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랴오둥반도를 포기한 일본일전쟁을 마무리 했다. 승전한 일본은 청나라로부터 랴오둥반도, 타이완, 펑후제도와 배상금 2억 냥(일본의 3년치 예산이 넘는 금액)을 받고 중경 등을 새 개항장으로 확보했다. 그런데 6일 후, 러시아 ・ 독일 ・ 프랑스가 랴오둥반도를 포기하라고 요구했다. 일본이 랴오둥반도를 차지하면 평화가 위협받는다는 것이...
- 시대 :
- 1895년 3월 23일
- 국가/대륙 :
- 한국
-
-
주문진항 注文津港개설 부산∼원산 간 항로의 중간기항지가 되면서 여객선과 화물선이 입항하기 시작하였으며, 1927년 6월에 본격적인 개항장이 되었다. 현황 강릉의 외항으로 동해안 유수의 어항이며, 속초항과 함께 한국전쟁 때 수복된 어항이다. 천연의 양항이라 할 정도는 아니지만, 방파제의 완성으로 영동지방에서 제일의 어항이...
- 성격 :
- 항구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강원도 강릉시
- 분야 :
- 경제·산업/교통
-
제생의원의 종두 실시2월 10일, 제생의원이 매월 15일 종두를 실시하겠다고 고시했다. 제생의원은 1876년 12월 29일(음력)에 일본이 개항장 부산에 세운 병원으로 군의관들이 진료를 맡았다. 일본인을 위한 병원이었지만 조선인에 대한 치료도 병행했다. 먼저 습득한 서양식 의술을 활용해 일본의 우수성을 깨닫게 하고, 이를 통해 일본이...
- 시대 :
- 1877년 2월 10일
- 국가/대륙 :
- 한국
-
포항시 산업과 교통포항을 잇는 국도가 남부를 지난다. 또한 울진-부산을 잇는 국도가 지난다. 경주와는 4차선 국도로 연결되어 경부고속도로로 이어진다. 1962년 포항항이 개항장으로 지정되면서 해상교통의 중심지가 되었다. 포항항은 조수간만의 차가 작고 수심이 깊은 영일만 깊숙이 위치한 천혜의 양항으로, 이는 포항공업단지의 선정...
-
-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8월 23일, 조선과 청나라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을 체결했다. 이전에 외국 상인은 개항장에서 10리 이내에서만 장사를 할 수 있었지만,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은 청나라 상인들에게 그 바깥에서도 장사를 할 수 있는 권리를 주었다. 이로써 도성 안에서 상점을 열 수 있게 된 청나라 상인들은...
- 시대 :
- 1882년 8월 23일
- 국가/대륙 :
- 한국
-
묵은 묵양은(墨洋銀), 墨銀널리 활용되었다. 16세기 이래 멕시코에서 주조하였으며, 질이 고르고 중량이 정확하여 동양에서는 무역 화폐로 쓰기도 하였다. 조선이 일본과 개항한 이후 개항장과 조계지를 중심으로 외국과 접촉하면서 공용화폐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였고 조선에서도 멕시코 은화를 결제 수단으로 채택하여 무역 대금과 관세를...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물품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성진만 城津灣성진 새풍[沙風]’이 유명하다. 만 입구가 넓기는 하나 동남풍은 약한 바람이고 수심이 깊어 천연적인 양항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에 성진항은 일찍부터 개항장(開港場)으로 이 지역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배후지에서 운반된 목재나 철광을 이용하여 제재·펄프·제철·금속 공업이 발달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 성격 :
- 만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함경북도 성진시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일본의 대동강 입구 개항 요구일본이 이러한 철도를 개항하라고 요구한 것은 청나라 상인들의 밀무역때문이었다. 일본 상인보다 한발 늦게 조선에 들어온 청나라 상인 중 일부는 개항장이 아닌 평양을 근거지로 삼아 밀무역을 자행했다. 이를 부추긴 건 위안스카이였다. 위안스카이는 조선 해관(조선의 관세 자주권 회복 시도 실패 참조)이 청나라...
- 시대 :
- 1891년 2월
- 국가/대륙 :
-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