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자별 언어 목록 文字体系別の言語の一覧
    아랍 문자및 로마자도 사용한다. 티피나그어 투아레그어 카바일어 몽골어 (내몽골 자치주에서 사용, 몽골은 키릴 문자사용) 만주어 시버어 로로어 눠쑤어 아르메니아어 한국어 제주어 찌아찌아어 (한글을 비공식적으로 사용, 로마자를 공식적으로 사용) 먀오어 리수어 체로키어 헝가리어 † 타갈로그어 † 찌아찌아어...
    도서 위키백과
  • 아르메니아-튀르키예어 알파벳 Armeno-Turkish alphabet
    Փ փ փիւր pür — script/Arabic p IPA Ք ք քէ ke — i, ö, ü) IPA Օ օ օ o — script/Arabic o IPA Ֆ ֆ ֆէ fe — script/Arabic f IPA 아르메니아어 알파벳은 튀르키예어 음운론에 매우 잘 들어맞지만, 모든 튀르키예어 소리, 특히 모음을 작성하려면 몇 개의 이중자가 필요하다. 그들 중 일부는 아르메니아 철자법...
    도서 위키백과
  • 아르메니아의 역사 History of Armenia, アルメニアの歴史
    아르메니아의 역사는 아르메니아 공화국의 역사뿐만 아니라 아르메니아인, 아르메니아어, 역사적 또는 지리적으로 아르메니아로 간주되는 지역들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아르메니아는 성지로 여겨지는 아라라트산을 둘러싼 고원에 위치하고 있다. 아르메니아인이 자신들의 국가를 불렀던 원래 이름은 하이크...
    도서 위키백과
  • 최레크 Çörek
    의 어원은 "둥근 빵"을 뜻하는 오스만 터키어 "최레크"이다. 터키어에서 둥근 모양을 뜻하는 말로 "체브레크"가 있다. 동원어로 그리스어 "추레키"와 아르메니아어 "초레크" 등이 있다. 아이 최레크는 초승달 모양 최레크이다. "아이"는 "달"을 뜻한다. 타힌 최레크는 타힌(참깨 소스)을 넣어 만든 최레크이다. 파스...
    도서 위키백과
  • 러시아계 아르메니아인 Russians in Armenia
    아르메니아어:Ռուսները Հայաստանում)은 아르메니아에 거주하는 러시아인으로 인구는 11,911명(2011년)으로 전체의 0.39%를 자치한다 이전에는 러시아계 아르메니아인의 인구가 더 많았지만 1988년 아르메니아 지진, 1991년 소련붕괴,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과 터키와 아제르바이잔의 봉쇄 및 그에 따른 급격한 경제침체...
    도서 위키백과
  • 이단 논박 Against Heresies (Irenaeus)
    빌레몬서, 베드로후서, 요한 3서, 유다서 등 가장 짧은 네 서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오늘날에는 고대 그리스어로 된 원본 텍스트의 일부만 남아 있지만, 작성 시기를 알 수 없는 라틴어로 된 완전한 사본이 많이 남아 있다. IV권과 V권은 아르메니아어로 된 문서 형태로 전체가 현존한다.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가레긴 느주데흐 Garegin Nzhdeh
    신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티플리스(현재의 조지아 트빌리시)의 러시아 김나지움을 졸업했으며 17세에 아르메니아 민족주의 진영에 가담했다. 느주데흐는 아르메니아어로 "순례자", "이주민"을 뜻한다. 1906년에는 불가리아로 이주했고 1907년에는 소피아 드미트리 니콜로프(Dmitry Nikolov) 군사 학교를 졸업했다...
    도서 위키백과
  • 랭-8 Lang-8.com, Lang-8
    제공한다. col-4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광둥어 타이완어 아이슬란드어 아이누어 아일랜드어 아제르바이잔어 아프리칸스어 아라비아어 알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이탈리아어 이디시어 인도네시아어 웨일스어 우크라이나어 우즈베크어 우르두어 에스토니아어 에스페란토어 네덜란드어 카탈루냐어 그리스어 크메르어...
    도서 위키백과
  • 라크어 Lak language, ラク語
    라크족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다게스탄 공화국의 6개 언어 가운데 하나이다. 사용자는 약 157,000명이고 북캅카스어족의 독자적 분파를 이룬다. 라크어는 아르메니아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에서 빌려온 차용어가 많다. 라크어 신문과 라크어 일기예보가 있다. 1928년까지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다. 1938년까지는 라틴...
    도서 위키백과
  • 픽스트시스 엑셀시어
    0250~02AF) 조정 문자(02B0~02FF) 조합 분음 기호(악센트)(0300~036F) 그리스어와 콥트어(0370~03FF) 키릴 자모(0400~04FF), 키릴 자모 보충(0500~052F) 아르메니아어(0530~058F) 히브리어(0590~05FF) 아랍어(0600~06FF) 타아나어(0780~07BF) 타밀어(0B80~0BFF) 태국어(0E00~0E7F) 미얀마어(1000~109F) 중 일부(1040...
    도서 위키백과
  • 표음문자 Phonogram (linguistics), 表音文字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마인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갈리시아어, 바스크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세르비아어, 마케도니아어, 라트비아어, 아르메니아어, 에스토니아어 등이 표음성이 높은 언어(문자언어)로 알려져 있다. 이들 언어의 특징은 문자언어에서 음성언어에 대응되는 적합한 철자법(맞춤법)을 사용...
    도서 위키백과
  • 클레멘스 교령집 Clementine literature
    인식서(1~3권)와 호밀리(10~14권)를 수용하는 부분 시리아어 번역본이 있으며, 이 중 하나는 411년에 쓰여졌다. 클레멘스의 일부 조각은 아랍어, 아르메니아어, 슬라브어로 알려져 있다. H와 R의 많은 부분은 거의 같은 단어이고, 큰 부분은 또한 대상과 교훈에서 거의 일치한다. 그러나 한 부분에만 포함된 다른 부분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현재페이지11 12 13 1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