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영하 도시적 감수성을 냉정한 시선으로 담아내는 작가기발하고 만화적인 상상력, 인간소외, 죽음, 사이버 시대의 일상성 등을 다룬 묵직한 주제들, 소설의 전통적 원칙을 파괴하는 도전성, 자학과 조롱에 섞여 드는 번뜩임 등으로 가장 주목 받는 젊은 작가 중 한 명이 되었다. 보편성을 담보하는 소설의 주제의식과 트렌디한 소재를 통해 동시대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저...
- 출생 :
- 1968년 11월 11일
- 국적 :
- 대한민국
- 대표작 :
- 검은 꽃, 퀴즈쇼, 오빠가 돌아왔다, 살인자의 기억법, 보다
- 수상 :
- 2012년 이상문학상
-
-
199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영하 영상 문화 시대의 이야기꾼“영상 문화와 가상 현실의 시대를 사는 이미지 세대의 이야기꾼”이라는 평가를 받아온 김영하(金英夏, 1968~ )는 1990년대 컴퓨터 시대의 작가다. 김영하는 컴퓨터 통신망에 소설을 띄우는 사이버 작가로 활동을 시작하고, 소설가로서는 드물게 자신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열어 독자들과 소통하는 작가다. 이 세대의 작...
- 출생 :
- 1968년
-
김영하 金榮夏일제강점기 나주 등지에서 독립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생애 및 활동사항 전라남도 화순 출신. 1917년 5월경 정동근(鄭東根)·양재홍(梁在鴻)·김교락(金敎洛)과 함께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며, 군자금을 모금하여 해외에 있는 독립운동가들에게 보내기로 결의하였다. 같은 해 7월 동지들과 함께 전라...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78년(고종 15)
- 사망 :
- 1920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김영하 金永河함경남도 원산부(元山府) 출신이다. 일제의 「불령단 참의부(參議部)의 근황보고」 라는 보고문서에 의하면, 1926년 당시 21세로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1920년부터 활동 행적이 나오고 있어, 역산하면 15세부터 민족운동에 참여한 것이 된다. 가족관계와 성장과정 등은 자료의 한계 상 알기 어렵다. 1920년 북간도(北間...
- 출생 :
- 미상, 함경남도 원산(元山)
- 사망 :
- 미상
- 관련 사건 :
- 위원군 화창면 주재소 공격, 위원군 봉산면 고각동 전투
- 주요활동 :
- 간도 대한국민회 지회 부회장, 참의부소속 유격대원으로 평북 위원군에서 일제의 주재소 습격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간도 대한국민회, 대한적십자회, 참의부
-
김영하 금해영치, 金永河1919년 3월 3일 경상북도 영주군(榮州郡) 순흥면(順興面) 석교리(石橋里)에서 태어났다. 창씨명은 금해영치(金海永治)이다.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 재학 중인 1939년 항일결사 조선학생동지회(朝鮮學生同志會)를 결성하고 활동하였다. 연희전문학교에 재학 중이던 1939년 12월 서울 사직동(社稷洞)에 있던 도정궁(...
- 출생 :
- 1919년 3월 3일, 경상북도 영주(榮州)
- 사망 :
- 2015년 5월 24일
- 관련 사건 :
- 1942년 학생시위운동
- 주요활동 :
- 1939~1941년 조선학생동지회 경상도 책임자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조선학생동지회, 원산상업학교
-
김영하 중선, 金榮夏본관은 진주, 호는 송정(松亭), 자는 중선(重先)이다. 회헌공파 41대손으로 1878년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道岩面) 도장리(道莊里)에서 아버지 김노상과 어머니 밀양 박씨 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김용상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독립사상을 고취하였다. 김용상은 회헌공파 40대손으로 그의 집안 아저씨로 전남 ...
- 출생 :
- 1878년 9월 19일, 전라남도 화순(和順)
- 사망 :
- 1920년 4월 1일
- 본관 :
- 진주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대한광복단
-
김영하 金永夏1884년 5월 15일 경기도 양주군(楊州郡)에서 태어났다. 1919년 당시 경기 양주군 미금면(渼金面) 평내리(坪內里)에 거주하며 농업에 종사하였다. 3월 13~14일에 전개된 미금면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가 붙잡혀 고초를 겪었다. 1919년 3월 13일 밤 양주군 미금면 평내리의 구장이었던 이승익(李昇翼)은 마을 주민들을 주...
- 출생 :
- 1884년 5월 15일, 경기도 양주(楊州)
- 사망 :
- 미상
- 관련 사건 :
- 미금면 만세시위
- 주요활동 :
- 1919년 3월 13일, 14일 양주군 미금면 만세시위 참여
- 포상훈격 :
- 2011년 건국포장
-
김영하 金永夏1897년 10월 1일 경기도 안성군(安城郡, 현 안성시) 양성면(陽城面) 도곡리(桃谷里)에서 태어났다. 1919년 당시 농업에 종사하였고, 4월 1일과 2일 안성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1919년 4월 1일 안성군 양성면에서는 이희봉(李熙鳳)이 “각지에서 만세를 부르니 오늘 저녁 모여 일제히 만세를 부르자”고 주...
- 출생 :
- 1897년 10월 1일, 경기도 안성(安城)
- 사망 :
- 1978년 2월 10일
- 관련 사건 :
- 안성군 양성면 ・ 원곡면 만세시위
- 주요활동 :
- 1919년 4월 1일 안성군 양성면, 4월 2일 원곡면 만세시위 참여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김영하 金永河평안북도 벽동군(碧潼郡) 출신이다. 자료에 의하면 1888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1921년 서로군정서 의용군 대원으로 활동하다가 일제 경찰에 살해되었다. 벽동군은 평안북도 최북단에 위치한 곳으로,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맞닿아 있는 지역이다. 만주로 건너간 시기 등은 알려지지 않으며, 동향인 김홍수(金洪...
- 출생 :
- 1888년, 평안북도 벽동(碧潼)
- 사망 :
- 1921년 1월 27일
- 주요활동 :
- 서로군정서 의용군 대원으로 항일활동 전개
- 포상훈격 :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서로군정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