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톨릭관동대학교 박물관 Catholic關東大學校 博物館개설 및 설립목적 고고 · 역사 · 민속 · 미술 · 공예 · 인류학 분야에 속하는 자료수집과 전시, 조사연구, 사회문화교육을 통하여 학생 및 일반인들에게 우리 문화유산의 유익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 아울러 문화 창달과 학문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1964년 관동대학 학감(學監...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경성대학교박물관 慶星大學校博物館, Kyungsung University Museum제석제품(碧玉製石製品) 등은 매우 중요한 전시품이다. 전통민속자료는 조선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서민들의 의식주와 농촌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근대 민속자료의 수집에도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또한 전시실의 확충과 사회교육의 활성화를 통해서 다양한 유물과 자료를 대학 구성원뿐만 아니라, 일반시민...
- 시대 :
- 현대
- 위치 :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
- 설립 :
- 1972년 3월
- 성격 :
- 박물관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한성학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
-
김택규 두산(斗山), 金宅圭학장·신라가야문화연구소장·인문과학연구소장 등을 역임하였다. 정년퇴임 뒤에 동명정보대학교 석좌교수로 2년간 근무했다. 국문학회와 문화인류학회·민속학회 등에서 광범위한 학회활동을 하며 사회문화영남학회장·한국문화인류학회 이사장·비교민속학회 고문·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29년
- 사망 :
- 1999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문화인류학자
- 성별 :
- 남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본관 :
- 경주(慶州)
-
서산 박첨지 놀이 瑞山 朴僉知 놀이배운 전승자 김동익 등 마을 주민 20여명이 보존 및 전승에 힘쓰고 있다. 놀이방법 서산박첨지놀이는 마을 주민이 중심이 되어 전승되는 민속인형극으로서, 양반사회의 모순과 남성과 여성의 갈등, 종교인과 세속인의 갈등 등을 해학적으로 인형극화한 놀이이다. 박첨지의 ‘박’은 인형을 박[瓠]으로 만들었다는 것에서...
- 유형 :
- 놀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평창둔전평농악 平昌屯田坪農樂최승철 · 이두한 · 김철규 · 고완재 등이 지정되었다. 한편, 평창둔전평농사놀이보존회가 결성되어 그 전승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의의와 평가 최근 산업사회로의 급격한 이행과 농촌지역의 기계화작업으로 고유한 농촌민속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실정에 가장 기초적인 민속인 농악이 전승 보존되고 있음은 매우 의의...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동구(대구광역시) 東區(大邱廣域市)센터, 미대 · 내동 정보화 마을 내에 위치하고 있는 정보화시범마을센터, 그리고 동구노인회지회의 주관으로 실시되는 ‘팔공어르신대학’ 등 사회복지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민속 동구 신암3동 살풀이춤은 오랜 역사를 지닌 남도무속무용 계열의 춤으로 대구광역시 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현재까지 그 맥을 이어가고...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 新增東國輿地勝覽集成編)으로 속에 실린 지도와 함께 조선 말기까지 큰 영향을 끼친 지리지이다. 이 책은 지리적인 면뿐만 아니라 정치·경제·역사·행정·군사·사회·민속·예술·인물 등 지방 사회의 모든 방면에 걸친 종합적 성격을 지닌 백과전서식 서적이다. 따라서 조선 전기 사회의 여러 측면을 이해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자료...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행, 윤은보, 신공제, 홍언필, 이사균
- 창작/발표시기 :
- 1530년
- 성격 :
- 지리서, 관찬지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55권 25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장흥군의 교육·문화·의료·복지등의 행사가 펼쳐진다. 대표적인 민속놀이로는 보름줄다리기·고싸움·강강술래·중로(中路)보기·예양강돌싸움·달집짓기 등이 있다. 설화는 〈보림사와 용소...24개소, 치과병원 8개소, 한방병원 1개소, 한의원 9개소, 부속의원 1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21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아동복지시설 3...
-
창녕군의 교육·문화·의료·복지성취를 기리는 이곳 특유의 민속행사이다. 설화로는 <문호장전설>·<창녕조씨 득성전설> 등이 있으며, 그밖에 많은 민요가 전래되고 있다. 불교 사찰로는 신라...의료기관으로는 의원 28개소, 특수병원 2개소, 요양병원 5개소, 치과병원 13개소, 한의원 15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33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
조선의 복장 朝鮮の 服裝입학하여, 1919년에 졸업하였다. 졸업하던 해에 조선총독부 중추원(中樞院) 편집과(編輯課) 촉탁(囑託)으로 조선에 와서 1940년까지 머무르면서 사회 사정 조사, 민속과 관습, 민간신앙과 종교 등에 관해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이를 저서로 펴냈다. 조선에 온 초기에는 주로 사회 사정 조사에 치중하였고, 1927년 『조선...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문헌/도서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