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미국 버지니아 주 남동부, 체서피크 만 어귀 |
---|---|
인구 | 238,410명 (2022년 추계) |
면적 | 249.4㎢ |
대륙 | 북아메리카 |
국가 | 미국 |
요약 미국 버지니아 주 남동부 저지대의 자치시·통관항. 체서피크 만 어귀에 있다. 모든 군은 교역중심지를 세워야 한다는 버지니아 주의회의 법에 따라 1682년 신설된 읍으로, 영국 노퍽 주에서 그 이름을 따왔으며 목수였던 니콜라이 와이즈에게 담배 4,500㎏을 주고 부지를 사들였다. 오랫동안 노스캐롤라이나 동부의 타르·재목·가죽·담배 교역을 위한 창구였으나 나중에는 조선과 선박수리가 주요산업이 되었다. 미국독립전쟁 때 영국인 총독 던모어 경은 이곳에 사령부를 설치하고 계엄령을 선포했으며, 가까이에 있는 켐프스빌에서 버지니아 민병대를 격파했다.
체서피크 만 어귀에 있다. 서쪽의 포츠머스, 남쪽의 체서피크, 동쪽의 버지니아비치, 그리고 햄프턴로즈 항만 너머 북쪽의 뉴포트뉴스·햄프턴과 함께 도시연합구를 형성한다.
모든 군은 교역중심지를 세워야 한다는 버지니아 주의회의 법(1680)에 따라 1682년 신설된 읍으로, 영국 노퍽 주에서 그 이름을 따왔으며 목수였던 니콜라이 와이즈에게 담배 4,500㎏을 주고 부지를 사들였다.
오랫동안 노스캐롤라이나 동부의 타르·재목·가죽·담배 교역을 위한 창구였으나 나중에는 조선과 선박수리가 주요산업이 되었다. 영국과 서인도제도와의 무역으로 수익을 올렸으며 상업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1753년 주의 부총독인 로버트 딘위디로부터 은제 직장(職杖)을 선사받기도 했다.
미국독립전쟁 때 영국인 총독 던모어 경은 이곳에 사령부를 설치하고(1775. 12) 계엄령을 선포했으며, 가까이에 있는 켐프스빌에서 버지니아 민병대를 격파했다. 그 달말에 윌리엄 우드퍼드 중령이 이끄는 소총부대가 그레이트브리지에서 영국군을 완패시키고 노퍽을 점령하자 1776년 1월 1일 엘리자베스 강에 정박해 있던 던모어 함대가 이곳에 포격을 가했다. 후에 버지니아인들은 시내에 남아 있는 모든 시설물을 영국인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불태웠다. 세인트폴 교회(지금도 벽에 포탄자국이 남아 있음)만이 여기서 제외되었다.
노퍽의 복구는 영국의 서인도 무역 억압, 나폴레옹 전쟁중 해운업과 사략선 활동에 대한 유럽열강의 제재, 1799년의 대화재, 도시간 경쟁 등으로 지연되었다. 1812년전쟁중 2차례에 걸쳐 영국군의 공격을 막아냈는데, 지역 민병대가 포츠머스 육상공격을 격퇴했고 로버트 B. 테일러 장군의 크래니 섬 수비대가 거룻배를 이용한 해상침공을 막아냈다(→ 1812년전쟁).
잇따른 운하와 철도건설로 옛날의 번영을 회복했으나, 1855년 유행성 황열병이 덮쳐 인구의 10%가 죽었다. 남북전쟁중에는 J. E. 울 장군이 이끄는 북군의 수중에 들어가(1862. 5) 전쟁이 끝날 때까지 점령된 상태로 있었다. 1870년 이후 항구를 중심으로 철도가 연결되면서 다시 번영하기 시작한 노퍽은 제1·2차 세계대전중 거대한 해군 및 해·공군 종합 군사시설이 들어서면서 더욱 활기를 띠게 되었다. 현재 노퍽과 포츠머스에는 미국 대서양함대 사령부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대서양연합군 최고사령부가 있다.
주요산업은 해운업·조선업·경공업이다. 올드도미니언대학교(1930)·노퍽주립대학(1968)·버지니아웨슬리언대학(1966, 일부는 버지니아비치에 있음)이 있다. 식물원,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묘지와 기념비, 문화풍속관 등이 유명하다. 해마다 NATO를 위한 국제진달래축제가 열린다.
1736년에 자치체가 되었고, 1845년에 시가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