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청양 장곡사 하 대웅전 靑陽 長谷寺 下 大雄殿에는 각각 1조씩을 놓았다. 건물 앞면의 공포는 바깥쪽으로 뻗은 쇠서[牛舌]가 조금 아래로 처졌지만, 그 위에는 머리를 덩굴풀무늬[唐草文]로 새긴 쇠서인 한대(限大)를 두었다. 건물 안쪽의 공포는 제2단의 살미까지 끝부분이 둥근 교두형(翹頭形)이며, 그 위에는 덩굴풀무늬를 조각한 보아지[梁奉]를 놓았다. 건물...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상수론 象數論저술로 주희(朱熹)의 『주역본의(周易本義)』를 들 수 있다. 상수역은 역전(易傳 : 十翼)에서 발원(發源)하여 음양오행설의 성행과 자연 법칙을 중시하는 한대(漢代)의 기풍 속에서 나온 사상 체계이다. 대표적 인물로 맹희(孟喜) · 경방(京房) · 비직(費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납갑(納甲) · 동효(動爻...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
주역 역경, 周易십익은 단전(彖傳) 상하, 상전(象傳) 상하, 계사전(繫辭傳) 상하, 문언전(文言傳)·설괘전(說卦傳)·서괘전(序卦傳)·잡괘전(雜卦傳) 등 10편을 말한다. 한대(漢代)의 학자 정현(鄭玄)은 “역에는 세 가지 뜻이 포함되어 있으니 이간(易簡)이 첫째요, 변역(變易)이 둘째요, 불역(不易)이 셋째다”라 하였고, 송대의 주희...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유약 釉藥같은 초목의 재에는 소량의 철분이 있어서 산화번조 때에는 엷은 황갈색을 띠고 환원번조 때에는 엷은 녹청색을 띠므로 이것이 초기 청자유의 발생동기이다. 한대(漢代)에 성행하였던 회유는 후한에서는 생산지가 집약되어 원료가 풍부한 저장성(浙江省) 지방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고월자(古越磁)와 같은 청자유를 입힌...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장마梅雨), 중국에서는 메이유(梅雨)라고 한다. 이들 우계는 동부아시아 특유의 현상으로서 아열대 기단인 북태평양기단과 고위도의 한 대 기단 사이에 형성되는 한대전선(寒帶前線)에 의하여 나타난다. 동부아시아 규모의 한대전선의 일부가 우리나라에 장마를 초래할 때 그것을 장마전선이라고 한다. 내용 장마철의 기후적...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춘추 春秋춘추』를 지었다고 하는 제작 동기가 서술되어 있다. 『순자』 권학(勸學) · 유효(儒效)에서는 처음으로 『춘추』를 경(經)으로서 다루고 있다. 이로부터 한대(漢代)에 이르러 비로소 『춘추』에 담겨져 있는 공자의 미언대의(微言大義)를 밝히려는 춘추학(春秋學)이 성립되었다. 『춘추』는 단순한 역사적 사실만을...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귀면문 鬼面文귀면문의 기원은 중국의 은나라 이후 청동기의 문양으로 시문된 도철문(饕餮文)에 있다. 그러나 귀면문이라는 개념에 포함될 수 있는 형식이 성립된 시기는 한대(漢代)로 생각된다. 도철문은 크게 뜬 눈과 그 위의 거대한 뿔, 그리고 분명하지는 않으나 치아가 보이는 입이 문양의 주된 부분이다. 이 밖에 전지 혹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와당 瓦當의 하도(下都)인 역현(易縣) 또는 제(齊)의 국도인 임치(臨淄) 등에서 출토된 예가 있으나 이곳에서는 반원형의 와당을 포함한 많은 기와의 발견이 보고되었다. 한대(漢代)가 되면 궁원·관아·능묘·사당은 물론 일반 가옥에까지 원형의 수막새기와가 널리 사용되며, 문양은 문자·고사리·사엽(四葉)·동물 등으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