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불교연구회 佛敎硏究會
    李寶潭)과 화계사(華溪寺)의 승려 홍월초(洪月初) 등이 원흥사(元興寺)에 불교연구회를 설립하였다. 일본 정토종(淨土宗)의 영향을 받아 설립된 이 연구회는 정토(淨土)로 그 종지(宗旨)를 삼았으며 팔각형의 동메달에 ‘정토종교회장(淨土宗敎會章)’이라는 글을 새겨 회원에게 주었다. 초대회장은 홍월초, 2대회장은...
    시대 :
    근대
    설립 :
    1906년
    성격 :
    불교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08년 3월
    설립자 :
    이보담(李寶潭), 홍월초(洪月初)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기신론사족 起信論蛇足
    의 일심을 설명하지 않고 도가의 태일적(太一的)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해석은 청나라 선사들의 실재론적 해석방법을 따른 것이다. 그리고 지옥과 극락 등을 객관적 실재로 보고 서방정토에 대한 실제적 왕생을 주장하여, 자심(自心)이 정토라는 선종의 정통해석과는 다른 주장을 펴고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저작자 :
    유일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극락구품탱화 極樂九品幀畵
    구도와 내용이 비슷하며 세부묘사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다. 전체화면을 균등하게 가로 세로로 3등분하여 9부분으로 나누었는데, 제1단의 중앙에는 아미타정토에서의 아미타불의 설법상을, 좌우에는 설법장에 참예하는 타방성중을, 제2단의 중앙에는 아미타 설법도장의 장엄을 표현했다. 제1단과 제2단의 중앙 4면이 합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관무량수경고적기 觀無量壽經古迹記
    유식과 인명(因明)에 통달하여 국내의 후진을 일깨웠으며, 중국의 학사들까지도 안목(眼目)이 되게 하였다고 한다. 그는 미륵신앙 이외에 정토신앙에도 관심을 보여 9부의 정토관련 저술을 남겼다. 태현은 방대한 그의 저술 대부분을 특이하게 ‘고적기(古迹記)’라고 명명하였는데, 이것은 그가 고인(古人)들의 여러...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저작자 :
    태현(太賢)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의통 義通
    寶雲)이라는 사액을 받아 이때부터 보운존자(寶雲尊者)라 칭하게 되었다. 매번 사람을 대할 때마다 고향 사람이라 하므로, 사람들이 그 까닭을 물으면 "나는 정토(淨土)로 고향을 삼으니, 이 사람들이 모두 정토에 왕생할 터이므로 고향사람이라 한다"고 했다. 중국에서 의통의 교화가 컸던 것은 오월왕 전숙(錢俶)이...
    출생 :
    927(태조 10)
    사망 :
    988(성종 7)
    국적 :
    고려,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관음경과 관음보살 관음 32응신도
    경전에서 관음은 중생을 서방극락으로 제도하는 아미타불을 돕는 협시보살로 등장한다. 미타신앙 경전 중에서 『관무량수경』은 구체적인 마음의 대상으로 정토를 관상(觀想)하는 16관법(觀法)과 정토에 왕생할 수 있는 중생을 상품상생에서 하품하생에 이르는 9품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수행자가 임종시에 아미타불이...
  • 미타찬 기화, 彌陀讚
    구성 및 형식 『함허당어록(涵虛堂語錄)』에 수록되어 있다. 미래불(未來佛)인 아미타불을 찬양하여, 서방정토에 들고자 함이 창작동기이다. 내용 전체 10장으로 되어 있는데, 제1장은 아미타불이 중생에게 여러 방편으로 다가와서 제도함을, 제2장은 아미타불이 교화대상에 따라 가르치고 인도함을, 제3장은 중생이...
    시대 :
    조선
    저작자 :
    기화
    창작/발표시기 :
    조선 초기
    성격 :
    경기체가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화생 化生
    여러 대중이 그 사람 앞에 나타나, 그 부처를 따라 그 나라에 왕생하여 바로 칠보의 연꽃 속에서 저절로 화생한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처럼 정토 경전에서는 정토에 태어나는 것을 화생이라고 하였다. 장천1호분, 삼실총, 쌍영총 등의 고구려 고분에 인간이 연꽃 속에서 태어나는 장면, 즉 연화화생(蓮花化生)을 묘사...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청주집 淸珠集
    내용 1책. 편자가 지자(者子)의 정토십의론(淨土十疑論) 비석(飛錫)의 염불삼매보왕론(念佛三昧寶王論) 등을 비롯한 37종의 정토 관련 전적 중에서 염불수행인에게 도움이 될 만한 구절 120칙(則)을 가려 뽑아 엮은 책이다. 특별한 분류 체계는 없으나 오로지 염불 특히 지명(持名) 염불을 주장하고 권유하는 내용만을...
    시대 :
    조선
    저작자 :
    치조
    창작/발표시기 :
    1870년
    성격 :
    의례서, 불교의례서, 염불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보광사 정원사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미륵탱화 彌勒幀畵
    미륵보살을 단독으로 그릴 때도 있지만, 보살과 성중(聖衆), 그리고 범천(梵天)과 제석천(帝釋天) 등의 외호신(外護神)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또, 미륵정토의 궁중장면을 묘사한 것도 있다. 미륵보살은 보통 머리 위의 보관(寶冠)에 탑을 묘사하거나 손에 탑을 가지며, 손에 든 연꽃에 탑을 묘사하는 것 등이 특징...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담징 曇徵
    를 중심으로 하는 동원의 두 부분으로 나뉘며 아스카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물이다. 금당 안에는 약사여래상, 석가삼존불상, 아미타삼존불상 등이 있고, 사불정토도(四佛淨土圖) 같은 수백 점의 고미술품이 소장되어 있다. 일본의 국보급 문화재로 인정받는 이 작품들은 모두 백제인이 제작한 것이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
    출생 :
    579년
    사망 :
    631년
  • 원력 願力
    다 배우오리다(法門無量誓願學), ④ 위 없는 불도를 다 이루오리다(佛道無上誓願成) 등으로 이루어진다. 원력은 특히 타력신앙(他力信仰)을 바탕으로 하는 정토사상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아미타불(阿彌陀佛)은 전생에 법장비구(法藏比丘)였을 때 세운 48대원(大願)을 성취하고 부처가 되어 극락세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멀티미디어4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