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영하 (1878년)인물 정보 김영하(金榮夏, 1878년 9월 19일 ~ 1920년 4월 1일)는 김용상 (1858년) 선생의 제자이자 조카로서 경술국치 이후 대한의 국권회복을 위해 1917년 전남 일대의 자산가들을 대상으로 독립운동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던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다. 경술국치 이후 국권회복을 위해 기회를 모색하던 중 1917년...도서 위키백과
-
Kim Young-ha 김영하 (소설가), 金英夏Kim Young-ha is a modern South Korean writer.Author Database: Yi Mun-yol - LTI Korea http://eng.klti.or.kr/ke_04_03_011.do Life Kim was born in Hwacheon on November 11, 1968. He moved from place to place as a child, since his father was in the military. As a child, he suffered from gas poisoning...출처 영어 위키백과
-
검은꽃것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전투가 점차 잦아들면서 과테말라 정부군의 대대적인 소탕 작전으로 인해 한인 대부분은 전사하고 말았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김영하의 초기 작품인『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이후에 본격적으로 쓴 첫 장편 소설이다. 멕시코 최초의 한인 이민자들이 겪었던 고단한 삶을 다룬 역사...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영하
- 창작/발표시기 :
- 2003년
- 성격 :
- 문학, 현대문학, 장편소설
- 유형 :
- 작품
- 크기 :
- 국판
- 권수/책수 :
- 356쪽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문학동네 文學동네만한 시인들을 집중 분석하였다. ‘장편소설 연재’를 꾸준히 기획하여 신경숙의 「외딴 방」, 은희경의 「비밀과 거짓말」, 천운영의 「잘 가라 서커스」, 김영하의 「빛의 제국」, 박범신의 「고산자」외에 최윤, 이윤기, 김훈, 성석제, 박민규 등의 장편소설을 발굴했다. 해외작가들도 꾸준히 소개하였다. 무라카미...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류보선, 남진우, 서영채, 황종연, 신수정, 신형철, 이문재, 차미령, 김홍중
- 창작/발표시기 :
- 1994년 겨울(창간)
- 성격 :
- 잡지, 계간문예잡지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문학동네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김정환 중민(仲敏), 金政煥인적 사항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자는 중민(仲敏), 호는 경무(耕無)이다. 1878년 8월 2일 충청북도 보은군에서 태어났고, 아버지는 김영하(金榮夏)이다. 주요 활동 1910년 국권이 일제에 피탈(被奪)되자 가사를 정리하고 충청북도 청원군 낭성면의 유학자인 족형(族兄) 김제환(金濟煥)을 찾아갔다. 둘은 항일의 길에...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후기 모더니즘 (포스트 모더니즘) postmodernism기승전결의 구성을 따르지 않거나, 열린 결말을 통해 독자의 상상력의 범주를 무한히 확대시키기도 했다. 한국의 문학에서는 특히 90년대 신세대 소설가들에 의해 그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난다. 장정일, 하일지, 하재봉에 의해 시도된 포스트모더니즘은 윤대녕, 구효서, 은희경, 김영하 등에 의해 세련되게 나타난다...도서 다음백과
-
채등진곧 1910년 4월에 채등진은 국민회 치와와경찰소를 설립하였다. 경찰원과 서기는 채등진이 맡았고, 재무는 설종석, 총무는 황두용, 구제원은 이경재, 사찰은 김영하, 간사는 김봉학 등이 임명되었다. 채등진은 5월에 미국 샌프란시스코 북미지방총회(北美地方總會)에 청원하여 지방회로 정식 인준을 받았다. 임원에는...
- 시대 :
- 근대/개항기
- 경력 :
- 멕시코 국민회 치와와지방회 회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교민
- 성별 :
- 남자
- 분야 :
- 역사/근대사
-
정동근 鄭東根생애 및 활동사항 전라남도 나주 출신. 일제에 의한 국권침탈 이후 국권회복에 뜻을 품고 1917년 김교락(金敎洛)·문재교(文在敎)·김영하(金榮夏)·양재홍(梁在鴻)·고성후(高成厚) 등과 동지적 결합을 이룬 뒤, 나주·함평·화순·순천 등 주로 전라남도지역에서 자산가를 대상으로 군자금 모집활동을 하였다. 그 뒤...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867년(고종 4)
- 사망 :
- 1945년
- 경력 :
- 건국포장, 애국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양재홍 梁在鴻생애 및 활동사항 전라남도 화순 출신.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국권회복에 뜻을 품고 1917년 김교락(金敎洛)·정동근(鄭東根)·문재교(文在敎)·김영하(金榮夏)·고성후(高成厚) 등과 동지적 결합을 이룬 뒤, 나주·함평·화순·순천 등 주로 전라남도 지역에서 자산가를 대상으로 군자금모금활동을 폈다. 그뒤 약 1...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81년(고종 18)
- 사망 :
- 미상
- 경력 :
- 건국포장, 애국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