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의 개항
    2월, 조선은 일본과 강화도에서 12개조로 이뤄진 조일수호조규(강화도 조약)를 맺고 부산을 개항했다. 일본이 강제로 밀어붙인 이 조약으로 조선은 세계 자본주의 체제에 끌려들어 가게 됐다. 1868년 메이지유신으로 먼저 국가 체제를 정비한 일본은 1875년 운요호(雲揚號) 사건을 일으켰고, 1876년 다시 군함을 몰고 와...
    시대 :
    1876년 2월
    국가/대륙 :
    한국
  • 일본 개항
    두 세기 반 동안 쇄국 정책을 취해 오던 일본이 마침내 나라의 빗장을 열어젖혔다. 미국의 해군 제독 매튜 페리가 7척의 근대식 군함을 이끌고 개항을 강요하자 이에 굴복한 것이다. 일본과 미국 사이에는 불평등조약인 미 ・ 일 수호통상조약이 맺어져 일본에 미국에 대한 최혜국 대우, 2개 항구의 개항, 관세 철폐...
    시대 :
    1854년
    국가/대륙 :
    아시아
  • 목포개항 100주년기념 개항 당시 목포항의 모습과 '목포의 눈물'악보
    국민적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목포의 눈물`로 유명한 목포는 한반도의 서남단 끝에 위치하고 있으며 1897년 10월 1일 고종황제의 칙령반포에 의해 개항되어 외국인의 거주와 무역이 시작되었고 통상업무를 관장하던 목포감리소가 설치되었습니다. 그 당시 목포는 해상교통의 중심지였을 뿐만아니라 영산강수로를 통해...
    발행일 :
    1997.10.1
    발행량 :
    3000000
    종수 :
    1
    액면가격 :
    170원
    디자인 :
    개항 당시 목포항의 모습과 '목포의 눈물'악보
    우표번호 :
    1920
    인면 :
    32 × 22mm
    천공 :
    13
    전지구성 :
    5×4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평판 2도색+요판 1도색
    우표크기 :
    35 × 25mm
    디자이너 :
    이근문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기업 企業
    민법상의 조합과 상법상의 특수조합, 합명회사 · 합자회사 · 주식회사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주식회사 형태의 사기업이 대표적이다. 개항과 민족기업의 태동 우리나라에서 근대적 기업회사가 설립된 시기는 1880년대 초부터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전통사회에서도 상인이나 수공업자가 타인의 자본...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청의 개항
    서구 열강과의 전쟁으로 불평등조약 체제가 확대·심화되어 갔다. 정치적으로 홍콩·주룽스가 영국에, 헤이룽 강[黑龍江] 유역의 방대한 영토가 러시아에 할양되었을 뿐 아니라 공사관·조계·외국인세무사 제도가 생겨났다. 사회적·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개항장이 도합 16개로 확대되고 내지 여행권, 내해(內海...
    도서 다음백과
  • 일본 삼포 개항
    동래 부산포, 웅천 내이포(지금의 경상남도 진해), 울산 염포 등 세 곳의 포구를 지정해 일본인이 들어와 장사를 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이종무의 쓰시마 정벌(이종무의 쓰시마 정벌 참조) 이후 살길이 막힌 쓰시마 사람들의 간청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후 쓰시마 사람들에게 조선의 관직을 주어 조선과 일본의...
    시대 :
    1423년
    국가/대륙 :
    한국
  • 마산개항 100주년기념 마산항의 전경과 가고파 악보
    는 시인 이은상이 어릴 적 보았던 마산의 바다를 생각하며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그린 노래입니다. 열강의 각축이 심화되던 대한제국 광무 3(1899)년에 마산은 개항되었습니다. 당시 군사적ㆍ경제적 요충지로 주목되었던 마산은 열강의 이권다툼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그에 따라 지속적으로 전개된 반외세...
    발행일 :
    1999.5.1
    발행량 :
    2200000
    종수 :
    1
    액면가격 :
    170원
    디자인 :
    마산항의 전경과 가고파 악보
    우표번호 :
    1982
    인면 :
    53 × 20mm
    천공 :
    13
    전지구성 :
    3×5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평판 5도색
    우표크기 :
    57 × 24mm
    디자이너 :
    이근문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군산개항100주년기념 식량수송으로 열린 뱃길
    1899(광무 3)년 5월1일 근대항으로 개항되어 개항 100주년을 맞이한 군산은 그 지리적 위치로 인해 예로부터 중국의 문물을 받아들이고 백제의 문화를 일본에 전파해 왔으며 개항후에는 주변의 곡창지대에서 생산되는 쌀 등을 수출하여 해상무역의 중심도시가 되어 왔습니다. 30만의 인구를 가진 군산은 서해안을 여는...
    발행일 :
    1999.5.1
    발행량 :
    2200000
    종수 :
    1
    액면가격 :
    170원
    디자인 :
    식량수송으로 열린 뱃길
    우표번호 :
    1981
    인면 :
    36×26
    천공 :
    13
    전지구성 :
    5×4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평판 5도색
    우표크기 :
    36×26
    디자이너 :
    이기석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인천국제공항 개항 기념 공항여객터미널과 전망대 및 심벌
    세계 최대의 해상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이 2001년 3월 29일 개항하였다. 1,700만평의 부지에 길이 3,750m의 장대형 활주로 2개와 연면적 15만 40평의 여객터미널, 5만 3천평 규모의 화물터미널 등을 갖추고 있는 인천국제공항은 24시간 운영하는 국제선 전용공항으로 연간 2,700만명의 여객과 170만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발행일 :
    2001.3.29
    발행량 :
    2000000
    종수 :
    1
    액면가격 :
    170원
    디자인 :
    공항여객터미널과 전망대 및 심벌
    우표번호 :
    2146
    인면 :
    40×30
    천공 :
    13
    전지구성 :
    5×4
    용지 :
    그라비어 원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어 5도
    우표크기 :
    40×30
    디자이너 :
    김소정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개항 이후의 한국미술
    19세기를 통해 중세적인 남종문인화풍이 보다 큰 세력을 누리게 되면서 주체적 근대 이행은 좌절되고 1876년의 개항과 1910년부터 일제 식민통치에 의해 타율적으로 근대화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근대의 한국미술은 서구적 근대주의에 기초를 두고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으나 작가들의 역사의식 빈곤과 대중적 기반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개항차이야기투어(조은투어)
    인천 개항장 거리는 1883년 인천이 개항되면서 일본과 중국 등 다채로운 문화가 어우러졌던 역사적 공간이다. 옛 일본영사관인 중구청을 비롯해 일본 제1은행 인천지점, 일본 제18은행 인천지점, 일본 제58은행 인천지점 등 다수의 근대건축물도 만날 수 있다. 개항차이야기투어는 이 같은 공간을 전문해설사와 함께...
    위치 :
    인천광역시 중구 신포로27번길 63 (중앙동2가)
  • 인천개항박물관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인천개항박물관은 옛 일본 제1은행 인천지점 건물로 중앙 돔형식의 후기 르네상스 양식 석조 건축물로 건축된 근대건축물이다. 총 4개의 상설전시실로 구성되어 개항 이후 인천항을 통해 처음 유입된 근대문물들을 직접 관람하며 확인할 수 있다. 1층은 안내데스크, 제1...
    위치 :
    인천광역시 중구 신포로23번길 89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8건

개항
목포항(개항)
부산항(개항 초기)
부산 초량 일본인촌
인천항(개항 직후)
원산항(개항 이후)
인천항(개항 직후)
제물포 부두(개항)
부산항(개항 초기)
개항 직후 부산항
조선의 개항
우리나라 개항 연대
개항 당시의 제물포
목포 개항100주년 기념탑
▲ {개항 후 일본과의 무역액 변화}
목포개항 100주년기념 - 낱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