러...
    도서 누구나 세포 | 태그 세포
  • 세포설 細胞說
    1665년 로버트 훅은 죽은 코르크 조직을 묘사하면서 세포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이후 1673년 안톤 반 레벤후크가 적혈구·정자·미소동물들을 발견했다. 현미경의 발달과 함께 1833년 로버트 브라운이 식물세포에서 핵을 관찰했고, 핵이 동물세포에서도 관찰된다는 사실과 세포 내에서 원형질이라 불리는 물질...
    도서 다음백과
  • 밀슈타인 César Milstein
    1984년 게오르게스 쾰러, 닐스 K. 전과 함께 단일클론항체 개발에 관한 업적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는 학창시절 안토니 반 레벤후크와 루이 파스퇴르의 업적에 관한 책을 읽고 과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부에노스아이레스대학교를 다녔고 1960년에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출생 :
    1926. 10. 8, 아르헨티나 바이아블랑카
    사망 :
    2002. 3. 24, ?
    국적 :
    아르헨티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세균학 細菌學, bacteriology
    현미경의 호기심거리로서 알려져 있었다. 세균학은 현미경의 발달과 함께 시작되었고, 미생물을 최초로 관찰한 사람은 네덜란드의 박물학자인 안토니 반 레벤후크로서 1683년에 물·침 그밖의 다른 물질 등에 들어 있는 미소동물(animalcule)들에 대해 기술했다. 이들은 100~150배로 확대한 단순현미경으로 관찰되었으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생물
  • 왕립학회 王立學會, Royal Society
    페리어(데이비드 페리어 경, 1928) 강연 등이 있고, 이외에 과학사에 관한 윌킨스(J. D. 그리피스 데이비스, 1947) 강연과 몇 가지 미생물학 주제에 대한 레벤후크 강연(조지 갭, 1948), 그리고 1952년에 시작된 러더퍼드 경 기념강연이 있다. 현재 왕립학회에는 1,000명 이상의 회원과 90여 명에 이르는 외국인회원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말피기 조직학의 창시자
    모든 장기의 조직학적 구조를 연구했다. 그가 1661년 발표한 논문에서 허파의 모세혈관을 설명했는데, 이것이 하비의 혈액 순환설을 완성시켰다. 말피기는 레벤후크보다 먼저 1666년 볼로냐에서 『De polypo cordis』에 적혈구를 정확하게 기술하였고, 『De viscerum structura exercitatio anatomica』에서 콩팥소체를...
  • 형태학의 역사적 배경
    알아보기 위한 고전적인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동맥과 정맥 사이에 미세한 혈액이 흐르고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1668~80년에 네덜란드의 현미경학자 A. 레벤후크는 현미경을 이용하여 적혈구, 인간의 정자, 세균, 원생동물 등의 구조를 기재했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핵·인·염색체와 같은 세포의 내부구조와 체세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문
  • 세포설의 발달
    1665년 로버트 훅은 죽은 코르크 조직을 묘사하면서 세포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이후 1673년 안톤 반 레벤후크가 적혈구·정자·미소동물들을 발견하면서 단세포생물의 세계에 대한 관심이 열리기 시작했다. 이러한 발견들은 생물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주기는 했으나 그 저변에 존재하는 이들의 균일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미생물유전학 Microbial genetics
    것이 포함된다. 생성된 DNA는 숙주 유기체와 접촉하게 된다. 복제는 또한 유전 공학의 한 예이다. 1665년에서 1885년 사이에 로버트 훅과 안토니오 판 레벤후크가 미생물을 발견한 이후 미생물은 많은 과정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유전학의 다양한 연구 분야에 응용되었다. 예를 들어, 미생물의 빠른 성장 속도와...
    도서 위키백과
  • 감염병리학 感染病理學, infectious disease pathology
    신종플루,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등 신종 감염병의 등장으로 감염병리학의 연구 범위가 더 넓어지고 있다. 역사와 주요 학자 17세기 네덜란드 A. 레벤후크(Antony van Leeuwenhoek)가 현미경을 개발하면서 해부학, 병리학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고 미생물 관찰이 가능해졌다. 레벤후크는 현미경을 이용해 원생동물...
    분류 :
    의약학 > 병리학 > 감염병리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레벤후크(1632~1723년)
안토니 반 레벤호크(Antonie van Leeuwenhoek)
레벤후크 식물세포 그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