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심곡사 목조 보살 좌상 深谷寺 木造 菩薩 坐像
    심곡사 보살 좌상은 전체적으로 단정하면서도 안정감 있는 불상으로, 혜희의 계보에 속한 조각승이 제작한 것이다. 2012년 5월 3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심곡사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내용 이 불상은 보관과 손가락의 일부가 없어졌지만, 80㎝ 이상 되는 비교적 큰 크기에 균형...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조각
  •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401호 ~ 제500호)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는 시도유형문화재 중에서 경상북도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한다.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단체) 지정일 참조 401호 경주이씨 양월문중 소장고문서 및 전적(慶州李氏 楊月門中 所藏 古文書 및 典籍) 경북 경주시 안강읍 양월리 777 경주이씨 양월문중 2007년 7월 30일 지정 402호 영주...
    도서 위키백과
  •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제201호 ~ 제300호)
    경기도의 유형문화재는 지방유형문화재 중에서 경기도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한다.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단체) 지정일 참조 201호 . 광주극락사석조지장보살좌상(廣州極樂寺石造地藏菩薩坐像) 경기 광주시 극락사 2006년 6월 19일 지정 202호 안성운수암석조비로자나불좌상(安城雲水庵石造 毘盧舍那佛坐像) 경기...
    도서 위키백과
  •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는 지방유형문화재 중에서 충청북도에 있는 유형문화재를 의미한다.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단체) 지정일 참조 1호 법주사원통보전(法住寺圓通寶殿)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209 법주사 1974년 4월 10일 지정, 1987년 3월 9일 해제, 보물 제916호로 승격 2호 괴산각연사통일대사탑비...
    도서 위키백과
  • 용소막성당
    용소막 성당은 원주시 신림면에 있는 작은 성당으로 강원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곳이다. 풍수원성당, 원주 성당에 이어 강원도에 세 번째로 설립된 성당으로 원래는 1898년 최석안의 초가집에서 시작된 성당으로 지금의 건물은 1915년에 시잘레신부가 준공하였고, 90년이 넘은 건물이 되었다. 원주에서 제천으로...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신림면 구학산로 1857
    문화재 지정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6호(1986.05.23 지정)
  •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는 시도유형문화재 중에서 경상북도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한다.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단체) 지정일 참조 301호 의성석탑리방단형적석탑(義城石塔里方壇形積石塔) 경북 의성군 안평면 석탑리 산208 의성군 1997년 12월 19일 지정 302호 남성재(南城齋) 경북 포항시 남구 대송면...
    도서 위키백과
  •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유형문화재 중에서 부산광역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한다.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단체) 지정일 참조 101호 흑유호 및 흑유정병(黑釉壺 및 黑釉淨甁) 부산 서구 동아대학교박물관 2010년 9월 20일 지정 102호 분청사기인화국화문사이부태호(粉靑沙器印花菊花文四耳附胎壺) 부산...
    도서 위키백과
  •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는 지방유형문화재 중에서 충청북도에 있는 유형문화재를 의미한다.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단체) 지정일 참조 101호 진천향교(鎭川鄕校) 충북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 416 향교재단 1981년 12월 26일 지정 102호 괴산향교(槐山鄕校) 충북 괴산군 괴산읍 서부리 104 향교재단 1981년 12월 26일...
    도서 위키백과
  •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는 지방유형문화재 중에서 전라남도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한다.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단체) 지정일 참조 1호 필암서원(筆巖書院) 전남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 378 필암서원 1972년 1월 29일 지정, 1975년 4월 23일 해제, 사적 제242호로 승격 2호 나주금성관(羅州錦城館) 전남 나주시 과원동...
    도서 위키백과
  • 옥류각 玉溜閣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인 단층 팔작지붕 건물. 1989년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계곡의 암반과 계류 사이의 바위를 의지하여 서로 다른 높이의 기둥을 세운 다음 마루틀을 짜서 하부구조를 조성한 것이 특이하다. 정면은 계류에 임하였으므로 측면으로 드나들도록 되어 있는데 입구쪽...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낙산사
    여덟 군데 명승지) 중 한 곳으로, 예로부터 수많은 고전과 시문에 그 아름다움이 전해지고 있다. 낙산사는 여러 번 중건과 복원을 거친 역사적 사찰로 여러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16m 높이의 해수관음상, 해안 절벽 위에 지은 정자이자 동해안 일출 명소인 의상대, 바다를 굽어보는 암자인 홍련암, 조선 시대에...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낙산사로 100
  • 삼막사 마애삼존불
    삼막사 대웅전 뒤쪽 자연 암벽에 감실을 만들고 부조한 삼존불로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의 협시를 받는 치성광여래이다. 삼막사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경기도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불상 하단에 명문이 새겨져있어 1763년(영조 39년)이라는 정확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는데, 치성광여래마애불의 귀중한 예로서 조선 후기...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로 480 (석수동)
    문화재 지정 :
    [삼막사마애삼존불]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4호(1980.06.02 지정)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1건

월영대(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호)
신흥사(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2호)
한풍루(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9호)
광풍루(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92호)
현절사(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호)
조양루(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호)
애한정(충북유형문화재 제50호)
해암정(강원유형문화재 제63호)
수표교(서울유형문화재 제18호)
신광사 대웅전(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3호)
문백면 구곡리 농다리(지방유형문화재 28호)
고부면 군자정(전북도 유형문화재 제133호)
동화사대웅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1호)
Q.침괘정(경기도 유형문화재 제5호)
보은동헌(충북유형문화재 제115호)
청량당(경기유형문화재 제3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