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일성묘지명 金日晟墓誌銘김일성의 인적 사항과 출신, 당에서의 활동과 죽음, 장례 등에 대해 기록하였다. 김일성은 자가 일용이며 신라 왕족 출신으로, 신문왕의 손자이자 효소왕과 성덕왕의 조카였고, 효성왕과 경덕왕의 사촌 형이다. 당에 들어가 장안에서 현종 황제 등을 숙위하였고 당나라 여인 장씨와 혼인하여 장안성에서 살다가 귀국하지...
- 시대 :
- 고대/남북국
- 성격 :
- 묘지명
- 유형 :
- 유물
- 크기 :
- 개석 : 가로 41㎝, 세로 41㎝, 두께 7㎝, 지석 : 가로 42.5㎝, 세로 42㎝, 두께 7㎝
- 재질 :
- 청석
- 제작시기 :
- 774년 8월 5일
- 분야 :
- 역사/고대사
- 소장/전승 :
- 중국 섬서성 서안시 대당서시박물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경주 인용사 경주 인왕동 사지, 慶州 仁容寺도량을 열었다. 671년 김인문이 신라로 돌아오다 바다에서 죽으니 그 도량을 고쳐서 미타도량으로 삼았다고 한다.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김인문이 694년(효소왕 3) 당나라에서 병으로 죽었다고 하여 죽은 연대와 죽은 이유에 대해 『삼국유사』와 다른 기록을 전하고 있다. 7세기 후반 김인문을 위해 지은 사찰은...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김양림 金良琳활동사항 695년(효소왕 4) 봄 3월에 왕자(王子)의 신분으로 보명(補命)인 사찬(沙飡) 박강국(朴强國)과 대나마(大奈麻) 김주한(金周漢)·김충선(金忠仙) 등과 함께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제일 諸逸내용 관등은 일길찬(一吉飡)이었다. 701년(효소왕 10) 5월 영암군(靈巖郡) 태수(太守)로 있으면서 공익을 위배하고 사사로이 이익을 챙기다가 장(杖) 100의 형을 받고 섬에 유배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남북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일길찬(一吉飡), 태수(太守)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지방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선원 仙元내용 690년(신문왕 10) 2월 아찬으로서 원사(元師)의 뒤를 이어 집사부의 중시(中侍)가 되었다. 퇴임한 이유는 불분명하나 692년(효소왕 1) 8월까지 2년 6개월간 재임한 듯하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중시
- 유형 :
- 인물
- 직업 :
- 귀족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통일신라시대 불교사702년)은 676년에 부석사를 창건하고 화엄을 널리 전파하여 해동화엄 초조(初祖)가 되었다. 승전(勝詮)은 당에 가서 현수 법장에게 화엄학을 배우고, 692년(효소왕 1년)에 귀국하면서 현수가 의상에게 보내는 편지와 그의 저술 7종 29권을 가지고 왔다. 성덕왕(702~737년) 때에는 봉덕사를 건립하여 나라와 백성의 안녕...
-
김양원 金陽元내용 관등은 한나마(韓奈麻). 694년(효소왕 3) 2월에 사찬(沙飡) 김강남(金江南)과 더불어 신문왕의 승하를 알리기 위하여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신
- 대표작 :
- 한나마(韓奈麻)
- 분야 :
- 역사/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