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임수 林藪
    해당하는 것으로 지금은 그 자취가 없어졌으나, 한강 북안 양화진(楊花津) 도로변에 있던 버드나무숲, 또 서대문 밖 반송정(盤松亭)의 소나무 · 버드나무 · 회화나무로 된 임수는 특히 외국의 귀한 손님을 송영하면서 절류(折柳: 버드나무 가지를 꺾어 주고 재회를 기약한 고사에서 비롯된, 사람을 배웅하여 헤어지는...
    유형 :
    제도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성공회 강화성당 시간의 섬에 뜬 구원의 방주, 조화와 중용을 말하다
    묘목을 가져와 심었다고 한다. 수령이 100년이 넘었다. 확실치 않지만 나무를 심은 이는 트롤럽이었을 추정한다. 건물 왼편에는 자유분방하게 가지를 뻗은 회화나무가 서 있다. 학자수라고도 불린다. 보리수는 석가모니의 득도를 상징하고 회화나무는 유교의 선비를 상징한다. 성당 건물은 두 나무 중심축에 자리 잡고...
    문화재 지정 :
    사적 제424호
    건립시기 :
    1900년 11월 준공
    면적 :
    6,452㎡(총면적)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길 22
  • 무궁화학습원(괴목정)
    무궁화학습원은 계룡 신도안에 있는 유서 깊은 공원으로 괴목정이라고도 불린다. 괴목은 느티나무 또는 회화나무를 뜻하는 한자어이다. 수령 500년의 거대한 느티나무 보호수 세 그루가 그늘을 만들어 마치 정자와 같은 역할을 하고 주변에 숲속 도서관과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휴식처가 된다. 여름에는 길 곳곳에...
    위치 :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남선리
  • 목침 木枕
    가구와 더불어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주며, 특히 베개는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이기 때문에 목침의 선호도가 높고 형태가 다양하다. 주로 감나무·괴목(槐木 : 회화나무)·오동나무로 만들었으며 나무결을 최대한으로 살려 자연미를 즐겼다. 형태는 원형·방형·장방형·반월형·조립형·동물형 등이 있는데, 장방형이 제일...
    성격 :
    침구(寢具)
    유형 :
    물품
    재질 :
    나무
    용도 :
    베개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이암필화조구자도 李巖筆花鳥狗子圖
    정서는 조선 전기에 유행하는 그림의 특징이다. 화면의 공간구조는 조선 전기 마하파(馬夏派) 및 절파(浙派) 화풍에 나타나는 특징이며, 바위와 길과 나무를 묘사한 선은 흑백의 대비를 강하게 표현하였는데, 이러한 특징은 조선 전기 이곽파(李郭派) 화풍의 특징을 보여준다. 의의와 평가 조선 전기의 회화에서는...
    시대 :
    조선전기
    저작자 :
    이암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392호
    창작/발표시기 :
    16세기
    성격 :
    영모화조도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86㎝, 가로 44.9㎝
    권수/책수 :
    1폭
    재질 :
    종이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이건희
  • 진사 晉祠, Chin Memorial Hall
    1166년에 세워진 이 헌전은 건축양식과 품격이 성모전과 유사하다. 사당 내에는 또 주(周)나라 때 심었다고 하는 측백나무와 당(唐)나라 때 심었다고 알려진 회화나무, 마시면 늙지 않는다는 샘물인 난라오취안[難老泉], 송대에 세운 시녀상 등이 있다. 이를 합쳐 '진사3절'이라고 한다. 타이위안에서 이름난 풍치지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프라 안젤리코 천사 신부, Fra Angelico
    풀과 나무가 독특한 아름다움을 발산하는 작품이다. 사제관의 각방에 그려진 프레스코 작품들은 단순히 장식을 위한 것이 아니라 수도사들에게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을 명상하도록 유도한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작품에 원근법이 적용되지 않았고, 작품의 주인공들이 공중에 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희롱...
    출생 :
    1400년?
    사망 :
    1455년
    본명 :
    조반니 디 피에솔레(Giovanni di Fiesole)
  • 경험론 미학과 18세기 영국 미술
    있는 나무가 있고, 언덕을 따라서 흉한 속살을 드러낸 땅의 모습도 그대로다. 게인즈버러는 프랑스의 와토보다는 네덜란드의 호베마에 훨씬 더 가깝다. 〈미델하르니스의 가로수길〉에서 보여준 실제의 자연 묘사, 자연이 중심이 되는 화면 배치 등을 담고 있다. 라이트의 〈저녁의 동굴 풍경〉은 또 다른 면에서 영국...
  • 송하인물도 수하인물도, 松下人物圖
    대표되는 은일, 혹은 사상가들도 흔히 나무 아래 앉은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송하인물도는 이런 수하인물도 중 나무가 소나무인 경우로 제한된다. 소나무는 동양...신선이나 고승, 은일자나 선비, 그리고 일반인 등 다양하여 그 회화적 의미도 다층적이다. 송하인물도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당진시의 유물·유적·관광
    五山祠堂)·군자정(君子亭)·학유정(鶴遊亭) 등이 있다. 그밖에 김대건의 생가 터, 채운포석교비(彩雲浦石橋碑), 소난지도의 의병총(義兵塚)과 당진송산면회화나무(천연기념물 제317호), 면천은행나무(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2호) 등이 있다. 관광지로는 해당화숲이 우거진 한가로운 섬마을에 펼쳐진 난지도해수욕장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 인류의 문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치다, 채후지 제작
    원료로 사용되었고, 대나무, 박달나무가 많은 곳에서는 이것들이 원료가 되었다. 심지어 미역을 원료로 한 종이가 만들어지기도 했다고 전한다. 한국에서는...손쉽게 필기 재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서예와 회화의 발달을 촉진했다. 서예, 회화의 발달은 다시 종이의 품질 개선을 촉진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런...
    시대 :
    105년
  • 초현실주의 미술
    전혀 아름답지 않다.”라고 한다. 정신분석 이론이 강조하는 상징의 역할을 회화에 적극 도입하기 위해서도 변형은 유용한 방법이다. 칼로의 〈작은 사슴〉은...직전이다. 바닥에 꺾여 널브러진 나뭇가지는 다가올 운명을 암시한다. 오른편 나무는 굵은 가지가 무자비하게 꺾여 나간 흉한 몰골이어서 그녀의 상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