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근로인민당 勤勞人民黨
    사회노동당은 1946년 11월 여운형 등이 조선공산당·조선인민당·조선신민당 등 3당합당에 의해 창당한 박헌영 계열의 남조선노동당의 창당에 반대하여 조직되었다. 그러나 당의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고 분열되어 결국 1947년 2월 해체되었다. 이후 여운형 계와 조선신민당·근로대중당·해방동맹 등이 참여하여 근로...
  • 학원안정법파동 學園安定法波動
    7백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등을 담은 전문 11조와 부칙 3항으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8월 7일 민정당에서 학원안정법 시안을 공개하자 신한민주당(신민당)은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반민주적 입법에 반대할 것을 분명히 했다. 야당과 더불어 재야세력뿐 아니라 각계각층에서 학원안정법 철회에 대한 요구가 쏟아져...
    시대 :
    현대
    발생 :
    1985년 8월 7일
    유형 :
    사건
    종결 :
    1985년 8월 17일
    분야 :
    역사/현대사
    관련 인물/단체 :
    신민당, 민정당, 전두환
  • 평화민주당 平和民主黨
    운동권 및 통일민주당 잔류파들을 영입하기 위한 노력으로 1991년 4월 재야출신인사들로 구성된 신민주연합(新民主聯合)과 통합하여, 당명을 신민당(新民黨)으로 바꾸었다. 신민당은 다시 1991년 9월 민주자유당(民主自由黨)으로 가지 않았던 통일민주당 잔류파들이 만든 민주당(民主黨)과 통합하여, 새로이 민주당을...
    시대 :
    현대
    설립 :
    1987년 11월
    성격 :
    정당
    유형 :
    단체
    해체 :
    1991년 4월
    설립자 :
    김대중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김선태 일송(逸松), 金善太
    으로 오랜 기간 정치활동이 규제에 묶였다. 1969년 변호사 활동을 재개하면서, '3선 개헌'을 반대하는 개헌반대투쟁위원회의 간부로 참여했다. 1970년 신민당(新民黨)에 입당, 정무위원과 인권옹호위원장을 맡았다. 1973년 신민당 내 유진산(柳珍山)을 반대하는 세력이 창당한 통일당(統一黨)에 참여, 최고위원을 지냈다...
    시대 :
    현대
    출생 :
    1911년 8월 2일
    사망 :
    1978년 12월 29일
    경력 :
    조선총독부 판사, 제3·4·5대 민의원, 신민당 정무위원·인권옹호위원장, 통일당 최고위원
    유형 :
    인물
    직업 :
    법조인,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금릉(金陵)
  • 한국의 정당
    민주공화당, 1980년대의 민주정의당, 그리고 1990년대의 민주자유당순으로 변천되어왔고, 야당세력은 1940년대 한국민주당과 민주국민당, 1950년대 민주당과 신민당, 1960년대 민정당·민주당·민중당·신한당, 1970년대 신민당과 민주통일당, 1980년대 민주한국당·신한민주당·통일민주당·평화민주당·신민주공화당...
  • 이재형 운경(雲耕), 李載瀅
    지목받았다. 1958년 제4대 민의원에 당선되었고, 1960년 국회부의장에 선출되었다. 1960년 국회의원으로 다시 선출되었으며 1967년 신민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1968년 신민당 부총재가 되었다. 그러나 그로부터 약 10년간 사실상 정계에서 은퇴한 상태에 있었는데, 이는 당시 정치의 심한 혼란과 자신의 주장...
    시대 :
    현대
    출생 :
    1914년
    사망 :
    1992년
    경력 :
    금융조합연합회 사업부장, 국회의원, 국회의장, 신민당 부총재
    유형 :
    인물
    직업 :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전주(全州)
  • 대중당 大衆黨
    후보 65명, 전국구 후보 9명을 공천하였는데, 선거결과 반공법위반혐의로 구속되어 옥중출마한 서민호가 당선되어 제3당으로 의석을 갖게 되었다. 1971년 신민당을 상대로 통합을 협상하였으나 이루지 못하고, 서민호가 신민당에 입당하게 되어 1971년 5월 이후 당대표 이몽(李蒙)에 의하여, 1972년 1월 이후 이동화...
    시대 :
    현대
    설립 :
    1967년 3월 9일
    성격 :
    정당
    유형 :
    단체
    해체 :
    1973년 6월 21일
    설립자 :
    서민호(徐珉濠)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김대중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金大中
    불운을 겪었다. 그 후 6·7·8대 국회의원에 연속 당선되었으며 민주당 대변인(1960), 통합야당 민중당 대변인(1965), 민중당 정책위원회 의장(1966), 신민당 대변인(1967)을 지내며 정치인으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마침내 3선개헌 다음해인 1970년 9월 김대중은 신민당 전당대회에서 대통령 후보로 공식지명되었다...
    출생 :
    1924. 1. 8, 전남 신안
    사망 :
    2009. 8. 18, 서울
    관련 사건 :
    김대중 납치 사건(1973), 김대중 내란음모사건(1980), 광주 민주화 운동(1980), 제15대 대통령선거(1997), 남북정상회담(2000)
    국적 :
    한국
    직업 :
    정치인,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수상 :
    노벨상 평화상(2000)
    호 :
    후광(後廣)
  • 제8대 국회 의원 선거 第8代 國會 議員 選擧
    공화당은 현직 의원 중에서 40명을 공천에서 탈락시키는 대신 선거구에서 대통령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던 인물들을 공천함으로써 당내의 갈등이 야기되었다. 신민당·국민당·대중당·민중당·통일사회당 등 5개 정당을 중심으로 제7대 대통령 선거를 부정 선거로 규정하고 총선 거부를 협의하였다. 하지만 신민당의...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윤보선 해위(海葦), 尹潽善
    범야권 세력을 통합해 민중당(民衆黨)을 창당하였으며, 1966년에는 선명 야당의 기치를 내건 신한당(新韓黨)을 창당해 총재가 되었다. 곧이어 야당을 통합한 신민당(新民黨)의 대표최고위원에 추대되었다. 다시 통합야당의 대통령후보가 된 윤보선은 1967년 2월 실시된 제6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116만여 표...
    시대 :
    현대
    출생 :
    1897년
    사망 :
    1990년
    경력 :
    미군정청농상국고문, 민중일보사장, 서울시장, 상공부장관, 한영협회회장, 대한적십자사총재, 국회의원, 대통령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부산정치파동, 5·16군사정변, 민청학련사건, 3·1민주구국선언사건, YWCA위장결혼사건
    직업 :
    정치인
    대표작 :
    구국의 가시밭길, 외로운 선택의 나날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해평(海平)
  • 서범석 백봉(白峰), 徐範錫
    甲區)에서 무소속으로 출마, 당선된 데 이어, 1958년 제4대, 1960년 제5대, 1963년 제6대, 1967년 제7대, 1971년 제8대 등 20여 년 동안 민주당, 민중당, 신민당 등 야당 소속의 국회의원으로 당선됐다. 1952년 부산정치파동 때는 국제공산당 혐의로 투옥됐다. 장면정권(張勉政權) 수립 뒤 국회내무위원장을 맡았고...
    시대 :
    현대
    출생 :
    1902년 10월 19일
    사망 :
    1986년 4월 2일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조선일보 필화사건
    직업 :
    언론인,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김도연 상산(常山), 金度演
    1960년 5대 민의원에 당선되었다. 4·19혁명 직후인 1960년 8월 국무총리에 지명되었으나 국회의 인준투표에서 부결되었고, 민주당 구파동지회를 결성해 신민당(新民黨)을 창당하였으나,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의원자격이 상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전국구 의원이 되었다...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멀티미디어3건

신민당
신민당 의원총회
신민당 창당대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