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스테도정6mg Austedo Tab. 6mg형태 보라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성분 Deutetrabenazine 듀테트라베나진 6mg 성분 별 약효 Deutetrabenazine : 신경계 질환 > 기타 신경계용 약물 > 기타 의약품 안전성 정보 병용 금기 Valbenazine : 두 약 모두 VMAT를 억제 효능 헌팅톤 무도병의 증상 개선 용법 1. 투여방법 이 약의 용량은 무도병 증상의 감소 및...
- 식약처 분류 :
- 기타의 중추신경용약 (119)
- 전문/일반 :
- 전문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한독테바
- 제형 :
- 정제
- 단일/복합 :
- 단일 성분
- 투여 경로 :
- 경구(내용고형)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빛과 습기를 피하여 보관
-
오스테도정9mg Austedo Tab. 9mg형태 파란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성분 Deutetrabenazine 듀테트라베나진 9mg 성분 별 약효 Deutetrabenazine : 신경계 질환 > 기타 신경계용 약물 > 기타 의약품 안전성 정보 병용 금기 Valbenazine : 두 약 모두 VMAT를 억제 효능 헌팅톤 무도병의 증상 개선 용법 1. 투여방법 이 약의 용량은 무도병 증상의 감소 및...
- 식약처 분류 :
- 기타의 중추신경용약 (119)
- 전문/일반 :
- 전문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한독테바
- 제형 :
- 정제
- 단일/복합 :
- 단일 성분
- 투여 경로 :
- 경구(내용고형)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빛과 습기를 피하여 보관
-
오스테도정 12mg Austedo Tab. 12mg성분/함량 1정 중 듀테트라베나진 12 mg (별규) 효능효과 헌팅톤 무도병의 증상 개선 용법용량 1. 투여방법 이 약의 용량은 무도병 증상의 감소 및 내약성을 바탕으로 하여 환자별로 개별적으로 결정한다. 테트라베나진(이 약과 관련 있는 VMAT2 억제제)에서 약물을 전환한 것이 아닌 환자에게 이 약을 처음 투여하는...
- 식약처 분류 :
- [01190]기타의 중추신경용약
- 전문/일반 :
- 전문의약품
- 약효 분류 :
- 신경계 작용약 > 운동장애 치료제 > 도파민 분비 억제제 > Vesicular monoamine transporter (VMAT) 2 inhibitor
- 제조/수입사 :
- (주)한독테바
- 성상 :
- 베이지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 제형 :
- 정제, 저작정
- 모양 :
- 원형
- 색상 :
- 분홍
- 식별표기 :
- SD12
- 투여 경로 :
- 내복제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빛과 습기를 피하여 보관
-
오스테도정 9mg Austedo Tab. 9mg성분/함량 1정 중 듀테트라베나진 9 mg (별규) 효능효과 헌팅톤 무도병의 증상 개선 용법용량 1. 투여방법 이 약의 용량은 무도병 증상의 감소 및 내약성을 바탕으로 하여 환자별로 개별적으로 결정한다. 테트라베나진(이 약과 관련 있는 VMAT2 억제제)에서 약물을 전환한 것이 아닌 환자에게 이 약을 처음 투여하는...
- 식약처 분류 :
- [01190]기타의 중추신경용약
- 전문/일반 :
- 전문의약품
- 약효 분류 :
- 신경계 작용약 > 운동장애 치료제 > 도파민 분비 억제제 > Vesicular monoamine transporter (VMAT) 2 inhibitor
- 제조/수입사 :
- (주)한독테바
- 성상 :
- 파란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 제형 :
- 정제, 저작정
- 모양 :
- 원형
- 색상 :
- 파랑
- 식별표기 :
- SD9
- 투여 경로 :
- 내복제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빛과 습기를 피하여 보관
-
오스테도정 6mg Austedo Tab. 6mg성분/함량 1정 중 듀테트라베나진 6 mg (별규) 효능효과 헌팅톤 무도병의 증상 개선 용법용량 1. 투여방법 이 약의 용량은 무도병 증상의 감소 및 내약성을 바탕으로 하여 환자별로 개별적으로 결정한다. 테트라베나진(이 약과 관련 있는 VMAT2 억제제)에서 약물을 전환한 것이 아닌 환자에게 이 약을 처음 투여하는...
- 식약처 분류 :
- [01190]기타의 중추신경용약
- 전문/일반 :
- 전문의약품
- 약효 분류 :
- 신경계 작용약 > 운동장애 치료제 > 도파민 분비 억제제 > Vesicular monoamine transporter (VMAT) 2 inhibitor
- 제조/수입사 :
- (주)한독테바
- 성상 :
- 보라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 제형 :
- 정제, 저작정
- 모양 :
- 원형
- 색상 :
- 보라
- 식별표기 :
- SD6
- 투여 경로 :
- 내복제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빛과 습기를 피하여 보관
-
실로도정 4mg Silodo Tab. 4mg성분/함량 1정 중 실로도신 4 mg (별규) 효능효과 전립선 비대증에 수반하는 배뇨장애 용법용량 성인에게 1회 4mg 1정을 1일 2회 아침, 저녁 식후 또는 1회 4mg 2정(8mg)을 1일 1회 식사와 함께 경구투여한다. 단, 신기능 장애 환자에서 실로도신의 혈장 중 농도가 상승하는 것이 보고되었고, 간기능 장애 환자도 혈장...
- 식약처 분류 :
- [02590]기타의 비뇨생식기관 및 항문용약
- 전문/일반 :
- 전문의약품
- 약효 분류 :
- 비뇨생식기계 작용약 >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 교감신경 억제제 > α1 adrenergic antagonist
- 제조/수입사 :
- (주)화이트생명과학
- 급여정보 :
- 삭제
- 성상 :
- 흰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 제형 :
- 정제, 저작정
- 투여 경로 :
- 내복제
- 보관방법 :
- 차광기밀용기, 실온(1~30℃)보관
-
약포사당 · 도정서원구명운동에 나섰다. 이순신에 대해서는 국가에 충성할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을 아뢰어 구원함으로써 왜란을 승리로 이끄는 데 기여했다. 도정서원 정탁을 기리는 도정서원(道正書院)은 1604년(인조 18)에 건립되었다. 1697년(숙종 23)에 유림과 후손들의 성금으로 강당을 건립한 후 도정서원으로 승격되었다. 정탁의...
- 소재지 :
-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강변로 417
- 지역 :
- 예천
-
-
실비도정 Silvido Tab.성분/함량 1정 중 아미노벤조산에틸 30 mg (KP) 카페인수화물 20 mg (KP)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2 mg (KP) 니코틴산아미드 20 mg (KP) 파파베린염산염 5 mg (KP) 리보플라빈 1 mg (KP) 티아민염산염 10 mg (KP) 노회 2 mg (생규) 효능효과 이명증 용법용량 성인 및 만 15세 이상 청소년: 1회 2-3정, 1일 3회 식사 후...
- 식약처 분류 :
- [01320]이비과용제
- 전문/일반 :
- 일반의약품
- 약효 분류 :
- 감각기관 작용약(코, 귀 및 이비과용) > 이명증 치료제 > 복합 혈관 확장제 > Ethylaminobenzoate, Nicotinamide & Others
- 제조/수입사 :
- (유)한풍제약
- 성상 :
- 고동색의 타원형 필름코팅정제
- 제형 :
- 정제, 저작정
- 모양 :
- 타원형
- 색상 :
- 갈색
- 식별표기 :
- GHS
- 투여 경로 :
- 내복제
- 보관방법 :
- 차광밀폐용기, 실온(1∼30℃)
-
실비도정 Silvido Tab.형태 고동색의 타원형 필름코팅정제 성분 Aloe 노회 2mg Caffeine Hydrate 카페인수화물 20mg Chlorpheniramine Maleate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2mg Ethyl Aminobenzoate 아미노벤조산에틸 30mg Nicotinamide 니코틴산아미드 20mg Papaverine Hydrochloride 파파베린염산염 5mg Riboflavin 리보플라빈 1mg Thiamine...
- 식약처 분류 :
- 이비과용제 (132)
- 전문/일반 :
- 일반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한풍제약
- 제형 :
- 정제
- 단일/복합 :
- 복합 성분
- 투여 경로 :
- 경구(내용고형)
- 보관방법 :
- 차광밀폐용기, 실온(1∼30℃)
-
-
쌀 rice단립형이 있다. 구조는 왕겨·과피·종피·호분층·배유 및 배아로 되어 있고, 종류로는 멥쌀과 찹쌀처럼 아밀로오스의 함량의 차이에 따라서 나누고, 또한 도정(搗精)의 정도에 따라서 현미·5분도미·7분도미·백미 등으로 분류한다. 산지에 따라서는 경기미·호남미·인천쌀 등으로 나누고 가공별로 강화미와 알파미...
- 분류 :
- 벼과
- 원산지 :
- 중국 남부, 미얀마, 타이, 인도 동부
- 성격 :
- 식물, 곡물
- 유형 :
- 동식물
- 분야 :
- 과학/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