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통상 장정 通商章程
    1876년 2월 강화도 조약을 맺은 뒤 개항장에서는 일본 화폐 유통과 조선 미곡의 유출이 자유롭게 이루어졌다. 일본 선박은 항세를 내지 않고 수출입 화물의 관세도 물지 않는 무관세 무역으로 막대한 이익을 올렸다. 조선은 불평등하고 불합리한 조항을 나중에 알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1880년 수신사로 일본을 방문한...
    도서 다음백과
  • 용암포 龍巖浦
    깊어 큰 배가 출입할 수 있으므로 러시아가 점거하여 병영과 창고 등을 설치하는 등 침략 거점으로 정하고 개항시킨 후부터 급속히 발전하였다. 용암포가 개항장이 된 뒤에는 우리 나라와 만주지방의 국경지대에 있어서 물자의 집산지로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그러나 토사 퇴적과 압록강 수로의 이동으로 수심이 얕아져...
    성격 :
    항만
    유형 :
    지명
    소재지 :
    평안북도 용천군 부내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민용호 閔龍鎬
    관동구군 도창의소를 설치하고, 이병채(李秉採)·최중봉(崔重峰) 등과 함께 포고문을 각 지방에 보냈다. 이들은 해변을 따라 관북 방면으로 진출하려고 3월 개항장인 원산을 공격하려 했으나, 일본헌병에게 기밀이 누설되어 실패했다. 이후 다시 강릉으로 돌아가 전력을 정비한 뒤 6월 고성·양양 등지를 점령했다. 7월...
    출생 :
    1869. 10. 29
    사망 :
    1922. 8. 23
    국적 :
    한말, 한국
  • 해주시의 연혁
    조선시대에는 해주군을 유지했으며, 1895년(고종 32) 부제 실시로 해주부가 설치되었고, 그후 도제 실시로 황해도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1940년 해주항이 개항장으로 되었으며, 8·15해방이 되면서 시로 승격되었다. 당시의 행정구역은 중동·상동·북본동·남본동·북우동·남우동·동영동·서락동·북행동·남행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제포 薺浦
    왜란), 제포첨사를 살해하고 이곳을 점령하기까지 했다. 이 왜란으로 인해 삼포의 왜관은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다가, 1512년 임신조약을 체결하여 국교가 회복되면서 제포만 다시 개항하게 되었다. 이후 이들 개항장들은 조선과 일본과의 외교 관계 변화 속에서 치폐를 거듭하면서도 조선 말까지 부분적으로 계속 존속...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해안 측량권 海岸測量權
    운요호 사건으로 일본과 강화도 조약을 맺고 강제적으로 개항을 하게 된 조선은 일본에게 개항장에서의 통상을 허용하는 한편, 해안 측량권을 인정해 주었다. 이후 일본의 항해자가 조선의 해안을 드나들며 자유롭게 물의 깊이를 재고 섬과 암초의 위치를 조사하여 기록하였다. 일본이 내건 이유는 양국의 교역을 위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조선의 관세 자주권 회복 시도 실패
    9월, 조선이 개항장인 부산 동래부 두모진에 해관(海關)을 설치했다. 개항 후 일본 상품이 밀려들면서 무역 적자가 늘어났기 때문이었다. 조선이 관세 개념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맺은 조일무역규칙(조일무역규칙 체결 참조)의 무관세 무역 조항으로 인해 생긴 문제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모진 해관이 일본과...
    시대 :
    1878년 9월
    국가/대륙 :
    한국
  • 대동상회 大同商會
    평양에 설립되었다. 평안도의 상인들이 대규모의 자금을 출자해 설립한 회사로, 선박도 소유하고 있고, 쌀과 목화 등의 상품을 전국에 매매하였다. 또한 개항장인 인천에 지점을 설치해 조선의 물품을 외국에 수출하기도 했다. '대동상회'·'의신상회'와 같이 유수한 상회사의 경우는 자본 규모가 수십만 냥에 달할 뿐만...
  • 중국의 근대화 운동
    노력했다. 군함을 구입하여 해군을 창설하고, 만주의 연해에 포대를 설치하여 베이징 방비에 힘을 기울였다. 또 무기·탄약·선박 등을 중국인의 손으로 직접 제작하기 위해 상하이와 푸저우를 비롯한 주요 개항장에 군수 공장과 조선소를 세웠다. 군수 방면에서 시작된 근대화는 곧 통신·운수·광공업에까지 확대...
    도서 다음백과
  • 거제도조차사건 巨濟島租借事件
    1894년(고종 31) 청일전쟁으로 청 세력이 위축된 후, 조차지 확대 및 새로운 개항장 설정문제를 둘러싸고 일본과 러시아는 치열한 경쟁을 벌이게 되었다. 특히 마산항은 군사상의 중요성 때문에 공동조계지의 경매, 토지매수를 둘러싸고 두 나라는 더욱 치열하게 대립했다. 당시 러시아는 마산항과 만주의 뤼순[旅順...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을사조약과 을사오적
    부르기도 한다. 조약의 주요 내용은 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부와 이사청을 두어 일본이 대한제국의 내정을 장악하는 데 있다. 을사조약을 기초로 개항장과 13개의 주요 도시에 이사청과 11개의 도시에 지청(支廳)이 설치되어 일본의 식민지 지배의 기초가 마련되었으며, 통감부는 병력 동원권과 시정 감독권 등을...
  • 만상 灣商
    주도자로서 어느 정도 자립적 자본을 축적하고 있었는데, 제국주의열강의 침탈과 일본에 의한 식민지화 과정 속에서 다른 상인집단과 함께 변질·쇠퇴했다. 개항장의 거류지무역을 통해 조선시장에 진출한 외국상인들이 각종 불평등 조약체계의 뒷받침을 받으면서 점차 내지통상에 침투하자, 이들은 주활동 무대에서조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멀티미디어8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