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용암포 龍巖浦깊어 큰 배가 출입할 수 있으므로 러시아가 점거하여 병영과 창고 등을 설치하는 등 침략 거점으로 정하고 개항시킨 후부터 급속히 발전하였다. 용암포가 개항장이 된 뒤에는 우리 나라와 만주지방의 국경지대에 있어서 물자의 집산지로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그러나 토사 퇴적과 압록강 수로의 이동으로 수심이 얕아져...
- 성격 :
- 항만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평안북도 용천군 부내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조선의 관세 자주권 회복 시도 실패9월, 조선이 개항장인 부산 동래부 두모진에 해관(海關)을 설치했다. 개항 후 일본 상품이 밀려들면서 무역 적자가 늘어났기 때문이었다. 조선이 관세 개념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맺은 조일무역규칙(조일무역규칙 체결 참조)의 무관세 무역 조항으로 인해 생긴 문제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모진 해관이 일본과...
- 시대 :
- 1878년 9월
- 국가/대륙 :
- 한국
-
중국의 근대화 운동노력했다. 군함을 구입하여 해군을 창설하고, 만주의 연해에 포대를 설치하여 베이징 방비에 힘을 기울였다. 또 무기·탄약·선박 등을 중국인의 손으로 직접 제작하기 위해 상하이와 푸저우를 비롯한 주요 개항장에 군수 공장과 조선소를 세웠다. 군수 방면에서 시작된 근대화는 곧 통신·운수·광공업에까지 확대...도서 다음백과
-
을사조약과 을사오적부르기도 한다. 조약의 주요 내용은 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부와 이사청을 두어 일본이 대한제국의 내정을 장악하는 데 있다. 을사조약을 기초로 개항장과 13개의 주요 도시에 이사청과 11개의 도시에 지청(支廳)이 설치되어 일본의 식민지 지배의 기초가 마련되었으며, 통감부는 병력 동원권과 시정 감독권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