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일리아스와 펜테실레이아
    영웅들의 표상, 아킬레우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는 트로이의 몰락을 다룬 작품이다. 지금까지 서술한 트로이 전쟁도 상당 부분 『일리아스』를 토대로 재구성한 것이다. 『일리아스』는 수많은 영웅과 사건으로 이루어진 작품이지만 철저하게 위대한 영웅 아킬레우스 단 한사람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이...
  • 티레시아스 Tiresias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Odyssey〉에서 그는 지하세계의 예언자로 나오며, 주인공 오디세우스는 그의 예언을 듣기 위해 지하세계로 찾아간다. 테베에서 그는 테베 왕 라이오스와 그의 아들 오이디푸스가 관련된 비극적인 사건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맡았다. 후세의 전설은 그가 일곱(또는 아홉) 세대를 살다가 테베 공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종교
  • 크로이처 Georg Friedrich Creuzer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신화는 본래 동양에서 나와 헬레니즘 시대 이전에 에게 해에 살았던 펠라스기아인을 통해 그리스로 전해졌고, 고대의 계시가 갖고 있는 상징적 요소를 간직하고 있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1804~45년에 걸쳐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만 문헌학과 고대사를 가르친 그는 첫번째 저서이자 가장 유명한...
    출생 :
    1771. 3. 10, 헤센(지금의 독일) 마르부르크안데어란
    사망 :
    1858. 2. 16, 바덴(지금의 독일) 하이델베르크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네레우스 Nereus
    호메로스는 네레우스를 '바다의 노인'이라고 불렀다. 지혜, 타고난 예언능력, 변신술로 유명하다. 네레우스는 바다의 화신인 폰토스와 대지의 여신 가이아의 아들이다. 네레이스(물의 요정들)는 그가 바다의 요정인 도리스에게서 낳은 딸들이며, 네레우스는 딸들과 함께 깊은 바닷속, 특히 에게 해에서 살았다. 사랑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종교
  • 전설의 실재성
    호메로스(Homeros)의 서사시나 로마의 기원에 관한 전설들 중에는 사실과 무관한 내용들이 많지만, 일부는 사실이기도 하다. 그래서 후대의 역사가들은 구전으로 전승되어 오던 사건들을 시대에 따라 적합하게 변형했는지도 모른다. 전설들이 함축하고 있는 실재성들을 찾아내는 작업은 정열적인 역사가들에게는 굉장히...
  • 아르킬로코스 Archilochos
    호메로스 이후 최고의 그리스 시인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아르킬로코스는 귀족의 사생아로 태어났는데, 네오불레라는 여자에게 구혼했다가 거절당한 사실 말고는 사생아라고 해서 사회적 지위에 큰 장애를 받지는 않았다. 아마도 구애를 거절당한 결과로 타소스 섬으로 갔을 것이며 그곳에서 용병이 되어 트라키아 지방...
    출생 :
    BC 675(?), 파로스
    사망 :
    635(?)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개빈 해밀턴 해밀턴, Gavin Hamilton
    그렸다. 그는 로마의 골동품 수집가들과 신고전주의 미술가들로 이루어진 친목회의 회원이었다. 그의 작품 가운데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것은 1760년대에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Iliad〉에서 따온 장면들을 다룬 그림들로, 엄격한 고전적 양식을 따르고 있다. 또한 그는 로마 근처의 중요한 고대 유적지들을 발굴했으며...
    출생 :
    1723, 스코틀랜드 래너크셔 버트람쇼츠
    사망 :
    1798. 1. 4, 로마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미시아 Mysia
    해 남쪽 사이에 있었는데, 내륙에서는 대략 리디아 북쪽, 프리지아와 비티니아 서쪽에 해당한다. 미시아란 이름은 미시아인이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호메로스는 이들을 트로이의 초기 동맹군이라고 했으나, 사실 역사적으로 미시아인들이 하나의 독립국가를 이루고 활동했다는 기록은 없다. 미시아는 계속해서 리디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산드로 보티첼리, 비너스의 탄생 아름다운 여인의 대명사
    탄생한 것이 바로 비너스다. 보티첼리의 대표작 <비너스의 탄생>은 바로 이러한 신화의 한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보티첼리는 그리스의 시인인 호메로스의 시에 근거하여 사랑과 미의 여신인 비너스가 탄생한 이후 조개껍질을 타고 키테라섬의 뭍에 당도하는 장면을 섬세하게 그려냈다. 화면의 좌측에서는...
    크기 :
    175x278.5cm
    제작시기 :
    1485년경
    원제 :
    La nascita di Venere
    작가 :
    산드로 보티첼리(Sandro Boticelli) 이탈리아, 1445-1510년
    소장/전승 :
    우피치 미술관(Galleria degli Uffizi)
    기법 :
    캔버스에 템페라
    시리즈 명화의 속사정 | 태그 화가 , 명화
  • 하르피이아 Harpyia
    개회식에 등장했던 인면조를 보고 서양 사람들이 하르피이아로 착각하기도 했다. 이 밖에 하르피이아는 바람의 정령이라고 알려져 있기도 한데, 실제로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Odyssey)>에서는 사람들을 멀리 실어 보내는 바람으로 나온다. 또한 다른 곳에서는 가끔 하계의 세력들과 연관되기도 했으며, 묘석에 하르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엘리시온 Elision
    미노아인의 종교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 호메로스의 작품에서는 엘리시온이 땅 끝의 오케아노스 강변에 있는 이상향으로 묘사되었다. 헤시오도스는 축복의 섬을 이와 비슷하게 묘사했다. 이전 작가들은 신의 특별한 총애를 받은 사람들만이 엘리시온에 들어가 영생을 얻는다고 했으나, 헤시오도스 시대에 이르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종교
  • 6보격 六步格, hexameter
    가장 오래된 것이다. 그리스어·라틴어로 쓴 서사시와 교훈시에서 가장 많이 쓰인 운율로서 영어 작시법의 약강 5보격과 비교되는 위치에 있다. 호메로스와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는 강약약의 6보격 시행으로 되어 있다. 영시에서는 아서 휴 클러프와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같은 19세기 시인들이 6보격 시행을 사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멀티미디어17건

호메로스
호메로스
호메로스
호메로스
호메로스(Homeros)
6세기 초 그리스에서 발행된 《일리아스》의 한 페이지
터키의 트로이 유적지 입구에 있는 트로이 목마 모형
오디세우스와 세이렌의 일화가 담긴 항아리
트로이를 발굴한 하인리히 슐리만
미케네 궁성 유적
호메로스 조각상
호메로스 찬가
〈호메로스의 신격화〉
호메로스 두상, BC 5세기
렘브란트 판 레인 〈호메로스의 흉상을 바라보는 아리스토텔레스〉
1572년경에 인쇄된 호메로스의 『일리아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