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의자 Uija of Baekje, 義慈王
    좌평 성충을 옥에 가둬버리기까지 한다. 옥사하기 직전 성충은 앞으로 반드시 큰 전쟁이 일어날 것이라며, “육로는 탄현에서, 수로는 기벌포에서” 막으라는 말을 에게 올렸지만 의자은 거부했다. 오히려 657년에는 서자 41명을 모두 좌평으로 임명하고 식읍을 내리는 만행을 저질렀다. 오늘날 이것은 귀족들이...
    도서 위키백과
  • 신라의 건국과 시조신화
    발견한 해변의 노모(老母)가 배를 정박시키고 그 안에 있는 함을 열자 탈해가 등장하였다. 이와는 조금 달리 《삼국유사》〈가락국기〉에는 탈해가 금관국 수로과 둔갑술로 경쟁을 하다가 패하여 신라 방면으로 달아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는 아마 가야 중심의 입장에서 탈해 신화를 서술한 때문으로 보인다...
  • 5국시대의 개막
    되었고, 석탈해는 용성국에서 알을 깨고 태어났다. 그리고 김알지도 계림에서 알을 깨고 태어나 신라 김씨의 시조가 되었다. 가야국 또한 금관가야를 건국한 수로과 대가야를 건국한 이진아시왕이 알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이처럼 5국이 유사한 건국신화를 갖는 것은 같은 문화권에 속한 나라들이기 때문이다...
    시대 :
    기원전 3세기~기원후 5세기
  • 거북 Tortoise
    비롯한 동아시아 일대에서 거북은 신령스러운 동물로 여겨졌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나오는〈구지가(龜旨歌)〉라는 노래에서 거북은 가락국의 시조인 수로을 드러내게 하는 동물로 나오며, 또한 〈삼국유사〉 수로부인조의 〈해가사(海歌詞)〉 내용에도 바다로 납치된 수로부인을 나오도록 하는 동물로 등장한다...
    분류 :
    척추동물 > 파충강 > 거북목
    원산지 :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호주)
    식성 :
    잡식
  • 압둘라 운하 King Abdullah Canal
    110 km에 걸쳐 물은 중력에 따라 아래로 흐르며, 남쪽의 고도는 -400 m이다. 1980년대 중반과 2000년대 초 두 번에 걸쳐 건설된 데이르 알라-암만 수로를 통해, 압둘라 운하에서 암만에 연간 음용수 9000만 m3가 공급된다. 압둘라 운하는 1957년 설계한 후 1959년 건설을 시작해, 1961년 1단계 건설이 완료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만어산 萬魚山
    암설 사면 지형이다. 명칭 유래 '수많은 고기'인 만어(萬魚)라는 명칭은 암괴류의 바위들을 의미한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가락국을 세운 수로(首露王) 때, 동해의 수많은 물고기와 용들이 불법(佛法)에 감동하여 만어산으로 모여 들어 돌이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또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지명/자연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제천의식 祭天儀式
    그에 대한 제사를 지냈을 것으로 보아 신라에도 제천의식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외에 가야에도 구체적으로 제천했다는 기록은 없지만, 시조인 수로 신화에 가야인들의 하늘숭배사상·노래·춤·주술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제천의식이 있었다고 여겨진다. 우리나라 고대의 건국신화는 그 시조들이 모두 하늘...
  • 관개 Irrigation, 灌漑
    아주 오래전부터 관개 시설을 만들어 농사에 이용하였다. 기원전 3,200년 경의 고대 도시 문명이었던 수메르의 인간탄생 설화에 이미 농사를 짓기 위해 수로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기원전 3,000년 경 고대 이집트에서 만들어진 유물 중에는 스콜피온이라는 이 운하 기공식을 하는 부조가 새겨진 철퇴머리(mace...
    도서 위키백과
  • 한국의 성씨
    같은 이성동본(異姓同本)도 있고, 이와는 달리 외형상 동성동본(同姓同本)이지만 실제 시조를 달리하는 성씨도 있다. 김해김씨는 신라 경순왕과 가야의 수로(首露王)으로 시조를 달리 삼고 있으며, 강릉최씨(江陵崔氏)는 최문한(崔文漢)을 시조로 하는 파와 최입지(崔立之)를 시조로 하는 파가 있다. 단성과 복성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성씨
  • 신어산
    수 있다. * 신어산의 유래 * 신어는 수로왕릉 정면에 새겨진 두 마리 물고기를 뜻한다. 가락국 초기에 세워진 고찰 은하사와 동림사가 있다. 은하사는 가락국 수로 때 장유화상이 창건한 사찰로 본디 이름은 서림사라고 했다. 대웅전의 수미단에 쌍어 문양이 있어 인도 아유타국과 관계가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참고...
    위치 :
    경상남도 김해시 신어산길 (삼방동)
  • 김서현 金舒玄
    개설 김유신(金庾信)의 아버지이며, 금관가야의 시조인 수로의 11세손이다. 아버지는 신주군주(新州軍主)를 역임했던 김무력(金武力)이며, 아내는 입종갈문왕의 손녀인 만명부인(萬明夫人)으로서 김유신을 낳았다. 딸인 문희(文姬)는 태종무열의 비가 되었다. 만노군(萬弩郡: 지금의 충청북도 진천)의 태수를...
    시대 :
    고대/삼국/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귀족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헌화가 獻花歌
    이를 일러 현빈(玄牝: 검은 암소)이라 한다.”고 하는 ‘검은 암소’로 보아 예사 늙은이가 아니고 신선이 분명하다고 하였다. 「헌화가」와 관계되는 수로부인은 성덕 때 강릉 태수로 부임해 가는 순정공의 부인으로 여러 번 신물에게 붙잡혀 갔었을 정도로 절세의 미녀였고, 그 자태는 사람들을 감동하게 하였다. 남...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수로왕
김수로왕과 왕비 영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