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통우표 사슴풀, 이끼, 나무싹 등을 먹는다. 수컷의 뿔(녹용)은 강장제로 쓰이며 피혁은 부드러워 공예품으로 이용된다. 보통우표 100원권을 새로 발행키로 되어 성덕왕 신종의 비천무늬를 그의 도안으로 택하였다. 신라 35대 경덕왕이 그의 아버지인 성덕왕의 명복을 빌고자 동(銅) 10만 근을 내놓아 주조케 한 것을 그의 아들인...
- 발행일 :
- 1963.9.10
- 발행량 :
- 350000
- 종수 :
- 3
- 액면가격 :
- 50원
- 디자인 :
- 사슴
- 우표번호 :
- 371
- 인면 :
- 22×25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10×10
- 용지 :
- 우정마크무늬
- 인쇄 및 색수 :
- 평판 적다색
- 디자이너 :
- 강춘환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원진 元眞내용 722년(성덕왕 21)에 각간(角干)으로서 축성감독자가 되어 모화군(毛火郡)에 일본의 침략을 막기 위하여 주위 4,792보(步) 5자[尺]의 석성을 3만 9262명의 인원을 동원하여 쌓았다. 그리하여 울산방면으로부터 침략하는 길목인 동경(東京)의 관문을 막았다. 이 성을 이름하여 관문성(關門城)이라 한다. 이는 신라...
- 시대 :
- 고대/남북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각간(角干)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관문성 축조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금성 金星3개의 구획[垣] 중의 하나로 자미(紫微), 천시(天市)와 더불어 삼원(三垣)을 이룬다. 이 기록은 어느 별을 가렸는지가 불분명한데 다음의 기록을 보면 “성덕왕 14년 추9월 금성이 작은 곰자리에 있는 네번째 별인 서자(庶子)를 가렸다.”고 구체적 현상을 기록하고 있다. ≪칠정산내편≫ 오성(五星)에서 금성의 항목...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김위문 흥평대왕(興平大王), 金魏文생애 및 활동사항 내물왕의 10세손으로 의관(義寬)의 아들이며, 제38대 원성왕의 할아버지이다. 이찬(伊飡)으로 712년(성덕왕 11) 중시(中侍)가 되었다가 이듬해 10월에 늙음을 이유로 퇴임하였다. 그의 손자인 경신(敬信)이 즉위하여 원성왕이 됨으로써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추봉(追封)되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중시
- 유형 :
- 인물
- 직업 :
- 귀족, 대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영술 英述내용 관등은 이찬(伊飡)에 이르렀다. 736년(성덕왕 35)에 이찬 윤충(允忠)·사인(思仁)과 함께 평양(平壤 : 北漢山郡)·우두(牛頭 : 지금의 춘천)를 검사하고 살피었다. 성덕왕대부터 적극적으로 시도되기 시작한 북방진출·변경개척사업은 발해의 남하정책에 대응, 당시 몰락해가던 농민층의 보호를 위한 사회경제적...
- 시대 :
- 고대/남북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이찬(伊飡)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
구지가 龜旨歌풍요주술 형태이던 <구지가>를 시조신으로서의 수로왕을 맞기 위한 영신제의에서 영신주술의 형태로 바꾸어 사용한 것이라 보는 견해 등이 있다. 그리고 이 가요의 뜻과 표현형식이 비슷한 것에 신라 성덕왕 때 해룡에게 끌려간 수로부인(水路夫人)을 구출하기 위해 부른 <해가>라는 노래가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초기국가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고대가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
인왕 仁王과 더불어 호국 3부경이라 일컬어 졌다. 신라에서는 551년(진흥왕 12) 고구려 승려 혜량(惠亮)이 귀화한 뒤 황룡사에서 처음 인왕도량을 개최했으며, 성덕왕이 태종무열왕을 위하여 봉덕사(奉德寺)를 세우고 인왕도량을 열었다는 기록 등이 있다. 고려시대에는 왕실을 중심으로 모두 107회의 인왕도량을 열었음이...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혜통 왕화상(王和尙), 惠通가르침을 따르는 밀교사원이었다. 귀국연대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의문이 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혜통이 귀국한 것이 665년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가 가르침을 받았다는 선무외가 중국에 온 것은 719년(성덕왕 18)이기 때문에 연대에 많은 혼돈이 있다. 따라서, 그 진위를 단정짓기에는 곤란한 점이 많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남북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승려, 유학승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