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검은방패뭉툭맵시벌없다. Juxtacoxal carina는 없고 submetapleural carina는 강하다. 앞다리 넓적다리마디는 배면은 흑색이고 등면은 황색이며 폭은 길이의 0.43-0.6배이다. 도래마디와 밑마디는 흑색이고 종아리마디는 황색이다. 발목마디는 암황색이고 길이 비는 5.0:1.67:1.5:1.0:3.7이다. 발톱은 단순하다. 가운데다리 넓적다리마디는...
- 분류 :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곤충강(insecta) > 벌목(Hymenoptera) > 맵시벌과(Ichneumonidae)
- 학명 :
- Colpotrochia jozankeana jozankeana Uchida
- 국내분포 :
- 경기도 포천군 소흘읍 직동리 광릉
- 해외분포 :
- 일본(중부, 남부)
- 발생시기 :
- 7월~10월
-
큰부리바다오리 Thick-billed Murre번식하고 북태평양, 북대서양에서 월동한다. 지리적으로 4아종으로 나눈다. 국내에서는 대부분 동해 먼 바다에서 월동하는 드문 겨울철새다. 11월 초순에 도래하며, 3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바다오리와 매우 비슷하며, 대부분 먼 바다에서 생활한다. 특징 몸윗면의 색은 바다오리보다 진하다. 부리가 바다오리보다...
- 분류 :
- 바다오리과(Alcidae)
- 서식지 :
- 북미대륙, 그린란드, 유럽 북부, 러시아 북부의 북극권 일대 해안 절벽 및 도서에서 번식하고 북태평양, 북대서양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40~44cm
- 학명 :
- Uria lomvia Thick-billed Murre / Brunnich's Guillemot
-
흑꼬리도요 Black-tailed Godwit아프리카, 유럽 남부,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지리적으로 3아종으로 나눈다. 국내에서는 흔한 나그네새다. 봄철에는 4월 중순에 도래해 5월 하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중순에 도래해 10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물 고인 논, 습지, 하구, 갯벌에 서식한다. 무리를 이루어 먹이를...
- 분류 :
- 도요과(Scolopacidae)
- 서식지 :
- 유라시아대륙 중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유럽 남부,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36.5~38.5cm
- 학명 :
- Limosa limosa Black-tailed Godwit
-
흰이마기러기 Anser erythropus하얀색이 특징이다. 생태 서식지: 농경지를 선호한다. 먹이습성: 낟곡을 먹는다. 행동습성: 우리나라의 희귀한 겨울철새로서 소수가 다른 기러기류와 함께 도래한다. 보통 쇠기러기 무리에 1개체 또는 소수가 도래한다. 참고 집필진 : 최성훈, 백인환, 유재평, 백운기 참고문헌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
- 분류 :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기러기목(Anseriformes) > 오리과(Anatidae)
- 학명 :
- Anser erythropus (Linnaeus, 1758)
- 멸종위기등급 :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I급
- 국내분포 :
- 겨울철 매우 드물게 관찰되며 쇠기러기 무리에 섞여 월동한다.
- 해외분포 :
- 유라시아대륙의 북극권에서 번식하고, 유럽 남부, 중동, 중국의 양쯔강 중류에서 월동한다.
- 특징 :
- 길잃은새
-
회색바람까마귀 Ashy Drongo주변에 흰색이 있다. 꼬리는 길며 가운데가 오목하고, 외측꼬리깃 끝 부분이 밖으로 향한다. 아종 지리적으로 15아종으로 나눈다. 아종 간 색 차이가 크다.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중국 중부, 북부, 동부에 분포하는 leucogenis이며 다른 아종에 비해 색이 엷고 눈앞에서 귀깃까지 흰색이다. 중국 동남부에 분포하는...
- 분류 :
- 바람까마귀과(Dicruridae)
- 서식지 :
- 아프가니스탄에서 중국, 대만, 하이난, 안다만제도, 대순다열도, 팔라완에 서식한다.
- 크기 :
- L25.5cm
- 학명 :
- Dicrurus leucophaeus Ashy Drongo
-
검은배마디뭉툭맵시벌융기선은 있다. 중앙경선융기선은 약하게있다. costula와 areola는 없다. 앞다리 넓적다리마디는 흑색으로 정단에 황색부분이 있고 폭은 길이의 0.5배이다. 도래마디와 밑마디는 흑색이고 종아리마디는 진한 황색이다. 발목마디는 암황색이고 길이 비는 6.0:1.33:1.0:1.0:5.33이며 발톱은 단순하다. 가운데다리 넓적다리...
- 분류 :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곤충강(insecta) > 벌목(Hymenoptera) > 맵시벌과(Ichneumonidae)
- 학명 :
- Colpotrochia nigra K.
- 해외분포 :
- 일본(남부)
- 발생시기 :
- 7월
-
한반도도래인 한반도귀화인, 韓半島渡來人의 표현대로 ‘귀화인’ 으로 불러왔으나 ‘귀화’는 중화사상에 근거한 용어로서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①이주자 중에는 귀화 이외의 사정으로 도래한 자가 대부분이다. ②일본열도 내에 귀화해야 할 국가가 확립되어 있지 않은 단계의 이주자를 귀화인이라 부르는 것은 부적절하다. ③귀화인이란 용어에는...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고대사
-
붉은어깨도요 Great Knot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큰 무리를 이루어 통과하는 흔한 나그네새다. 봄철에는 4월 중순에 도래해 5월 하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초순에 도래해 10월 중순(드물게 11월 초)까지 관찰된다. 행동 갯벌, 해안의 모래펄, 하구에 서식한다. 항상 무리를...
- 분류 :
- 도요과(Scolopacidae)
- 서식지 :
- 시베리아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28cm
- 학명 :
- Calidris tenuirostris Great Knot
-
알락꼬리마도요 Far Eastern Curlew번식하고, 필리핀,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국제적으로 희귀한 종이지만 국내에서는 비교적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다. 봄철에는 3월 초순에 도래해 5월 중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초순에 도래해 10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드물게 월동한다. 행동 해안 백사장, 갯벌, 하구, 물 고인 논, 풀밭...
- 분류 :
- 도요과(Scolopacidae)
- 서식지 :
- 시베리아 동북부, 중국 동북부에서 번식하고, 필리핀,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58.5~61.5cm
- 학명 :
- Numenius madagascariensis Far Eastern Curlew
-
지느러미발도요 Red-necked Phalarope북극해 연안에서 번식하고, 인도양, 남태평양, 페루의 먼 바다에서 월동한다. 먼 해상을 통과하는 흔한 나그네새이지만 관찰이 어렵다. 봄철에는 4월 초순에 도래해 5월 하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중순에 도래해 9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암컷 깃이 수컷 깃보다 더 아름다우며, 암컷이 수컷에게 구애와...
- 분류 :
- 도요과(Scolopacidae)
- 서식지 :
- 유라시아대륙과 북아메리카의 북극해 연안에서 번식하고, 인도양, 남태평양, 페루의 먼 바다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17~19cm
- 학명 :
- Phalaropus lobatus Red-necked Phalarope
-
되새 brambling소아시아, 중앙아시아, 러시아 극동, 한국, 중국, 일본에서 월동한다. 한국에서는 매우 흔한 겨울철새이며, 매우 흔히 통과하는 나그네새다. 10월 초순부터 도래해 통과하거나 월동하며, 5월 초순까지 통과한다. 행동 농경지, 하천가 관목, 야산 등지에 서식한다. 보통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불규칙하게 수십만 마리...
- 분류 :
- 되새과(Fringillidae)
- 서식지 :
- 스칸디나비아에서 캄차카, 사할린의 아한대에서 번식하고, 북아프리카, 유럽, 소아시아, 중앙아시아, 러시아 극동, 한국, 중국, 일본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15.5~16.5cm
- 학명 :
- Fringilla montifringilla Bramb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