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장렴 제경(霽卿), 李章濂鎭撫使)가 되었고, 1868년에는 병인양요로 한때 함락되었던 강화부유수가 되어 혼란된 민심을 수습하였다. 이어 1869년 금위대장이 되어 대원군의 군사관계 자문에 응하였다. 대원군이 불우하였던 시절에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았으나 국방에 필요한 재목이라 하여 구원(舊怨)을 잊고 중용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21년(순조 21)
- 사망 :
- 미상
- 경력 :
- 황해도수군절도사, 강화부 유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전주
-
종려나무 종려(棕櫚), 棕櫚나무가로수로 많이 심는다. 건축재·가로수·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줄기의 목재는 단단하여 정원의 계단 발판을 만들고 건축용으로 쓴다. 또 장식용 재목과 고급 그릇의 재료로도 쓰인다. 잎자루의 밑이 삼각형으로 넓어지면서 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에 섬유 같은 잎집이 발달하여 잎이 떨어진 다음에도 남아...
- 분류 :
- 상록 교목
- 학명 :
- trachycarpus excelsa(=fortunei)
- 분포지역 :
- 제주도, 남부 지방
- 자생지역 :
- 식재
- 번식 :
- 꺾꽂이·분주
- 약효 부위 :
- 잎·줄기껍질
- 생약명 :
- 직려(稷櫚)
- 키 :
- 3~8m(큰 것은 10m)
- 과 :
- 야자나뭇과
- 채취기간 :
- 6~7월(개화기)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맵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5~6g
- 주의사항 :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송정조 군수(君受), 宋廷祚반드시 시로써 간접적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인조반정 후에야 벼슬에 나아가서 나이 60이 되어서야 장원서별좌(掌苑署別坐)가 되었고, 이 때의 제조였던 정경세(鄭經世)가 하급관료 정도의 재목이 아님을 알고 적극 추천하여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인조반정 때 원종의 공로가 있었으므로 호조참의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68년(선조 1)
- 사망 :
- 1631년(인조 9)
- 경력 :
- 장원서별좌, 사헌부감찰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인조반정
- 직업 :
- 학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은진(恩津: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
-
홍중희 洪重喜으로 시중 조인규(趙仁規)를 국문하였으며, 고려가 관직명을 고친 것을 고자질하여 이를 환원시키게 만드는가 하면, 원나라의 황태후가 절을 짓는 데 백두산의 재목을 벌채, 수송하게 하는 등 고려를 크게 괴롭혔다. 1309년(충선왕 1) 왕이 국법을 어기며 폭정을 자행한다는 일로 원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무고...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조비무고사건(趙妃誣告事件)
- 직업 :
- 주모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남양(南陽)
-
김맹성 선원(善源), 金孟性수찬 등을 지낸 뒤 사직하였다. 향리에 정사(精舍)를 지어 후진을 가르치니, 그 학덕을 흠모하여 배우기를 청하는 자가 많았다. 평생동안 스승의 가르침을 잘 지켜 실천궁행할 것을 강조하고, 관리가 되어서는 자기의 소임을 다할 수 있는 재목이 되라고 가르쳤다. 저서로는 『지지당시집(止止堂詩集)』이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37년(세종 19)
- 사망 :
- 1487년(성종 18)
- 경력 :
- 이조정랑, 수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지지당시집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해평(海平)
-
장유 여헌(汝獻), 張猷뛰어나서 백보천양(百步穿楊: 백보의 거리에 있는 버드나무도 뚫을 수 있음.)의 신기를 간직하였다. 그가 죽자 모두 간성(干城: 국가를 위해 방패와 城이 됨.)의 재목을 잃었다고 슬퍼하였다. 이의현(李宜顯)은 ‘참으로 어려울 때 태어나서 자기 직분에 충실하고 국사를 위하여 헌신한 사람’이라고 평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황해도병마절도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평양(平壤)
-
경복궁 아미산 굴뚝 아미산의굴뚝, 景福宮 峨嵋山 굴뚝1888년에 복구되었다. 그러나 1917년에 창덕궁의 대조전(大造殿) 일곽이 불에 타버리자, 일본인들은 그것을 재건한다는 명목으로 경복궁의 교태전을 헐어 그 재목으로 대조전을 재건하였으므로, 이 굴뚝만 남게 되었다. 이들은 면적이 넓을 경우는 회벽에 제각기 따로 만들어 구운 소조편(塑造片)을 이용하여 무늬를...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송병하 자화(子華), 宋炳夏장악원첨정으로 재직 때에는 초인(抄人)으로 발탁되기도 하였다. 할아버지 송준길이 송병하를 가리켜 집안 식구들에게 “이 아이는 우리집의 어사손자가 될 재목이다.”라고 할 정도로 어릴 때부터 주목을 받았다. 자손들에게 부귀는 천명에 있으므로 구한다고 얻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열심히 학문을 닦아 선인이...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46년(인조 24)
- 사망 :
- 1697년(숙종 23)
- 경력 :
- 아산현감, 덕산현감, 익산군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은진(恩津: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