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화 온수리 성공회성당 江華 溫水里 聖公會聖堂축조한 것으로 현존 건물과 같은 모습의 건물이었으나, 본당 보수시 부식이 심했던 기둥과 벽체를 모두 해체하고 시멘트 블록으로 축조하고, 지붕만 목조건축으로 꾸민 것이다. 의의와 평가 한국의 전통적인 건축기법을 활용하여 종교적인 성당건축 방법과 공간 구성을 확립한 동서 절충식 강당형의 목조건물로, 초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개신교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부석사 경내에 있는 고려시대 목조건물. 국보(1962.12.20 지정). 1916년 해체·수리할 때 발견된 묵서명에는 원융국사(964~1053)가 1376년에 중수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연대상 서로 차이가 있어 당시 주지로 있었던 원응국사를 잘못 쓴 것으로 추측된다. 기단의 동쪽 석면에 새겨진 명문에는 충원군의 석공인 김애선...
- 문화재 지정 :
- 국보(1962.12.20 지정)
-
19세기 건축, 퓨진과 기독교 사회주의 운동윤곽에 띠를 둘러 최소한의 장식을 확보했다. 실내는 목조 트러스를 노출해 천장 구조를 짰고 벽면은 역시 지역 재료인 위트비 석재를 이용하여 애슬러(ashlar...복도가 중심을 잡았고 여기에 직각으로 일곱 개의 짧은 복도가 가로질렀다. 이런 배치는 보자르 건축의 '복도의 효율적 배치'에 의한 십자축 질서에 해당...
-
개심사 開心寺있다. 건축 양식은 다포계(多包系) · 주심포계(柱心包系) · 익공계(翼工系)의 형식을 골고루 갖추고 있다. 당우 가운데 대웅전은 1484년(성종 15)에 건립한 건물이며, 내부에는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 · 지장보살을 봉안하고 있다. 심검당은 그 남쪽으로 ㄴ자형의 다른 요사와 함께 연결되어 있고 정면 3칸, 측면 3칸...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안동 봉정사 극락전 安東 鳳停寺 極樂殿상량문(上樑文)에는 1363년(공민왕 12)에 건물의 지붕을 중수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어서, 적어도 고려 중기인 12∼13세기에 세워진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임이 밝혀지게 되었다. 경상북도 의성 탑리의 오층석탑, 경주 불국사 청운교 돌난간의 기둥, 전라남도 화순 쌍봉사의 철감선사탑(澈鑒禪師塔) 기둥 등...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화반 華盤, 花盤사용하는데, 넓은 의미에서는 이 부재도 화반에 포함된다. 연원 및 변천 화반의 모습은 삼국시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처음으로 확인된다. 이 벽화에는 목조건축의 모습이 그려져 있는데, 여기에 등장하는 화반의 모습은 인(人)자형, 일두삼승식 첨차형, 짧은 기둥형의 세 가지 유형이 나타난다. 이 세 가지 유형은 이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목장 大木匠제도술도 그 나름으로 익혀야 한다. 곧 먹줄 튀기는 일은 우리나라 건축의 법식과 기법에 통달하여야만 한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목조건축이 발달하여 궁궐과 사찰건물이 모두 목조였다. 따라서, 목수에게 주어진 벼슬 또한 상당하였으리라 생각된다. 통일신라의 관직을 보면 도시행정을 관장하는 전읍서(典邑署)에 경...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김천 직지사 대웅전 金泉 直指寺 大雄殿갑판 위는 안쪽으로 들여 중대목과 같은 모습의 1단 보조 탁자를 놓고서, 탁자 뒤에 석가모니불·약사불·아미타불 등 삼세여래좌상(三世如來坐像)을 8각의 목조대좌 위에 봉안하였다. 불상 뒤의 제법 높은 후불벽에는 칸마다 1폭씩 3폭의 후불탱화가 걸려 있고, 불상 위의 천장에는 평면이 ‘아(亞)’자형인 운궁형...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