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랴오둥반도를 포기한 일본
    일전쟁을 마무리 했다. 승전한 일본은 청나라로부터 랴오둥반도, 타이완, 펑후제도와 배상금 2억 냥(일본의 3년치 예산이 넘는 금액)을 받고 중경 등을 새 개항장으로 확보했다. 그런데 6일 후, 러시아 ・ 독일 ・ 프랑스가 랴오둥반도를 포기하라고 요구했다. 일본이 랴오둥반도를 차지하면 평화가 위협받는다는 것이...
    시대 :
    1895년 3월 23일
    국가/대륙 :
    한국
  • 장승포항 長承浦港
    1966년 4월 개항장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항만법상 무역항에 속한다. 거제도의 동남쪽 해안의 장승포만 안에 개발된 천연의 양항으로, 항구는 남동쪽으로 열려 있다. 거제도의 해안일대는 청정수역으로 지정될 만큼 물이 맑고 대구·삼치·감성돔·도다리·농어·꽁치 등 다양한 고급 어류가 모여드는 어장으로, 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남도
  • 주문진항 注文津港
    개설 부산∼원산 간 항로의 중간기항지가 되면서 여객선과 화물선이 입항하기 시작하였으며, 1927년 6월에 본격적인 개항장이 되었다. 현황 강릉의 외항으로 동해안 유수의 어항이며, 속초항과 함께 한국전쟁 때 수복된 어항이다. 천연의 양항이라 할 정도는 아니지만, 방파제의 완성으로 영동지방에서 제일의 어항이...
    성격 :
    항구
    유형 :
    지명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분야 :
    경제·산업/교통
  • 제생의원의 종두 실시
    2월 10일, 제생의원이 매월 15일 종두를 실시하겠다고 고시했다. 제생의원은 1876년 12월 29일(음력)에 일본이 개항장 부산에 세운 병원으로 군의관들이 진료를 맡았다. 일본인을 위한 병원이었지만 조선인에 대한 치료도 병행했다. 먼저 습득한 서양식 의술을 활용해 일본의 우수성을 깨닫게 하고, 이를 통해 일본이...
    시대 :
    1877년 2월 10일
    국가/대륙 :
    한국
  • 포항시 산업과 교통
    포항을 잇는 국도가 남부를 지난다. 또한 울진-부산을 잇는 국도가 지난다. 경주와는 4차선 국도로 연결되어 경부고속도로로 이어진다. 1962년 포항항이 개항장으로 지정되면서 해상교통의 중심지가 되었다. 포항항은 조수간만의 차가 작고 수심이 깊은 영일만 깊숙이 위치한 천혜의 양항으로, 이는 포항공업단지의 선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마산항 馬山港
    1899년 5월에 개항되었으며, 1913년 일제 식민지 정책에 의해 폐쇄되었다가 1949년 6월 개항장으로 지정되어 부산항의 보조항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1960년대 중반부터는 상공업의 발달로 공업기능의 비중이 높아졌고, 1970년대에는 마산수출자유지역이 설치되고 창원종합기계단지가 건설되면서 국제항으로서의 기능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남도
  •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8월 23일, 조선과 청나라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을 체결했다. 이전에 외국 상인은 개항장에서 10리 이내에서만 장사를 할 수 있었지만,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은 청나라 상인들에게 그 바깥에서도 장사를 할 수 있는 권리를 주었다. 이로써 도성 안에서 상점을 열 수 있게 된 청나라 상인들은...
    시대 :
    1882년 8월 23일
    국가/대륙 :
    한국
  • 청의 개항
    헤이룽 강[黑龍江] 유역의 방대한 영토가 러시아에 할양되었을 뿐 아니라 공사관·조계·외국인세무사 제도가 생겨났다. 사회적·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개항장이 도합 16개로 확대되고 내지 여행권, 내해(內海) 항행권이 보장되면서 중국은 서양의 상품시장 및 원료시장화되었다. 특히 외국상품에 대한 내지 통관세의...
    도서 다음백과
  • 묵은 묵양은(墨洋銀), 墨銀
    널리 활용되었다. 16세기 이래 멕시코에서 주조하였으며, 질이 고르고 중량이 정확하여 동양에서는 무역 화폐로 쓰기도 하였다. 조선이 일본과 개항한 이후 개항장과 조계지를 중심으로 외국과 접촉하면서 공용화폐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였고 조선에서도 멕시코 은화를 결제 수단으로 채택하여 무역 대금과 관세를...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물품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성진만 城津灣
    성진 새풍[沙風]’이 유명하다. 만 입구가 넓기는 하나 동남풍은 약한 바람이고 수심이 깊어 천연적인 양항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에 성진항은 일찍부터 개항장(開港場)으로 이 지역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배후지에서 운반된 목재나 철광을 이용하여 제재·펄프·제철·금속 공업이 발달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성격 :
    유형 :
    지명
    소재지 :
    함경북도 성진시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일본의 대동강 입구 개항 요구
    일본이 이러한 철도를 개항하라고 요구한 것은 청나라 상인들의 밀무역때문이었다. 일본 상인보다 한발 늦게 조선에 들어온 청나라 상인 중 일부는 개항장이 아닌 평양을 근거지로 삼아 밀무역을 자행했다. 이를 부추긴 건 위안스카이였다. 위안스카이는 조선 해관(조선의 관세 자주권 회복 시도 실패 참조)이 청나라...
    시대 :
    1891년 2월
    국가/대륙 :
    한국
  • 경무관 警務官
    1895년 경무청 관제에서는 12명 이하로 규정하였으나 1900년에는 15명으로, 1901년에는 다시 12명을 두었다. 1894년 8월 6일에 다시 관제의 일부를 고쳐 각 개항장의 감리서에 배치되었던 경찰관을 경무관으로 개칭하여 이를 수도경찰청인 경무청에 소속시키고 각 관찰사의 지휘·감독을 받게 하였다. 그리고 경무관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멀티미디어8건

부산항(개항 초기)
제물포 부두(개항)
부산항(개항 초기)
개항기 부산 부두
목포항(개항)
인천 제물포 개항장 찾아가는 길
인천 개항장의 현재 모습
요코하마 개항장의 외국 선박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