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호 강윤희(姜潤熙), 姜湖에서 가난한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나 1920년 열두 살 때 상경했다가 일본으로 건너가 잡역일과 날품팔이를 하면서 미술수업을 했다. 귀국 후 1927년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에 가입하여 평양 고무공장 노동자들의 파업투쟁을 위한 전단과 벽보를 제작했다. 1928년프로예맹 미술부와 영화부 사업에 참여했다. 1930...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현대
- 출생 :
- 1908년 8월 6일
- 사망 :
- 1984년 7월 3일
- 경력 :
- 북한 예술학부 교수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공산주의자협의회 사건
- 직업 :
- 화가, 무대미술가, 영화감독
- 대표작 :
- 영화 〈암로〉(1928), 〈또 다시 전선으로〉(1951)/ 무대미술 〈개화촌〉(1945), 〈조선의 어머지〉(1958)/ 저술 『무대미술의 기초』(1963) 등 외 다수.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마르크스주의의 도입과 중국 공산당 창립성공한 뒤 레닌은 공산주의자의 국제 조직인 ‘공산주의 인터내셔널(Communist International)’, 곧 ‘코민테른’을 결성했다. 이것을 통해 유럽의 프롤레타리아 혁명운동을 추진함과 동시에 아시아 지역의 민족운동을 일으키려 했던 것인데, 문제는 식민지나 피압박 국가에서는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세력이 매우 미약...
-
한효 韓曉개설 본명은 한재휘(韓在暉). 함경남도 함주 출생. 카프(KAPF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제1차검거사건 이후 계급문예운동에 가담하여 카프 중앙위원을 역임했으며 프로문예비평에 주력하였다. 생애와 활동사항 1930년대 중반에 벌어진 사회주의리얼리즘의 도입을 둘러싼 창작방법논쟁에 김두용(金斗鎔)과 함께 논전...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12년
- 사망 :
- 미상
- 경력 :
- 카프 중앙위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평론가
- 대표작 :
- 신창작방법의 재인식을 위하여, 문학비평의 신임무, 건국과 예술운동, 문학자의 자기비판 등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리다자오 이대교, 李大釗않았으나 천두슈와는 사상적인 논쟁을 주고받으며 교류했다. 게다가 1917년 소련에서 볼셰비키 혁명[1917년 11월 6일(러시아 구력 10월 24일)에 일어난 프롤레타리아 혁명. 볼셰비키의 주도하에 군대와 노동자들이 봉기했으며, 이로써 볼셰비키는 페트로그라드 전체를 장악했다]이 일어나 볼셰비키가 정권을 장악하고...
- 출생 :
- 1889년
- 사망 :
- 1927년
-
백만양화회 白蠻洋畵會예정이라는 기사가 실렸지만, 전람회가 개최된 사실은 확인되지 않는다. 단체를 주도한 인물인 김용준은 유학중인 1927년부터 28년까지 「화단개조」, 「프롤레타리아미술비판」과 같은 비평을 국내에 발표하였고 대구의 ‘영과회전(0科會展)’에 참가하기도 했다. 1930년에 김용준은 도쿄미술학교 동문들과 함께 동미회...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위치 :
- 東京市外 野方町 下蘆宮 百十四
- 설립 :
- 1930년 12월
- 성격 :
- 미술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김용준, 길진섭, 구본웅, 이마동, 김응진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
내용형식 논쟁 內容形式 論爭것은 시기상조의 공론(空論)에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 단계에서는 투쟁을 위한 문학을 제작해야 하며, 그를 위해서는 프롤레타리아 전 문화, 나아가 프롤레타리아 혁명운동의 한 부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학은 완전한 건물이 아닌 건축의 한 부분, 즉 ‘서까래’나 ‘기둥’이나...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프롤레타리아 혁명과 공산주의 국가의 수립, 러시아 혁명붉은 군대’를 만들어 반혁명 세력을 격파했다. 안팎의 적을 정리한 레닌은 이제 새 집을 짓는 데 착수했다. 의회를 해산하고 새로운 헌법을 채택하여 프롤레타리아 독재 체제가 확립되었고, 공산당 외의 정당 활동은 금지되었다. 수도도 페트로그라드에서 모스크바로 옮겼다. 1922년 12월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등 다른...
- 시대 :
- 1917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