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가희
    정규 음반 《gahee》, 2001년 9월 참여 음반 게임 〈카르페디엠(Carpe Diem〉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2003년 8월, 〈Dream Version II〉 영화 《봄날의 곰을 좋아하세요?》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2003년 10월, 〈Love Plan〉 영화 《최후의 만찬》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2003년 11월, 〈My Way〉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포도주 葡萄酒, wine
    하느님께 바쳐졌었고, 과월절 식사에 중요한 식품의 하나이기도 하였다. 신약시대에는 치유제(治癒劑)로 사용되기도 했다(1디모 5:23, 루가 10:34). 한편 최후의 만찬 때 예수 그리스도께서 포도주를 들고 사례하신 후 포도주를 “세상 사람들을 구원하기 위해 흘리는 자신의 피”라고 말씀하신 후부터 포도주는 인류를...
  • 희생 犧牲, sacrifice
    희생의식이라 불렀다. 이처럼 구약의 제사는 제헌의식과 희생의식으로 구분되었다. 신약시대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을 제물로 삼아(1고린 5:7, 에페 5:2) 최후의 만찬 자리에서 제헌의식을 봉행하였고 십자가상에서 피흘려 죽으심으로써 희생의식을 행하셨다. 그러므로 십자가의 죽음을 십자가의 희생이라고 부른다. ②...
  • 세족례 洗足禮, washing of the Feet
    성목요일에 거행되는 전례 중에서 발을 씻겨주는 의식을 말한다. 이는 최후의 만찬 때 예수가 자선과 애덕에 필요한 겸손을 가르치기 위해 제자들의 발을 씻겨 주었던 일(요한 13:1-17)을 기념하는 것이다. 예수는 제자들이 이 겸손의 예를 그대로 반복하여 지킬 것을 명하였다. 일찍이 고대 근동지방에서는 우정과 호의...
  • 마지막 식사 Last meal, 最後の食事
    않다고 말하면서 아무것도 먹지 않았다. 그 이후로 수감자의 마지막 식사는 사형 당일 헌츠빌 부대 식당에서 제공되는 식단으로 제한된다. 사형 사형수 최후의 만찬 Greene, Bob (12 June 2001). . Jewish World Review. Retrieved on 2007-08-17. Karon, Tony (10 August 2000). Why We're Fascinated by Death Row...
    도서 위키백과
  • 오르카냐 Orcagna, オルカーニャ
    프란츠 리스의 걸작 '죽음의 무도'에 영감을 준 프레스코 '죽음의 승리'. 프레스코 '십자가형' - 십자가를 주변으로 다양한 각도를 띠며 검은색 배경과 최후의 만찬 (1365년)의 일부가 묘사되어 있다. 오르비에토 대성당의 모자이크 장식과 장식창은 오르카냐가 맡은 것으로, 그는 1359년 오르비에토 대성당의 감독관이...
    도서 위키백과
  • 도메니코 기를란다요 Domenico Ghirlandaio, ドメニコ・ギルランダイオ
    그는 당시 후고 반 데어 구스의 <포르티나리의 제단화(祭壇畵)>(1475년)의 플랑드르적인 사실주의에 접하여 세부 묘사를 즐기는 성향에 자극을 받았다. <최후의 만찬>(1480)은 피렌체의 산 마르코 수도원에 그린 것인데 우연적인 요소가 많이 그려져 있다. 배신자 유다는 식탁의 반대쪽에 등을 보이게 그리는 전통적...
    도서 위키백과
  • 성체성사 聖體聖事, Sacrament of Eucharist
    가톨릭 교회의 일곱 성사 가운데 하나. 사제가 최후의 만찬 때 하신 예수님의 말씀을 그대로 반복함으로써 빵과 포도주가 예수님의 몸과 피로 축성되어 성체성사가 이루어진다. 교회는 미사에서 성체성사가 거행될 때, 축성된 빵과 포도주의 외적 형태는 그대로 남아 있지만, 그 실체는 그리스도의 몸과 피인 성체와...
  • 산 살비 San Salvi, 圣萨尔维教堂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다. 16세기 양식으로 지어진 포르티코를 제외하면 본래의 양식에 따라 재건되었다. 교회당의 내부는 직사각형의 후진를 지닌 라틴 십자가 모양의 단일한 통로 구조를 갖추고 있다. 교회의 리펙터리에는 안드레아 델 사르토의 프레스코화 걸작 '최후의 만찬'(1519년-1527년작)이 있다. 피렌체의 랜드마크
    도서 위키백과
  • 유다 타대오 Jude the Apostle, タダイ
    요한 복음서에서는 그를 타대오라고 부른다. 신약성경에서는 그에 관한 언급은 유일하게 사도들의 이름을 나열할 때 뿐인데, 총 4번밖에 나오지 않는다. 최후의 만찬 당시 유다 타대오는 예수를 향해 “주님, 주님께서 왜 세상에는 나타내 보이지 않으시고 저희에게만 나타내 보이시려고 하십니까?” 라고 물어보기도...
    도서 위키백과
  • 틴토레토 Tintoretto, ティントレット
    전개되어 갔다. 1584년 <성 마르코의 기적>을 발표하여 베네치아 파로서 그의 지위가 굳어졌으며,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마지막을 장식한 화가로 이후 마니에리스모인 엘 그레코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대표작으로 <천국> <최후의 만찬> 등이 있는데, 특히 <천국>은 등장 인물 700명이 넘는 대벽화이다. 위키공용분류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양형 영성체 兩形領聖體, communion under both species
    성체를 빵과 포도주 두 형상으로 영하는 것. 예수께서 최후의 만찬 때 “받아 먹으라, 이것은 내 몸이다” 하시고 “받아 마시라, 이것은 나의 피다”(마태 26:27 · 28) 하신대로 초대 교회에는 양형 영성체를 실천하였다(DTC 3, 1:554-555). 다만 성당 바깥에 있는 환자나 수감자 등에게는 포도주 형상의 성혈을 영해...
이전페이지 현재페이지11 12 13 14 15 16 1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4건

다 빈치, 〈최후의 만찬〉, 석고에 템페라와 유채, 1495~98년경, 460×880cm, 이탈리아 밀라노 성 마리아 성당
〈최후의 만찬〉, 캔버스에 유채, 1955, 167×268cm, 미국 워싱턴 D.C. 국립 미술관
다 빈치, 〈최후의 만찬〉 중 '스푸마토 기법'으로 묘사된 부분도
레오나르도 다 빈치, 최후의 만찬, 1495~1498
소금 광산 비엘리치카(Wieliczka)의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 (The Last Supper)
최후의 만찬(The Last Supper)
〈최후의 만찬〉을 볼 수 있는 사무실 입구
레오나르도 다 빈치 〈최후의 만찬〉
다 빈치, 〈최후의 만찬〉(1497)
레오나르도 다 빈치, 〈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