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법제 법, 法制갑오경장으로부터 민족항일기의 서구법의 타율적 계수시대이다. 전통적 법체계는 일본에 의하여 각색된 근대법에 의하여 대치된다. ⑦ 현대(1945년∼현재):1945년 국권의 회복과 독립으로 근대적 민주주의를 기본이념으로 하여 대륙법과 영미법을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또 수용이 진행되고 있는 현재까지이다. 이와 같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오지호 점수(占壽), 吳之湖서양화 단체 ‘녹향회(綠鄕會)’ 동인이 되어 사실적 자연주의 수법의 유화를 발표하였다. 1935년 무렵부터는 김주경과 함께 프랑스 인상파 화풍의 신선하고 밝은 색채로 한국의 자연미와 풍정미 표현에 열중하였다. 그와 아울러 색채미와 빛의 표현을 본질로 한 순수 회화론을 주창하기도 하였다. 1938년에 자비로 출판...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05년 12월 24일
- 사망 :
- 1982년 12월 25일
- 경력 :
- 개성 송도 고등보통학교 교사, 조선대학교 교수, 국전 심사위원장 및 운영위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화가
- 대표작 :
- 사과밭, 추광(秋光), 항구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본관 :
- 동복(同福)
-
이대원 李大源, Lee Daiwon개설 점묘다채의 선명한 색채와 경쾌한 붓놀림으로 주로 농원의 과일 나무나 연못 등 소박한 전원의 풍경을 그린 풍경화가이다. 1970년대까지는 한국의 풍경을 단순한 필법과 구성으로 소박하게 재구성하였다면 1980년대 이후에는 자연과 생명에 대한 찬미를 찬란하게 빛나는 색채로 표현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현대
- 출생 :
- 1921년
- 사망 :
- 2005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화가, 유화가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범어사 비로자나불회도 梵魚寺 毘盧舍那佛會圖이러한 현상은 협시와 보살들에게도 나타나 전체적으로 원만한 모습들을 하고 있다. 통견(通肩)의 상체 역시 둥근 곡선으로서 풍만함을 더해 주고 있다. 색채는 홍색과 녹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옷깃과 대좌의 엷은 청색, 본존과 보살들의 옷 무늬 그리고 갈색 계통의 구름 등 색채의 조화로 전체적으로 온화...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전 塼탑상은 탑과 불상, 불상과 불각 등을 교대로 조각하였는데, 전면(塼面)의 크기에 따라 표현방식에 차이가 있다. 이 밖에 불교와 관련이 있거나 불교적 색채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문양도 있다. 백제시대 방형전에는 용 · 봉황 · 사자 · 와운(渦雲) · 귀면(鬼面) · 산경(山景) 등이 조각되었는데 그 수법에는 백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제석굿 불사제석굿, 帝釋─하위 굿거리로서, 불사제석굿(중부지방)·시준굿(동해안)·셍굿(함경도) 등의 다른 이름이 있다. 제석굿은 지역에 따라 성격이 다소 차이를 보이나 불교적 색채가 가장 강한 굿거리라는 특징이 있다. 중부지방에서는 큰굿 열두거리 중 셋째 거리(오산)나 다섯째 거리(서울)에서 제석거리가 행하여진다. 무녀는 노란색...
- 성격 :
- 굿거리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전등사 약사전 후불탱 傳燈寺 藥師殿 後佛幀▽사천왕 중 2명의 천왕은 불단 앞에 배치하고, 다른 천왕은 가섭과 아난 좌우에 배치하였다. 비록 불 · 보살의 상호가 변색되었지만 주조색인 홍색과 녹색의 색채가 선명하며, 불 · 보살과 사천왕의 복식마다 원문(圓文)과 화문(花文) 등으로 장식하고 보살의 신광(身光)을 오색광채로 표현하여 화려함을 더했다. 특징...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양명학 陽明學一元論)은 일체의 존재가 마음에 섭수(攝受)되는 심론(心論)으로서 성(性)을 이로, 마음을 기로 보는 주희의 성즉리(性卽理)·심즉기(心卽氣)설과는 대립적 색채를 띠지 않을 수 없다. 이런 결과로 지식과 실천에 관해서도 지식이 선행하고 실천이 뒤따른다는 이른바 선지후행적(先知後行的)인 주희식의 주지주의를 배격...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박고석 박요섭(朴耀燮), 朴古石산의 사계절을 그림으로 남겼다. 1970~80년대에 그린 산 그림은 원근법을 무시한 공간, 두터운 유화물감의 질감, 힘과 탄력이 넘치는 필치, 강렬한 색채대비를 통해 산의 감동을 표현하였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부드러운 필치로 잔잔한 여운이 감도는 소박한 풍경을 그렸다. 대표작으로는 6·25전쟁 중의 상황을 강렬...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가을어느날이인성은 고갱의 양식을 빌려왔지만 조선인의 체형과 얼굴을 지닌 인물과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상적인 사물, 낯익은 풍경을 통해 조선적인 색채와 형태, 정서를 담고자 하였다. 의의와 평가 푸른 가을 하늘, 여인의 적갈색 피부, 초록색과 노란색 식물, 붉은 대지에서 뿜어 나오는 강렬한 원색 등 풍부한...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김주경 金周經출품하였고, 이때부터 녹향회를 민중적․계몽적․민족적 성격으로 전개시켜 나아갔다. 1932년 3회전을 계획하였으나 일제의 간섭으로 좌절되었다. 1938년 10월...초기 작품 경향은 서정적 사실주의다. 그러나 1935년 무렵부터는 오지호와 더불어 19세기 프랑스 인상주의 화법의 신선하고 밝은 색채 및 빛의 미학에 심취...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청룡영화상 靑龍映畵賞취지 아래 만든 이 은막의 축제는 11월 30일 서울시민회관에서 열렸다. 시상 부문은 최우수작품상을 비롯 감독, 남녀주·조연, 각본, 촬영(처음엔 흑백·색채 분리), 음악, 미술, 기술상 등 11개 분야이며, 최우수작품상은 남녀주연(김승호·황점순), 각본상(임희재) 등 6개 부문을 차지한 김수용 감독의 「혈맥(血脈...
- 시대 :
- 현대
- 성격 :
- 영화상, 문화축제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예술·체육/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