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종서 장군 묘 金宗瑞 將軍 墓개설 묘역에는 입구 주변에 관리사, 신도비, 홍살문 등이 있고, 묘소로 가는 길에 김종서와 그의 아들 김승규의 명정 현판을 모신 정려각이 있다. 그 외에 묘소에는 문인석, 동자석, 장명등, 망주석 등의 석물과 묘비 3기가 있다. 1977년 1월 6일에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12월 31일에 세종특별자치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고려사절요 高麗史節要저자 및 편자 1452년(문종 2) 2월 김종서(金宗瑞) 등 모두 28명의 춘추관(春秋館) 수사관(修史官)에 의해 편찬되었다. 이중 정인지(鄭麟趾), 김종서 등 21명은 『고려사(高麗史)』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 책은 『고려사』가 완성된 시기로부터 약 5개월여 만에 완성되었다. 『고려사』 편찬을 통해서 얻은 경험이 토대가...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수양대군과 한명회, 정권을 차지하다, 계유정난 癸酉靖難배경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으로 권력을 잡은 이방원이 태종으로 즉위하다. 1433년 함길도 관찰사 김종서가 여진족을 제압하다. 1452년 문종이 타계하고 단종이 왕위에 오르다. 설명 세종이 죽은 뒤 조선 왕실은 다시 한 번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든다. 세종의 장남 문종(文宗, 재위 1450~1452)이 병약하여 재위 2...
- 시대 :
- 1453년
-
수양대군의 계유정란노리게 되었다. 이러한 수양대군에게도 만만치 않은 존재가 있었으니, 그것은 단종을 보필하고 있는 고명을 받은 대신들, 그 중에서도 좌의정 지위에 있는 김종서였다. 그는 수양대군이 대사를 추진해나가는 데 있어서 가장 장애가 되는, 실로 수양대군에게 가시와 같은 존재인 동시에 제일 먼저 제거하지 않으면 안 될...
-
4군 6진과 국토 확장조금도 줄일 수 없다”고 선언하며 강경하게 대처할 것임을 표명했다. 1433년 여진족의 큰 세력이었던 우디거족과 오도리족 사이에 내분이 일어나자 세종은 김종서를 함경도 도절제사에 임명하여 여진정벌을 단행하였다. 김종서는 이 지역의 여진족을 공격하여 종성, 온성, 회령, 경원, 경흥, 부령에 6진을 개척하였다...
- 시대 :
- 15세기 전반
-
Kim Jong Seo Ⅴ Kim Jong Seo Ⅴ음반 정보 《Kim Jong Seo Ⅴ》는 김종서의 5집 정규 앨범이다. 정통 록 그룹을 표방하며 라이브 사운드를 최대한 살리는 녹음 방식을 택하였다. 4명의 밴드 구성원 모두가 작사, 작곡에 참여했다. 〈추락천사〉는 획일적 교육 현실을 비판했고, 〈아름다운 구속〉은 비틀즈 당시의 녹음 방식으로 화제를 모았다.도서 위키백과
-
계유정난 癸酉靖難위치에서 다만 내사(內事)를 돕는 일에만 관여할 뿐이었다. 때문에 모든 정치적 권력은 문종의 유명을 받은 이른바 고명대신(顧命大臣) 황보인(皇甫仁) · 김종서(金宗瑞) 등이 잡고 있었다. 세종과 소헌왕후(昭憲王后) 사이에 출생한 적자(嫡子)는 문종 외에도 수양(首陽) · 안평(安平) · 임영(臨瀛) · 광평(廣平...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단종과 사육신 단종공의온문순정안장경순돈효대왕, 端宗세종 30년인 1448년 왕세손에, 1450년 문종이 즉위한 후 세자에 책봉되었다. 문종은 자신이 병약하고 세자가 어린 것을 염려하여 영의정 황보인, 우의정 김종서 등과 집현전의 학사인 성삼문·박팽년·신숙주 등에게 잘 보필해 줄 것을 당부했다. 1452년 5월, 문종의 뒤를 이은 단종이 12살의 나이에 왕위에 오르자...
- 시대 :
- 1452년~1457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