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육 백후(伯厚), 李堉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46년(영조 22) 사간원정언으로 처음 부임하여 사헌부지평·장령·헌납을 역임하였다. 1755년(영조 31) 헌납으로서 나주괘서사건(羅州掛書事件: 소론 일파가 노론을 제거할 목적으로 일으킨 역모 사건)을 일으킨 윤지(尹志)와 사우관계(死友關係)에 있던 나주목사 이하징(李夏徵)이 괘서...
    시대 :
    조선
    출생 :
    1710년(숙종 36)
    사망 :
    미상
    경력 :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 형조참의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나주괘서사건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전주(全州)
  • 이창곤 李昌坤
    에 이주한 김치규(金致奎)와 교제, 참위(讖緯)에 몰두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26년 기근으로 인하여 민심이 동요하는 틈을 타 청주북성문괘서사건을 유발하였다. 그 괘서에서 스스로를 강화도 중의 성인도사(聖人道士), 태백산(太白山) 하의 장군원수라 칭하면서 당시의 국정을 비판하였다. 그런데 이는 일반 백성들...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826년(순조 26)
    유형 :
    인물
    직업 :
    주모자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진천(鎭川)
  • 최광한 崔光漢
    생애 및 활동사항 조선 순조 연간에는 안동 김씨의 일당독재에 대한 비판과 조선왕조의 사회적 모순에 대한 비판을 내용으로 하는 괘서들이 출현하였다. 그 중 영남지방에서는 하동·창원·인동 등지의 장시(場市)에서 문무(文武)의 재주를 가지고도 등용되지 못하고 있는 자들에게 장상(將相)의 기회를 주고, 가난한 자...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유학자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추국일기 推鞫日記
    내용 1646년(인조 24)부터 1882년(고종 19) 사이의 기록이다. 30책. 필사본. 조선시대에는 변란(變亂)·역모(逆謀)·당쟁(黨爭)·사학(邪學)·흉소(凶疏)·괘서(掛書)·어사가칭(御史假稱)·왕릉방화(王陵放火) 등의 중범죄에 대해 국왕의 특지에 따라 엄히 심문하였다. 이들은 다시 사건의 경중에 따라 친국(親鞫...
    시대 :
    고려
    저작자 :
    승정원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관찬서, 추국기록문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0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곽처웅괘서사건 郭處雄掛書事件
    연인원 40만여 명이나 되었다. 또한 기근에 이어 전염병도 창궐하여 사회 불안이 가중되었다. 경과 이러한 가운데 남원에서 무신란의 처리 결과를 비방하는 괘서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이 사건이 일어나자 행적이 수상한 인물들은 모두 혐의를 받고 체포되었다. 즉, 당시 훈장을 하고 있던 곽처웅이 무신란 이후 평소...
    시대 :
    조선
    발생 :
    1733년(영조 9)
    성격 :
    괘서사건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관련 장소 :
    남원
  • 이효식 李孝植
    개설 1755년(영조 31)에 일어난 윤지(尹志)의 나주괘서사건의 연루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윤지가 처음 일을 도모할 때 그는 김항(金沆)부자·임국훈(林國薰)부자·이제춘(李齊春)·나귀영(羅貴永)·기언표(奇彦杓)·오시대(吳時大)부자·이종무(李宗茂) 등과 더불어 모의를 하였다. 나주의 하리(下吏)인 그는 같은...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755년(영조 31)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윤지(尹志)의 나주괘서사건
    직업 :
    모반인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안경증유고 安景曾遺稿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권말에는 아들 철중(喆重)의 지문(識文)이 있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시 103수, 부(賦) 1편, 계(啓) 1편, 제문 5편, 소초(疏草) 1편, 잡저에 지(識) 3편, 괘기설(卦氣說) 1편, 괘설(卦說) 1편, 서(書) 3편, 부록으로 지(識) 1편, 제문 15편, 덕곡선묘기(德谷先墓記)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대 :
    조선
    저작자 :
    안경증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안철중, 안지문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장서각 도서
  • 도참사상 圖讖思想
    보고 있다. 그래서 잦은 병화와 피폐한 생활로 이 곳을 찾아 숨어드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영조 이후 억울한 사정을 알리거나 정치적 모략을 위한 익명의 괘서가 공공연히 나돌았다. 1748년 이지서(李之曙)를 그 혐의로 공초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1755년에는 나주에서 괘서사건이 있었다. 1773년에는 궐문에 괘서를...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도교
  • 남간집 南磵集
    3·4에 시 123수, 서(書) 4편, 격문(檄文) 2편, 서(序) 2편, 기(記) 5편, 전(傳) 1편, 제문 1편, 상량문 3편, 잠(箴) 1편, 권5는 부록으로 시 14수, 서(書) 7편, 만사 18편, 제문 4편, 행장·묘표·행록 각 1편, 권6·7은 내편에 하도괘설(河圖卦說) 1편, 천문(天文) 1편, 인설(仁說) 1편, 외편에 등단필고(登壇必考) 등...
    시대 :
    조선
    저작자 :
    나해봉
    창작/발표시기 :
    1634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7권 2책
    간행/발행 :
    나휴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서헌문집 恕軒文集
    있는 서간문으로, 심학(心學)의 근원인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에 대해 설명하고 인심도심도(人心道心圖) · 천명도(天命圖) · 용학도(庸學圖)에 대해 논하였다. 잡저의 「규반록(窺班錄)」은 태극(太極)과 성리(性理)에 관한 견해를 정리한 글로, 칙도획괘설(則圖劃卦說) · 칙서배괘설(則書排卦說) · 십이벽괘설...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추안급국안 推案及鞫案
    331책. 필사본. 의금부에서 편찬했다. 변란·도적·역모·흉소·사학·괘서·가칭어사·능상방화 등 국가 및 정권의 안위에 관계되는 중대한 사건들에 관한 죄인들의 공초기록으로, 역모사건에 관한 것이 가장 많다. 제1~6책은 선조대, 제7~11책은 광해군대, 제12~65책은 인조대, 제66~73책은 효종대, 제74·75책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임은집 林隱集
    권16에 황극연의(皇極衍義)·부록·추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객중민한(客中憫旱)」 등 사회를 풍자한 내용들이 많이 실려 있다. 소의 「청포서문괘서지적의소(請捕西門掛書之賊擬疏)」에는 당시 서문에 괘서의 변괴가 있는데도 왕에게 고하는 자가 없자, 조속히 범인을 색출해서 징치(懲治)하도록 이유를 규명...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민곤
    창작/발표시기 :
    1983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6권 8책
    간행/발행 :
    이장렬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서울대학교 도서관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