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장의 二障義열반(涅槃)의 과(果)를 방해하는 것을 번뇌장이라 하였고, 지식을 법집(法執)의 측면으로 보아 보리(菩提)의 과를 장애하는 것을 소지장이라 하였다. 이것을 원효가 자신의 독특한 견지에서 6단(段)으로 나누어서 논술한 것으로, ① 명의(名儀)를 해석하고, ② 체상(體相)을 논하고, ③ 장(障)의 공능(功能)을 밝히고...
- 시대 :
- 고대/남북국
- 저작자 :
- 원효(元曉)
- 창작/발표시기 :
- 신라시대
- 성격 :
- 불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책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보살도 菩薩道藏)의 발현이 세상을 참된 불국토(佛國土)로 만들 수 있고 그 불국토의 구현이 불교의 목표이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 나라에서는 자장(慈藏)·원광(圓光)·원효(元曉)·의상(義湘) 등이 대승불교를 이 땅에 정착시키고 신라의 불국토 구현에 노력하게 됨에 따라, 이 땅의 윤리적 실천은 보살도가 그 중심을 이루게...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부귀산 고림사 상림사(桑林寺), 富貴山 古林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金山寺)의 말사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진안읍 부귀산(富貴山) 자락에 위치한다. 신라시대 창건된 고찰로서 원효대사(元曉大師)와 관련이 깊다. 고림사라는사찰명은 절 주위에 수백 년 된 거목들이 많아서 붙여진 명칭이라 전한다. 내용 신라시대인 672년(문무왕 12...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종요 宗要종(宗)은 주종(主宗)이 되고, 요(要)는 간요(肝要)가 된다”고 하였다. 이처럼 종요에서 ‘종’은 주장의 근본이 되고, ‘요’는 요목의 요체가 된다. 내용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는 경전의 주석서를 쓰면서 이 종요의 개념을 즐겨 사용하였다. 그는 종요에는 전개[開]와 종합[合]의 뜻이 있다고 하였다. 즉 원효...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실상반야 實相般若이르면 경계반야(境界般若)와 권속반야(眷屬般若)를 추가하여 오종반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내용 이 실상반야에 대하여 불경에 나타난 기존의 설을 신라의 원효(元曉)는 네 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첫째는 유(有), 둘째는 공(空), 셋째는 역유역공(亦有亦空), 넷째는 비진비속비유비공(非眞非俗非有非空)이다...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경주 분황사 왕분사(王芬寺), 慶州 芬皇寺개설 634년(선덕여왕 3) 경주에 세운 절이다. 이 절의 석탑은 신라 석탑 중 가장 오래된 석탑이다. 솔거가 그린 분황사의 관음보살이 유명하다. 자장과 원효가 이 절에 머물렀다. 왕분사(王芬寺)라고도 한다. 고려시대 원효의 화쟁국사비가 세워지고, 조선시대에 들어와 임진왜란 때 화를 당하고 광해군 때 약사여래를...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불광산 척판암 담운사(談雲寺), 佛光山 擲板庵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梵魚寺)의 말사인 장안사(長安寺)의 산내암자이다. 673년(문무왕 13)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담운사(談雲寺)라 하였다. 그 뒤 원효는 당나라 태화사(泰和寺)에서 공부하는 1,000명의 승려가 장마로 인한 산사태로 매몰될 운명에 놓인 것을 알고, ‘曉擲板而救衆...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법신 법불(法佛), 法身있어야 대상에 대해 사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혜원의 주장은 중국 초기불교의 부처에 대한 실체론적 사유를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한국불교에서 원효(元曉: 617~686)는 『열반종요(涅槃宗要)』에서 법신에 관한 색신의 유무논쟁을 소개한다. 이것은 『대승의장』의 영향인데, 원효는 혜원의 주장과는 달리...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사지 四智識)이 변하여 이루는 지혜이다. 즉, 5관으로 행하는 일을 올바로 이루도록 하는 지혜이기 때문에 성소작지라고 한 것이다. 이와 같은 4지에 대해서는 신라의 원효(元曉)를 비롯하여 법위(法位)·경흥(憬興)·의적(義寂) 등이 심도 깊은 해설을 가하고 있다. 원효는 특히 ≪무량수경종요 無量壽經宗要≫에서 이를 상세...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통불교사상 通佛敎思想佛敎)』에서 평하기를, “인도 및 서역의 서론적 불교와 지나의 각론적(各論的) 불교에 대하여 조선에서는 결론적 불교를 건립하였다.”고 하였다. 이는 특히 원효(元曉)의 통불교사상에 입각하여 평한 것으로 인도의 원천적 불교, 중국의 분파적(分波的) 불교에 대하여 우리나라는 회통적(會通的) 불교라고 표현하는 것...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