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권국진가 송권국진가, 權國珍歌취하고 있다. 내용 제1수가 총 33구 231자로서 가장 길고 주된 작품이다. 1748년 동짓날 작자의 친구인 권국진(權國珍)이 찾아와 남쪽지방으로 떠난다고 작별을 고하자 지어준 시이다. 권국진은 원래 명문 사대부의 후손이었으나 당쟁으로 몰락하여 각 지방으로 행상을 다니는 인물인데, 작자는 궁한 신세에 처한 그에...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신광수
- 창작/발표시기 :
- 1748년
- 성격 :
- 한시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
-
셰익스피어의 후기극지배 아래 놓여 있던 요정(선)과 미개인의 해방 등을 통해 이 극은 로맨스의 세계를 완결짓고 현실로 돌아오는 듯이 보인다. "이 하찮은 인생이란 시작과 끝남이 모두 잠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라고 말하는 프로스페로의 토로는 다채로운 예술적 마법과 작별하고 막 은퇴하려는 작가의 심경으로 바꿔 읽을 수 있을 것...
-
근랑 近郎이듬해 봄·여름에 기근이 심하여 궁중의 사인(舍人)들까지도 나라의 창고를 털어 곡식을 훔쳐먹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근랑의 낭도(郎徒) 검군(劒君)만은 이러한 모의에 가담하지 않았다. 근랑은 이것 때문에 동료관리들에 의하여 암살될 것을 예견한 검군이 작별인사를 오자 만류하고 관에 알릴 것을 권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화랑
- 분야 :
- 역사/고대사
-
데이비드 먼로 David Munrow아버지와 장인어른을 잇달아 떠나보내는 슬픔을 겪어야 했다. 사랑하는 가족의 죽음을 감당하기가 어려웠던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 역시도 스스로 세상에 작별을 고하고 말았다. 1976년 5월 15일, 불과 서른넷의 젊은 나이로 데이비드 먼로는 안타까운 죽음을 맞았지만 오십여 장의 음반과 영상물, 그리고 진행하던...
- 분류 :
- 연주자>기악 연주자>관악 연주자
- 출생 :
- 1942년, 영국 버밍엄
- 사망 :
- 1976년
- 유형 :
- 리코더 연주자
- 레퍼토리 :
- 고음악(목관 악기)
-
석별가 惜別歌바삐 지내고 신행일이 되면 할 일도 많아서 시댁 어른들의 의복만들기 등 어려운 일을 하기도 한다. 또한 친구들과 이별놀이를 하기도 하고 친가를 떠날 때에는 가족들의 훈계와 위로와 작별 인사를 나누는 내용을 노래하고 있다. 이본에 따라서는 뒤에 시집살이 잘 하라는 소녀들의 답가가 이어지기도 한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규방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유헌유고 楡軒遺稿있다. 시는 주로 친구·문인들에게 주는 증봉시(贈奉詩)와 김창협(金昌協)·이식(李植) 등의 시를 차운한 것이 많으며, 남명학(南溟學)·이용(李榕) 등과 작별을 아쉬워하는 송별시도 있다. 「해인사」는 합천의 해인사를 두루 돌아보고 주변의 수려한 경관과 유구한 역사를 가진 문화를 감개무량하게 읊은 것이다...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한몽필
- 창작/발표시기 :
- 1808년(순조 8)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한약조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종사록 從仕錄1854년(철종 5) 6월까지 관리로서 봉사한 모든 사항을 날짜순으로 기록하였다. 내용 내용은 매일의 조회·숙사(肅謝 : 임금에게 임지로 떠나는 관리가 작별을 아뢰는 일과 받은 은혜에 감사하던 일)·입시(入侍)·종묘·단묘제향·단오제·인사전형(人事銓衡)·탄신경절(誕辰慶節), 그밖의 사항이 적혀 있다. 당시 관리...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서기순(徐箕淳)
- 창작/발표시기 :
- 1838년(헌종 4) 10월∼1854년(철종 5) 6월
- 성격 :
- 일지, 근무일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 도서관
-
선녀홍대설화 최치원거의 같으나 「선녀홍대」에는 등장인물들이 주고받은 시들이 거의 생략되어 있다. 또 작품 말미에 남녀 주인공들이 하룻밤을 동침하고 나서 이튿날 새벽에 작별한 뒤 최공이 다시 쌍녀분을 찾아가 지난 밤 일을 회상하며 장가(長歌)를 불렀고, 그 뒤 신라로 돌아와 명승지를 유람하다가 가야산 해인사에 숨어 버렸다는...
- 시대 :
- 고대/삼국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변응정 문숙(文淑), 邊應井싸움에 나서기에 앞서 동생에게 글을 보내 ‘주욕(主辱: 임금이 욕을 당함)에 신사(臣死: 신하로서 죽음이 마땅함)’라 하여 비장한 결의를 보이고 노모와 작별하는 뜻을 고하며 입던 옷과 머리카락·손톱을 함께 보내 죽은 뒤 이것으로 장례를 치르도록 당부하였다. 유성룡(柳成龍)의 징비록(懲毖錄)과 송시열(宋時烈...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57년(명종 12)
- 사망 :
- 1592년(선조 25)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임진왜란
- 직업 :
-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원주(原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