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라의 건국과 시조신화발견한 해변의 노모(老母)가 배를 정박시키고 그 안에 있는 함을 열자 탈해가 등장하였다. 이와는 조금 달리 《삼국유사》〈가락국기〉에는 탈해가 금관국 수로왕과 둔갑술로 경쟁을 하다가 패하여 신라 방면으로 달아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는 아마 가야 중심의 입장에서 탈해 신화를 서술한 때문으로 보인다...
-
5국시대의 개막되었고, 석탈해는 용성국에서 알을 깨고 태어났다. 그리고 김알지도 계림에서 알을 깨고 태어나 신라 김씨의 시조가 되었다. 가야국 또한 금관가야를 건국한 수로왕과 대가야를 건국한 이진아시왕이 알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이처럼 5국이 유사한 건국신화를 갖는 것은 같은 문화권에 속한 나라들이기 때문이다...
- 시대 :
- 기원전 3세기~기원후 5세기
-
-
만어산 萬魚山암설 사면 지형이다. 명칭 유래 '수많은 고기'인 만어(萬魚)라는 명칭은 암괴류의 바위들을 의미한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가락국을 세운 수로왕(首露王) 때, 동해의 수많은 물고기와 용들이 불법(佛法)에 감동하여 만어산으로 모여 들어 돌이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또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지명/자연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
-
김서현 金舒玄개설 김유신(金庾信)의 아버지이며, 금관가야의 시조인 수로왕의 11세손이다. 아버지는 신주군주(新州軍主)를 역임했던 김무력(金武力)이며, 아내는 입종갈문왕의 손녀인 만명부인(萬明夫人)으로서 김유신을 낳았다. 딸인 문희(文姬)는 태종무열왕의 비가 되었다. 만노군(萬弩郡: 지금의 충청북도 진천)의 태수를...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귀족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헌화가 獻花歌이를 일러 현빈(玄牝: 검은 암소)이라 한다.”고 하는 ‘검은 암소’로 보아 예사 늙은이가 아니고 신선이 분명하다고 하였다. 「헌화가」와 관계되는 수로부인은 성덕왕 때 강릉 태수로 부임해 가는 순정공의 부인으로 여러 번 신물에게 붙잡혀 갔었을 정도로 절세의 미녀였고, 그 자태는 사람들을 감동하게 하였다. 남...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