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긴엄지굽힘근
    긴엄지굽힘근 또는 장무지굴근은 다음을 가리킬 수 있다. 긴엄지굽힘근 (손)(flexor pollicis longus muscle) 긴엄지굽힘근 (발)(flexor hallucis longus muscle)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짧은엄지굽힘근
    짧은엄지굽힘근 또는 단무지굴근은 다음을 가리킬 수 있다. 짧은엄지굽힘근 (손)(flexor pollicis brevis) 짧은엄지굽힘근 (발)(flexor hallucis brevis)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짧은새끼굽힘근 Flexor digiti minimi brevis
    짧은새끼굽힘근(flexor digiti minimi brevis muscle) 또는 단소지굴근은 다음을 가리킬 수 있다. 짧은새끼굽힘근 (손) 짧은새끼굽힘근 (발)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굽힘근지지띠 Flexor retinaculum
    굽힘근지지띠(flexor retinaculum) 또는 굴근지대(屈筋支帶)는 다음을 가리킬 수 있다. 굽힘근지지띠 (발) 굽힘근지지띠 (손)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노쪽손목굽힘근 Flexor carpi radialis muscle, 橈側手根屈筋
    굴근(橈側手根屈筋)은 사람 아래팔앞칸 얕은층의 근육으로, 손을 굽히고 벌리는 작용을 한다. 노쪽손목굽힘근은 아래팔앞칸 얕은층에 위치하는 근육이다. 온굽힘근힘줄의 일부로서 위팔뼈의 안쪽위관절융기에서 기시한다. 이는곳에서 노쪽손목굽힘근의 가쪽에는 원엎침근, 안쪽에는 긴손바닥근, 깊은쪽에는 얕은손가락...
    도서 위키백과
  • 자쪽손목굽힘근 Flexor carpi ulnaris muscle, 尺側手根屈筋
    수축했을 때 손목관절의 굽힘과 모음을 일으킨다. 자쪽손목굽힘근은 위팔갈래(humeral head)와 자갈래(ulnar head), 두 갈래로 일어난다. 위팔갈래는 온굽힘근힘줄을 통해 위팔뼈의 안쪽위관절융기에서 기시한다. 자갈래는 자뼈의 팔꿈치머리 안쪽 모서리에서 온굽힘근힘줄을 형성하면서, 그리고 자뼈 뒷면의 위쪽 frac...
    도서 위키백과
  • 다중시냅스 반사 척수, 뇌간, 대뇌피질에서 일어나다
    운동신호가 전달되어 뇌간 운동핵과 척수 운동회로로 전파되어 최종적으로 골격근의 수축으로 의도적 운동을 하게 됩니다. 팔과 다리의 움직임은 폄근과 굽힘근이 교대로 활성화됩니다. 상호교번으로 동작하는 근육은 폄근과 굽힘근이 상호억제하는 신경의 조절작용을 받지요. 상호억제신경연결로 자동적 교번동작을...
  • 손목굴 Carpal tunnel, 手根管
    손목터널(carpal tunnel, carpal canal) 또는 수근관(手根管)은 손목의 손바닥 쪽에 위치하여 아래팔과 손을 잇는 통로이다.서적 인용 손목굴은 손목뼈와 굽힘근지지띠에 의해 경계가 지어진다. 정상적으로는 아래팔 근육 중 굽힘근에 해당하는 여러 근육들의 힘줄과 정중신경이 손목굴을 통과한다. 정중동맥이...
    도서 위키백과
  • 벌레근 (손) Lumbricals of the hand, 虫様筋
    양손에 각각 네 개씩 존재하는, 작은 벌레 모양의 근육이다. 벌레근이 특이한 점은 뼈에 붙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신 벌레근은 몸쪽에서는 깊은손가락굽힘근 힘줄에서 기시하며, 셋째와 넷째 벌레근은 깃근육(bipennate)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벌레근의 이는곳과 닿는곳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번호 형태...
    도서 위키백과
  • 골격과 근육, 손의 골격과 근육 가장 복잡한 움직임을 하는 기관
    손의 근육은 손가락과 손바닥 하나하나의 뼈에 붙어 있는 것과 팔부터 이어진 근육이 있다. 근육의 끝에는 힘줄이 있으며 힘줄은 손목에 있는 폄근지지띠, 굽힘근지지띠라는 인대로 묶여 있다. 손은 이런 복잡한 구조로 손가락 하나하나를 움직이고, 사물을 잡거나 섬세한 움직임을 할 수 있다. 팔 구조 팔은 상완골...
    참고 :
    손가락을 삐어서 말절골의 일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박리골절이 되면 손가락 끝이 굽어진 채 다시 펴지지 않기도 한다.
  • 정강신경 Tibial nerve, 脛骨神経
    발목의 뒤안쪽 측면에 이르는데, 이 지점은 발꿈치뼈의 안쪽결절과 안쪽복사 사이의 중간 지점이다. 정강신경이 끝나는 곳은 엄지벌림근의 이는곳으로, 굽힘근지지띠보다 깊은쪽이다. 이곳에서 정강신경은 발에 분포하는 안쪽발바닥신경과 가쪽발바닥신경으로 나누어지며 끝난다. 종아리뒤칸에서 갈라져 나오는 정강신경...
    도서 위키백과
  • 앞뼈사이신경 증후군 Anterior interosseous syndrome
    이에 대한 주요 질환으로 보고되었다. 엄지와 검지를 사용한 집기운동의 약화가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이다.저널 인용 앞뼈사이신경의 손상에 의해 긴엄지굽힘근 (Flexor pollicis longus), 검지와 중지의 깊은손가락굽힘근 (Flexor digitorum profundus I & II), 네모엎침근 (pronator quadratus)이 약화될 수 있다.저널...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엉덩관절 굽힘근 스트레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