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간헐적 단식 Intermittent fasting
    등 3가지를 강조하면서 이른바 5대 2 다이어트 방법을 제시했다. 1주일에 5일은 충분히 식사하되, 2일은 제한된 칼로리 내에서 섭취하라는 것이다. 한국 사회에 ‘간헐적 단식’ 열풍을 몰고 온 것은 SBS 스페셜 〈끼니 반란〉(2부작)으로, 이후 간헐적 단식은 한국 사회에서 새로운 다이어트 트렌드로 떠올랐다. 박민수...
  • 달관 세대 논쟁
    살라고 꼬드긴다”는 음모론적 시각도 있었다. 달관 세대 기사를 작성한 김강한은 “본지의 보도는 그들을 긍정하는 것도 부정하는 것도 아니었다. ‘우리 사회에서 유례가 없는 유형의 젊은이들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기성세대가 함께 생각해보자는 취지”라고 말했지만, 달관 세대에 대한 비판도 적지...
  • ABCD론
    C급 여성, C급 남성은 D급 여성과 결혼하기 때문에 결국 시장엔 A급 여성과 D급 남성만 남는다는 것이다. ABCD론은 결혼 상대로서 남성이 여성보다 조금은 사회적 지위가 나아야 한다는 전통적인 관념 때문에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2년 서울시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경제활동인구 조사’를 분석...
  • 정파 저널리즘
    한겨레』 기자, 박성호 전 MBC 기자가 1992년 대선 이후 20년간 『조선일보』·『중앙일보』·『한겨레』 3개 신문의 선거보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 사회의 보수와 진보를 대표하는 『조선일보』·『한겨레』가 민주화 이후 대통령 선거 보도에서 특정 후보를 대변하는 정파적 보도 비율을 늘린 것으로...
  • 다이어트 콜라 민주주의
    정치 행위에도 나타납니다. 세금 없이 복지를 얻으려고 하고, 장기적인 안목 없이 모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임시방편으로 내놓죠. 현대 소비 만능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 소비자들은 끊임없는 소비를 통해 단기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이런 경향이 정치에도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습니다.” 다이어트 콜라 민주주의...
  • 젠트리피케이션 gentrification
    황폐한 노동자들의 거주지에 중산층이 이주를 해오면서 지역 전체의 구성과 성격이 변하자 이를 설명하면서 처음 사용한 말이다. ‘신사 계급, 상류 사회, 신사 사회의 사람들’을 뜻하는 gentry와 화(化)를 의미하는 fication의 합성어다.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HK 연구교수 이기웅은 일반적으로 젠트리피케이션...
  • 주선율 드라마 主旋律 드라마
    수입을 축소하고 황금시간대에는 주선율 드라마만 방송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중국의 황금시간대에는 중국 정부의 요구에 부응해 '화합사회건설'을 도모하는 사회 각 계층 간 화합, 애국심 고취와 올바른 인성 계발, 전통문화 발양(發揚) 등을 소재로 한 드라마가 제작되어 전파를 탔는데, 주선율 드라마에 대한...
  • 사회 社會
    함께 근대 사회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바로 세속적 합리주의의 강화이다. 세속적 합리주의는 종교로부터 벗어난 계몽과 과학적 지식에 입각한 합리성을 중요시하는 근대 사회의 가치와 이상을 강조한 사회학자 베버가 중요시했다. 베버에게 합리성이란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는데 가장 적합한 수단을 선택한다는...
    유형 :
    개념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에코 세대 Echo-Boom Generation
    넘는 수치다. 에코 세대는 풍족한 환경에서 자라 유행에 민감하고, 쇼핑을 좋아하며, 컴퓨터와 IT에 능하지만 학자금 대출이나 취업난 등으로 인해 사회 진입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기도 하다. 에코 세대는 '삼포세대(三抛世代)'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취업난으로 인해 취업·결혼·출산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 쇼닥터 가이드라인
    쇼닥터가 사회적 논란이 되자 2015년 3월 대한의사협회(의협)가 내놓은 ‘의사방송출연 가이드라인’이다. 쇼닥터 가이드라인은 의사는 의학적 지식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전달해야 한다, 의사는 시청자들을 현혹시키지 않도록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의사는 방송을 의료인, 의료기관 또는 식품 ·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 지식 네트워크 knowledge network
    구축한 네트워크. 전문가 시스템은 대규모인 단독 시스템으로 구축하는 것보다도, 복수의 부전문가 시스템으로 되는 분산형 지식 시스템으로서 구축하는 편이 자연스럽다고 하는 생각에 의거하고 있다. 구체적인 시스템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데, 민스키의 ‘마음의 사회의 모델’, 휴이트(Hewitt, C.)의 액터 모델 등이...
    분야 :
    인공지능
  • VIK very important kids
    야기하고 상대적 박탈감과 소외감을 느끼게 한다. 이는 또한 가난의 대물림, 부의 세습 지표가 됨은 물론 좀 더 과장해서 말한다면 사회적 병리현상의 단초를 제공하는 한편 사회 불만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 않을까. 럭셔리 아이스링크 파티에 초대 받지 못한 아이들은 일찌감치 사회의 불합리를 느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피터 드러커(Peter Ferdinand Drucker)
인문학적 소양뿐 아니라 사회 과학적 통찰과 자연 과학적 지식까지 두루 활용하며 기존 비평의 경계를 넓혀놓은 김인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