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운파유고 雲坡遺槁
    간추려 질의 응답한 내용이다. 경의(經義)뿐만 아니라 상례·제례·호칭 문제도 언급하고 있어 주목된다. 「경술기사(庚戌記事)」는 1910년 경술국치 후 당시 덕망 있는 인물의 회유책으로 자행되던 일본 천황의 은전(恩典)이라는 대장에 날인하라는 일본 경찰의 회유와 여기에 대처한 자신의 태도를 기술한 것이다...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진현
    창작/발표시기 :
    1978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6권 6책
    간행/발행 :
    김영도, 김영만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고려대학교 도서관, 전남대학교 도서관, 단국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 해동기로회 海東耆老會
    개설 최당이 치사(致仕)한 후, 당시의 사대부로서 나이가 많고 덕망이 높은 전·현직(前現職) 고관자(高官者) 8인과 함께 모임을 가졌던 고려시대 최초의 기로회이다. 연원 및 변천 최당이 70세에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에서 물러난 후, 고려 신종(神宗) 6년 74세 때(1203) 당(唐)나라 백거이(白居易, 772∼846)의 향산...
    시대 :
    고려
    설립 :
    1203년
    성격 :
    기로회
    유형 :
    단체
    설립자 :
    최당
    분야 :
    문학/한문학
  • 춘천의병 春川義兵
    재야 유생을 비롯하여 아전, 구식군인, 포군, 보부상, 농민, 상인 등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봉기 2일 후인 1월 20일에는 화서 이항로의 문인으로 덕망이 있던 이소응(李昭應: 1852∼1930)을 추대하여 의병장으로 삼았다. 의병장 이소응은 일제 침략세력을 분쇄하기 위해 그 본거지인 서울 진공을 목표로 삼았다...
    시대 :
    근대/개항기
    설립 :
    1896년 1월 18일
    유형 :
    단체
    해체 :
    1896년 2월 8일
    설립자 :
    정인회(鄭寅會), 성익현(成益賢), 박현성(朴玄成), 홍시영(洪時永)
    분야 :
    역사/근대사
  • 가선정
    갈천 임훈 선생이 태어나 자라고 묻힌 곳으로, 2~3백 년생 소나무, 물오리나무, 느티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갈계숲 안에 있는 가선정은 갈천 임훈 선생의 덕망을 추모하기 위하여 후손들이 1934년 건립하였으며, 정면 2칸, 측면 2칸의 2층 누각의 8작 지붕으로 되어 있다. 갈계숲에는 가선정이 자리하고 있어서 가...
    위치 :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송계로 731-42 (북상면)
  • 오정각
    입구에는 1983년에 세운 오정각중수기념비가 있는데, 비석의 앞면에는 [오정각중수기념비]라 새겼고, 뒷면과 양쪽 옆면에는 김문기 등 5대의 행적, 관직, 덕망 등에 대하여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정각은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위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오정각길 35 (화정동)
    문화재 지정 :
    [오정각]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호(1983.09.19 지정)
  • 인재집 訒齋集
    ③인재를 선발하는 데 정실을 배제하고 재능에 따를 것, ④관리들이 소임을 다하게 할 것, ⑤장수가 될 재목을 선발하여 국방의 책임을 맡길 것, ⑥문장과 덕망을 겸비한 사람을 골라 지방의 수령을 시킬 것, ⑦고쳐야 될 것을 과감하게 고칠 것, ⑧옳다고 생각하면 실천에 옮길 것, ⑨모든 일을 순서에 따라 처리할 것...
    시대 :
    조선
    저작자 :
    최현(崔晛)
    창작/발표시기 :
    1778년(정조 2)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5권 8책, 20권 10책
    간행/발행 :
    최광벽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인수문고, 서울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 최유청 직재(直哉), 崔惟淸
    24)에 일어난 정중부의 난(鄭仲夫의 亂) 때에는 많은 문신들이 피해를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러 무인들의 보호로 화를 면하였다. 이는 최유청이 개인적 덕망도 있었지만, 집권한 무신 권력자들과 친분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무신 정권기인 명종 대에, 나이가 많음에도 다시 중서시랑평장사로 제수되었고...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율산서원(김제)
    김제시에 위치한 율산서원은 구한말 호남의 유학자 금재 최병식 선생의 학문과 덕망을 숭모하고자 1984년에 건립된 서원이다. 1997년 부지를 확장하여 중건하고 단청 및 조경공사를 했다. 매년 음력 10월에는 지역 유림 인사와 강학 회원이 참석하여 제사를 지내고 있다. 참고문헌 https://www.gimje.go.kr/tour/index...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명덕1길 240-8 (명덕동)
  • 고금명유 古今名喩
    堂記)」가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2권본이 완질본(完帙本)으로 추정된다. 내용 오사기는 명나라 학자로 완릉(宛陵)에 살았으며, 호는 문대(文臺), 자는 덕망(德望)이다. 1573년 오사기가 지은 「자서(自序)」와 1577년 채봉시(蔡逢時)가 지은 서문 「고금명유서(古今名喩序)」가 앞부분에 수록되어 있다. 고금의...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요세 안빈(安貧), 了世
    寺)로 출가하여 균정(均定)을 은사로 삼아 천태교관(天台敎觀)을 닦았다. 1185년 승과에 합격하였고, 그 뒤 천태종지(天台宗旨)에 뜻을 둔지 몇 년 만에 높은 덕망을 얻었다. 1198년(신종 1) 개경의 고봉사(高峯寺) 법회에서 천태종지에 대해 대중을 굴복시켰다. 같은 해 10여 명의 동지와 함께 후진 양성과 수련을...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독락당 獨樂堂
    속세에서 부귀공명을 어지럽게 다투는 속인들을 생각하고 개탄하고 있다. 일곱째 단락에서는 사자암(獅子巖)에 올라 도덕산(道德山)을 바라보며, 이언적의 덕망이 구슬이 쌓여 빛을 머금고 있는 듯하다고 추앙하고, 이백(李白)의 시를 빌려 이언적을 봉(鳳)에 비겨 봉새 날아간 빈 산에 두견새만 저녁에 운다고 하여, 그...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창의 氅衣
    흑립(黑笠)을 착용하였다. 그런데 창의에는 학창의(鶴氅衣)라는 것이 또 있었다. 이것은 예로부터 신선이 입던 옷이라고 하여 사대부의 연거복으로 쓰였고 덕망 높은 도사나 학자가 입었는데, 그 모양은 소매 넓은 백색 창의에 깃·도련·수구 등 가를 검은 헝겊으로 넓게 선(選)을 두르고 있어 마치 심의(深衣)같이...
    시대 :
    조선
    성격 :
    의복
    유형 :
    물품
    용도 :
    사인계급(士人階級)의 의복
    분야 :
    생활/의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