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일 수호 조규 朝日 守護 條規
    모두 일컫는다. 조일 수호 조규는 모두 12개조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내용은 조선이 종전의 청나라와 종속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국제적으로 자주국이라는 점이...법권 인정, 일본 화폐 통용과 무관세 무역 등을 포함하는 불평등조약이었다. 조약은 부산항을 가장 먼저 개항할 것을 규정하면서 제4관에 구체적인 내용...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위정척사파
    청나라의 번국으로 인식되던 조선을 자신들의 영향력 아래 두고자 하였다. 청나라 이홍장이 주청사로 간 이유원에게 일본과 갈등을 일으키지 말것을 주문하자...조약이었지만 포함 외교 뒤에 주도권을 빼앗긴 채 이루어진 불평등 조약이었다. 강화도 조약에 앞서 최익현은 일본과 서양이 한 통속이라는 왜양일체론을...
    도서 위키백과
  • 무쓰 무네미쓰 Mutsu Munemitsu, 陸奥宗光
    1894년 영국과 영일통상항해조약을 체결하였다. 막말 이래의 불평등조약인 치외법권 철폐에 성공한다. 이후 미국과도 같은 조약에 조인,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모두와의 조약 개정(치외법권 철폐)을 이루었다. 한편, 같은 해 5월에 조선에서 동학 농민 운동이 시작되면 청나라의 출병에 대한 대항으로 파병, 7...
    도서 위키백과
  • 부산경남지역본부세관 釜山慶南地域本部稅關
    목적으로 관찰소가 있던 두모포[현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 동구청 자리]에 두모진해관을 개설하였다. [변천] 1. 개항~ 일제강점기 불평등 조약에 따른 무관세 통상의 부당함을 인식한 조선은 1878년 9월 28일 두모포에 해관[세관의 옛 명칭]인 두모진해관을 설치하고 조선인 상인에게 관세를 수세하기 시작하였다. 일본...
    분야 :
    정치·경제·사회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 동아시아의 역사 History of East Asia, 東アジア史
    거절하였다. 이에 청은 병자호란을 일으켰고, 조선은 이에 굴복하고 말았다. 1644년에는 베이징을 지배하게 되면서 사실상 중국을 지배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영국이 이에 대해 크게 반발하여 1840년 아편 전쟁이 일어났다. 전쟁은 청나라의 패배로 끝나 1842년 난징조약이라는 불평등 조약을 체결하였고, 이어지는...
    도서 위키백과
  • 만국공법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万国公法
    졌다는 사실과, 전 세계 국가가 평등할 권리를 갖는다는 내용이었다. 이 내용은 사쓰마·조슈 등을 비롯한 메이지 유신 체제가 에도 막부가 체결한 불평등 조약을 계승하는 것에 반대하며 양이론자들을 설득하는 근거로 작용했다. 조선이 《만국공법》을 처음 인지한 것은 1876년 2월 12일이다. 당시 강화도 조약의 체결...
    도서 위키백과
  • 자유 민권 운동 Freedom and People's Rights Movement, 自由..
    파는 조선의 실패를 계기로 국력 강화론으로 경도되었다.민족문학사연구소 기초학문연구, 제도로서의 한국 근대문학과 탈식민성, 소명출판, 2008, isbn참고 쪽 1882년 이후 민권운동의 열기는 쇠퇴하고 있었다. 도시화에 따른 주요 지지층의 몰락 등이 원인이 되었다.참고 쪽 1890년 11월 제1회 총선 결과 의회는 번벌과...
    도서 위키백과
  • 메이지 시대 Meiji era, 明治
    있었다. 불평등 조약의 철폐를 지향하는 정부의 활동은 1880년대 "녹명관 외교(로쿠메이칸 외교)"가 상징적이다. 또, 메이지 정부는 국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외국인 초빙사"을 초청하였고, 그들은 서양 문명의 보급에 의한 일본의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일본의 산업 혁명이 메이지 시대에 일어났다. "외국인 초빙사"의...
    도서 위키백과
  • 일본 전관 거류지 日本 專管 居留地
    [제정 경위 및 목적] 메이지 정부의 성립 이후, 일본의 외교 목표는 서양 열강과의 불평등 조약을 개정하는 것과 조선에 세력을 확대하는 일이었다. 대마도에 허락되어 있던 왜관(倭館)에서의 무역을 메이지 정부가 장악하기 위해 조·일 양국이 회담하였으나 조선은 쉽게 응하지 않았고, 일본은 무력을 사용하여 새로운...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 이홍장 Li Hongzhang, 李鴻章
    해상 전쟁에서 패배하였고, 대만과 랴오둥반도를 일본에 할양하고, 조선의 독립을 인정하고, 새로운 조약 항구들을 개장하고, 일본에게 큰 배상금을 내고 불평등 조약들 아래 서양인들에 의하여 주장된 지금까지 이점의 전부를 일본에게 승인해야 했다. 이홍장은 개인적으로 평화 협상들을 여는 데 일본으로 여행을 떠나...
    도서 위키백과
  • 제너럴셔먼호 사건 General Sherman incident, ジェネラル・シャーマン号事件
    의하여 조선의 통상 개방 문제가 논의되고 있었다. 미국은, 제1차 아편 전쟁(1840~42년)의 여파로 힘을 잃은 청나라와 왕샤 조약(1844년 7월 3일)을 맺어 불평등한 통상을 개시하였다. 이 조약은 처음으로 아시아가 미국의 상인들에게 문을 여는 결과를 가져왔다. 같은 해에, 미국 의회는 조선의 문호 개방을 위한 안건...
    도서 위키백과
  • 19세기 19th century, 19世紀
    매슈 페리가 이끈 미국 해군 함대인 흑선의 등장 이후 미국과 불평등 조약인 가나가와 조약을 맺었고, 이후 메이지 유신으로 도쿠가와 막부가 붕괴된 이후...표방하고 일본 제국을 수립하였다. 한국의 역사에서 19세기는 조선의 순조부터 대한제국의 고종에 이르는 시기이다. 정조의 사망으로 1800년 순조가 11세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