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율령박사 律令博士
    내용 율령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였다. 신라통일기에 들어와 당나라의 제도를 본뜬 율령정치(律令政治)가 강화됨에 따라서 율령의 제정 및 운영에 대한 전문가가 필요하였는데 율령박사는 율령전(律令典)에 소속되었다. 758년(경덕왕 17)에 2인이 늘어나고 뒤에는 6인을 두게 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처 :
    율령전
    분야 :
    교육/교육
  • 백금서당 白衿誓幢
    내용 통일기 왕경(王京)을 지키는 핵심적 군단(軍團)인 이른바 구서당(九誓幢)의 한 부대로 672년(문무왕 12)에 백제사람으로써 편성되었다. 소속 군관(軍官)으로서는 최고지휘관인 장군(將軍) 2인을 비롯하여 대관대감(大官大監) 4인, 대대감(隊大監) 5인(그 중 보병을 지휘하는 자가 2인, 기병을 지휘하는 자가 3인임...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성격 :
    군제, 군부대
    유형 :
    제도
    시행일 :
    672년(문무왕 12)
    분야 :
    역사/고대사
  • 준호구 準戶口
    개설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호적제도가 성립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신라통일기의 소위 '민정문서(民政文書)' 또는 '장적(帳籍)'은 호적대장에 준하는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에는 호적제도가 확립되었고, 그 원칙은 3년에 한차례 호적을 개수(改修)하는 것이었으며, 그 제도는 조선시대에 계속되었다. 내용 호적...
    유형 :
    개념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공연 孔烟
    자연가호(自然家戶) 또는 인(人)을 채우는 것이 공연편성의 방식이었고, 여기에서 공(孔)은 ‘쌓은’, ‘모은’, 또는 ‘큰’의 뜻을 갖는 것으로 보았다. 『신라촌락장적』에서 ‘합공연(合孔烟)’의 수치는 중하연(仲下烟)·하상연(下上烟)·하중연(下中烟)·하하연(下下烟) 등의 등급연(等級烟)과 삼년간중수좌내연...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장적(帳籍)에 기록한 호(戶)
    유형 :
    제도
    시행일 :
    신라시대
    시행처 :
    신라 조정
    분야 :
    역사/고대사
  • 음리화정 音里火停
    내용 통일기 때 각 지방의 주(州)에 두었던 십정(十停) 군단의 하나이다. 소재지는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으로서, 687년(신문왕 7)에 그곳에 사벌주(沙伐州)를 설치하고, 청효현(靑驍縣, 뒤 靑理縣으로 개칭)을 두었던 것을 감안하면, 사벌주를 관할하였던 군대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십정군단에는 중앙에서...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재매부인 財買夫人
    내용 삼국통일기 최고의 장군인 김유신(金庾信)의 부인, 또는 종녀(宗女)이다. 재매부인의 호칭은 김유신의 본가 택호인 재매정댁(財買井宅)에서 유래된 듯하다. 죽어서 청연(靑淵) 상곡(上谷)에 묻혔는데, 이로 말미암아 이 골짜기도 ‘재매곡’이라 이름하였다. 해마다 봄철이면 김씨집안의 모든 사녀(士女)들이 재매...
    시대 :
    고대/삼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귀족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전적비 기공비(紀功碑), 戰蹟碑
    옛싸움터 등에 세운 전몰위령비(戰歿慰靈碑)·전망비(戰亡碑)·전장기적비(戰場紀蹟碑) 등도 이에 속한다. 우리나라 역사상 고구려·백제·신라 삼국간의 세력다툼이나 삼국통일기의 내외간의 전쟁, 고려시대의 여진·거란·몽고의 침입 등 적지 않은 전쟁이 있었으나 현재 고려시대까지의 전적비는 전래하는 예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서예
  • 녹금서당 綠衿誓幢
    내용 일명 녹금당(綠衿幢)이라고도 한다. 통일기 왕경(王京)을 지키는 핵심적 군단인 이른바 구서당(九誓幢)의 한 부대로서, 본래의 신라 사람으로만 편성하였다. 『삼국사기』 직관지 무관조에 583년(진평왕 5)에 설치한 서당을 613년(진평왕 35)에 녹금서당으로 개칭하였다고 전하나 그대로 믿기 어렵고, 대체로 문무...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군제, 군대
    유형 :
    제도
    시행일 :
    583년(진평왕 5)
    분야 :
    역사/고대사
  • 경주 노서리 고분군 慶州 路西里 古墳群
    2군은 통일기의 돌방무덤으로 우총·쌍상총·마총이 여기에 속한다. 금관총은 1921년 우연히 유물이 발견되어 수습조사가 행해졌다. 출토된 다량의 금공예품에는 용문계 당초문(龍文系唐草文)이 주로 시문되었으며, 청동제 자루솥〔鐎斗〕에 장식된 파상인동문(波狀忍冬文)은 중국 대동(大同) 사마금룡(司馬金龍) 부부묘...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경주보문동부부총 慶州普門洞夫婦塚
    발굴되었다. 통일기 돌방무덤의 한 분포지역인 명활산군(明活山群)에 속하며, 명활산의 구릉 중턱에 있다. 부부합장으로 추정되는 쌍무덤[瓢形墳]으로 북동쪽에는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으로 된 부총(夫塚)이, 남서쪽에는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으로 된 부총(婦塚)이 한데 이루어져 있다. 부총(夫塚)은...
    시대 :
    고대/삼국
    건립시기 :
    신라시대 말기, 통일신라시대 초
    성격 :
    쌍무덤, 표형분
    유형 :
    유적
    면적 :
    길이 약 2.4m, 너비 약 1.3m, 구덩이 길이 약 5.4m, 구덩이 너비 약 3.6m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사자금당 師子衿幢
    내용 설치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그 전신은 6, 7세기를 통하여 크게 활약한 이른바 법당군단(法幢軍團)의 한 부대로 생각된다. 통일기에 왕도와 9주에 각각 일개 부대씩 배치되었다. ≪구당서≫ 신라전에 보이는 수도 위병(衛兵) 3,000인으로 편성된 사자대(獅子隊)가 바로 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닐까 생각되기도...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군부대
    유형 :
    제도
    시행일 :
    신라시대
    분야 :
    역사/고대사
  • 도품혜정 道品兮停
    내용 육기정(六畿停)의 하나이다. 삼국통일 전 신라는 수도 경주를 방위하기 위해서 그 외곽지대에 군대를 배치하였는데, ‘정(停)’이란 바로 군대주둔지를...관아량지정(官阿良支停) 등 모두 6개소가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삼국통일기에 들어와 이는 행정구역으로 개편되어 대체로 현(縣)과 같은 기능을...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군제, 지명, 군대
    유형 :
    제도
    시행일 :
    신라시대
    분야 :
    역사/고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