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종서 장군 묘 金宗瑞 將軍 墓
    개설 묘역에는 입구 주변에 관리사, 신도비, 홍살문 등이 있고, 묘소로 가는 길에 김종서와 그의 아들 김승규의 명정 현판을 모신 정려각이 있다. 그 외에 묘소에는 문인석, 동자석, 장명등, 망주석 등의 석물과 묘비 3기가 있다. 1977년 1월 6일에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12월 31일에 세종특별자치시...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김종서 장군 묘
    조선 단종 때의 충신인 절재(節齋) 김종서(1383~1453) 장군의 묘소이다. 태종 5년(1405) 문과에 급제한 후 함길도 도절제사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세종 16년(1434)에 6진을 개척하여 국토 확장의 위업을 이룩하여 현재 두만강을 경계로 하는 우리나라의 국경선이 이때에 확정되었다. 또한, 그는 「고려사...
    위치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문화재 지정 :
    [김종서 장군 묘]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2호(2012.12.31 지정)
  • 고려사절요 高麗史節要
    저자 및 편자 1452년(문종 2) 2월 김종서(金宗瑞) 등 모두 28명의 춘추관(春秋館) 수사관(修史官)에 의해 편찬되었다. 이중 정인지(鄭麟趾), 김종서 등 21명은 『고려사(高麗史)』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 책은 『고려사』가 완성된 시기로부터 약 5개월여 만에 완성되었다. 『고려사』 편찬을 통해서 얻은 경험이 토대가...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수양대군과 한명회, 정권을 차지하다, 계유정난 癸酉靖難
    배경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으로 권력을 잡은 이방원이 태종으로 즉위하다. 1433년 함길도 관찰사 김종서가 여진족을 제압하다. 1452년 문종이 타계하고 단종이 왕위에 오르다. 설명 세종이 죽은 뒤 조선 왕실은 다시 한 번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든다. 세종의 장남 문종(文宗, 재위 1450~1452)이 병약하여 재위 2...
    시대 :
    1453년
  • 수양대군의 계유정란
    노리게 되었다. 이러한 수양대군에게도 만만치 않은 존재가 있었으니, 그것은 단종을 보필하고 있는 고명을 받은 대신들, 그 중에서도 좌의정 지위에 있는 김종서였다. 그는 수양대군이 대사를 추진해나가는 데 있어서 가장 장애가 되는, 실로 수양대군에게 가시와 같은 존재인 동시에 제일 먼저 제거하지 않으면 안 될...
  • 4군 6진과 국토 확장
    조금도 줄일 수 없다”고 선언하며 강경하게 대처할 것임을 표명했다. 1433년 여진족의 큰 세력이었던 우디거족과 오도리족 사이에 내분이 일어나자 세종은 김종서를 함경도 도절제사에 임명하여 여진정벌을 단행하였다. 김종서는 이 지역의 여진족을 공격하여 종성, 온성, 회령, 경원, 경흥, 부령에 6진을 개척하였다...
    시대 :
    15세기 전반
  • 김종서 장군 묘
    문화재 정보김종서 장군 묘(金宗瑞 將軍 墓)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 있는 시대의 무덤이다. 2012년 12월 31일 세종특별자치시의 기념물 제2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초기의 정승인 김종서(1383-1453)의 무덤이다. 장군은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에서 출생한 것으로 전해지며, 세종 때에 6진 개척의 위업을 이루었고...
    도서 위키백과
  • Kim Jong Seo Ⅴ Kim Jong Seo Ⅴ
    음반 정보 《Kim Jong Seo Ⅴ》는 김종서의 5집 정규 앨범이다. 정통 록 그룹을 표방하며 라이브 사운드를 최대한 살리는 녹음 방식을 택하였다. 4명의 밴드 구성원 모두가 작사, 작곡에 참여했다. 〈추락천사〉는 획일적 교육 현실을 비판했고, 〈아름다운 구속〉은 비틀즈 당시의 녹음 방식으로 화제를 모았다.
    도서 위키백과
  • 계유정난 癸酉靖難
    안평대군(安平大君)을 중심으로 김종서(金宗瑞)·황보인(皇甫仁) 등이 반역을 모의한 것을 평정했다는 명목으로 정난이라는 말을 붙였으나 실상은 수양대군이 왕이 되려는 야심에서 이들을 제거한 정변으로, 이 해가 계유년이어서 계유정난이라 한다. 1452년 즉위할 때 단종의 나이는 12세에 지나지 않았으나, 당시로는...
  • 계유정난 癸酉靖難
    위치에서 다만 내사(內事)를 돕는 일에만 관여할 뿐이었다. 때문에 모든 정치적 권력은 문종의 유명을 받은 이른바 고명대신(顧命大臣) 황보인(皇甫仁) · 김종서(金宗瑞) 등이 잡고 있었다. 세종과 소헌왕후(昭憲王后) 사이에 출생한 적자(嫡子)는 문종 외에도 수양(首陽) · 안평(安平) · 임영(臨瀛) · 광평(廣平...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단종과 사육신 단종공의온문순정안장경순돈효대왕, 端宗
    세종 30년인 1448년 왕세손에, 1450년 문종이 즉위한 후 세자에 책봉되었다. 문종은 자신이 병약하고 세자가 어린 것을 염려하여 영의정 황보인, 우의정 김종서 등과 집현전의 학사인 성삼문·박팽년·신숙주 등에게 잘 보필해 줄 것을 당부했다. 1452년 5월, 문종의 뒤를 이은 단종이 12살의 나이에 왕위에 오르자...
    시대 :
    1452년~1457년
  • 생육신 生六臣
    발언권은 강해질 수밖에 없었다. 얼마 후 세종이 죽자 집현전을 중심으로 한 신하들의 활동은 더욱 활발해졌다. 그런데 세종에 이어 즉위한 문종도 곧 죽자, 김종서·황보인 등 세종 이래의 유신들이 재상이 되어 정치운영을 독점하게 되었다. 말하자면 소수의 재상이 전권을 독단하는 현상을 초래하게 되어, 많은 신하...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7건

김종서 장군 묘
김종서(金宗瑞)
김종서 장군의 묘
북관유적도첩-야연사준도
〈야연사준도〉
김종서 생가터
김종서 유묵
김종서유허지
제승방략 / 김종서
제승방략 / 김종서
제승방략 / 김종서
김종서 vs 세조
김종서장군묘
김종서장군묘
김종서 장군의 묘역
비해당소상팔경시첩 김종서 시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