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견당유학생 遣唐留學生
    우리나라에서는 648년 김춘추(金春秋)가 아들(뒤의 文王)과 함께 입당하여 원병을 확약받은 뒤 문왕을 숙위로 남게 한 것이 최초의 일이다. 713년(성덕 12)에 왕자 김수충(金守忠)이 숙위로 파견된 뒤부터 인질과 조공의 기능만을 담당했던 숙위에게 당나라의 국학(國學)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됨으로써, 실질...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교육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640년(선덕여왕 9)
    분야 :
    교육/교육
  • 보개산 심원사 흥림사(興林寺), 寶蓋山 深源寺
    요사채 등이 있다. 특기할 만한 문화유산은 없으나 명부전 안의 지장보살상(地藏菩薩像)은 과거의 심원사에 봉안했던 것이다. 부속 암자로는 721년(성덕 20)에 창건한 석대암(石臺庵)을 비롯하여, 860년 범일이 창건한 지장암(地藏庵), 860년 범일이 창건하고 1396년에무학이 나한전(羅漢殿)을 세운 나한도량 성주암...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조하주 朝霞紬
    내용 이러한 우리 나라 토산특산주는 중국인들에게 선호되어 많은 양이 교역되었음이 문헌에 전하여지고 있다. 조하주는 ≪삼국사기≫에 의하면 723년(성덕 22)에 어아주(魚牙紬)와 같이 당나라에 보낸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중국측의 ≪책부원구 冊府元龜≫ · ≪당회요 唐會要≫ 등에도 748년(경덕왕 7)과 773년...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의생활
  • 김유길 金儒吉
    생애 및 활동사항 705년(성덕 4)에 공조사(貢調使) 일길찬(一吉飡) 김유길 등은 와서 이듬해 정월 초하루에 일본 에게 하례를 하였다. 일본에서는 이들에게 조당(朝堂)에서 향응을 베풀어주고, 위계(位階)와 녹(祿)을 내려주었으며, 귀국할 때에 신라 에게 칙서를 전하도록 했다고 한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일길찬(一吉飡)
    유형 :
    인물
    직업 :
    사신
    분야 :
    역사/고대사
  • 사소부인 사소부인(四召夫人), 四炤夫人
    내용 성은 김씨(金氏). 제37대 선덕의 어머니이다. 사소부인(四召夫人)으로도 표기되어 있다. 아버지는 성덕이고, 남편은 내물마립간의 9세손인 해찬(海飡 : 파진찬) 효방(孝芳)이다. 아들 상대등(上大等) 김양상(金良相)이 즉위하여 선덕이 되자, 정의태후(貞懿太后)로 추존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왕족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헌화가 獻花歌
    일러 현빈(玄牝: 검은 암소)이라 한다.”고 하는 ‘검은 암소’로 보아 예사 늙은이가 아니고 신선이 분명하다고 하였다. 「헌화가」와 관계되는 수로부인은 성덕 때 강릉 태수로 부임해 가는 순정공의 부인으로 여러 번 신물에게 붙잡혀 갔었을 정도로 절세의 미녀였고, 그 자태는 사람들을 감동하게 하였다. 남들이...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미륵사 彌勒寺
    발견된 금제 사리 봉안기에 따르면 절을 창건한 사람이 좌평 사택적덕의 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변천 창건 이후의 역사는 자세하지 않으나, 719년(성덕 18) 9월 금마군(金馬郡)의 미륵사탑에 벼락이 떨어졌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이 전한다. 이는 미륵사의 탑에 벼락이 친 것을 기록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통일신라시대 불교사
    승전(勝詮)은 당에 가서 현수 법장에게 화엄학을 배우고, 692년(효소왕 1년)에 귀국하면서 현수가 의상에게 보내는 편지와 그의 저술 7종 29권을 가지고 왔다. 성덕(702~737년) 때에는 봉덕사를 건립하여 나라와 백성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인왕도량(仁王道場)을 베풀었고, 751년(경덕왕 10년)에는 김대성이...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위화부 사위부(司位府), 位和府
    2)에 설치되었다가 3년 뒤에 1인이 증원되었는데, 805년(애장왕 6)에 영(令)으로 고쳤다. 차관인 상당(上堂, 級飡∼阿飡) 2인이 신문왕 때 설치되었다가 703년(성덕 2) 1인이 증원되었는데, 애장왕 때 경(卿)으로 고쳤다. 3등관인 대사(大舍, 舍知∼奈麻)는 2인이었는데, 경덕왕 때 일시 주부(主簿)로 고친 일이 있다...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581년(진평왕 3)
    분야 :
    역사/고대사
  • 선종육조혜능대사정상동래연기 禪宗六祖慧能大師頂相東來緣起
    현재 필사본이 전래되고 있으며, 『지리산 쌍계사기』, 『송고승전』, 『경덕전등록』, 덕이본(德異本) 『육조단경』에 동일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신라 성덕 때 당나라의 혜능 대사를 만나보기를 원했던 삼법 스님이 당에 유학 갔을 때에는 이미 고인이 되었으므로 무덤을 찾아 머리를 모셔와 석함(石函)에 넣어...
    시대 :
    고려
    유형 :
    작품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화랑세기 필사본 화랑세기(筆寫本 花郞世記), 花郎世紀
    내용 『화랑세기(花郞世紀)』는 진골귀족(眞骨貴族) 출신으로 704년(성덕 3) 한산주(漢山州) 도독(都督)이 된 김대문(金大問)이 『고승전(高僧傳)』 · 『악본(樂本)』 · 『한산기(漢山記)』 · 『계림잡전(鷄林雜傳)』과 함께 저술하였는데, 오늘날에는 모두 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삼국사기(三國史記)』에 “현명...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대사
  • 충청도 홍충도, 忠淸道
    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나라가 5개의 도독부(都督府)를 설치한 지역의 일부이다. 76년간 당의 지배가 끝난 뒤에 714년(성덕 13)에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756년(경덕왕 16)에 웅주도독부(熊州都督府)에 예속되었다. 신라 말에는 후백제와 태봉이 이곳을 분할 점령하였다. 995년(성종...
    유형 :
    지명
    소재지 :
    충청남도, 충청북도
    분야 :
    지리/인문지리

멀티미디어4건

성덕왕릉
경주 성덕왕릉
성덕대왕신종 (에밀레종)
상원사 동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