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악시단 東岳詩壇
    내용 지금의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 동국대학교 경내이다. 이에 관한 기록이 이안눌의 후손인 이석(李氵+奭) 의 『동강유고(桐江遺稿)』에 실려 있는 「동원기(東園記)」에 있다. 이에 의하면 이 곳에서 당시의 대표적인 시인들과 시를 짓고 풍악을 즐기면서 놀던 다락을 ‘시루(詩樓)’라 하였고, 그 단을 ‘시단’이라...
    시대 :
    조선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 동국대학교 경내
    성격 :
    친목단체, 문인회
    유형 :
    단체
    분야 :
    문학/한문학
  • 이동화 만근(萬根), 李東華
    위원, 1957년 민주혁신당 정치위원 및 정책위원장을 지냈고, 1958년 진보당사건에 연루되어 구속되었으나 1959년 무죄 방면되었다. 1959년 동국대학교 도서관장에, 1960년 동국대학교 교수에 취임하였다. 1961년 통일사회당 위원장이 되었으나 5 · 16군사쿠데타가 일어나며 혁신계 전면 엄단조치에 의해 1962년 구속...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계양산 봉일사 桂陽山 奉日寺
    내용 현재 봉일사(奉日寺)가 자리 잡은 곳은 원래 폐사지였다. 이곳에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와 관련된 인사들이 모여서 1960년대에 새롭게 절을 지은 후 사명을 봉일사라 하였다. 이 사찰은 동국대학교 교수 또는 총장을 지낸 인물들인 김동화(金東華)·황성기(黃晟起)·이선근(李宣根) 등이 주지를 역임하였다...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정채봉 丁埰琫
    김순희와의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다. 생애 조모의 슬하에서 성장하며 외로움을 글쓰기로 달래었다. 1966년 광양농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5년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78년 샘터사에 입사하여 작고할 때까지 기자, 편집부장, 기획실장, 이사 등을 지냈다. 대외적으로는 공연윤리위원회 심의위원...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한국불교학회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韓國佛敎學會
    연원 및 변천 한국불교학회는 1973년 7월 7일 동국대학교 본관 교수실에서 창립한 학술 단체다. 초대 회장으로 홍정식 교수가 선출되었다. 불교와 관련된 종교적 요소와 철학적 요소를 충분히 살려 학술 분야의 연구 · 조사 · 발표 및 보급을 기하고, 불교 사상의 이해와 교류의 증진을 지원하여 불교의 발전과 보편화...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쌍계암 묘법연화경 법화경, 雙溪庵 妙法蓮華經
    상태는 양호하며, 인출한 시기는 지질 등으로 보아 18~19세기로 추정된다. 서지사항 앞뒤의 표지 없이 내철되어 있는 7권 7책의 완본이다. 동일한 판본이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7권7책 전질〕과 국립중앙도서관〔권1,2,3,7 등 4권4책〕등에 전해진다. 이 두 소장본에 비해 『묘법연화경』은 권두에 변상도와 서문이...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동경잡기 東京雜記
    인물 관계의 문화적 내용의 비중이 크며, 시문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1845년의 목판본 『동경잡기』가 국립중앙도서관과 동국대학교 도서관, 장서각도서 등에 있고, 1913년의 조선광문회 활자본 『동경잡기』는 서울대학교 · 동국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국사편찬위원회 등에...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지리/인문지리
  • 한국시조학회 시조학회(時調學會), 韓國時調學會
    보존, 그리고 회원 간의 효율적인 연구활동과 그 의욕의 증진을 꾀하여 민족문화의 창달에 이바지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원 및 변천 1985년 4월 6일 동국대학교김동준 교수연구실에서 창립총회를 갖고 설립되었다. 발기인은 김동준·진동혁·박을수·김상선·서원섭·이태극·황희영·최진원·한춘섭·황순구·원용문...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찬욱 교수 연구실
    설립 :
    1985년 4월 6일
    성격 :
    학회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동준, 진동혁, 박을수, 김상선, 서원섭, 이태극, 황희영, 최진원, 한춘섭, 황순구, 원용문, 전규태, 임헌도, 구수영, 김종, 이승준, 양순필, 이영자, 신용대, 이종출
    분야 :
    문학/현대문학
  • 김은하 金殷夏
    내용 김은하는 1923년 7월 24일 인천시 남구 숭의동 209번지에서 출생하였고, 창영초등학교와 동산중학교를 졸업하고 1952년 동국대학교 법정대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1945년 해방 직후 우익계열 청년단체 ‘인천학생응원대’의 대장으로 활동하였다. 모스크바3상회의 이후 반탁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외...
    시대 :
    현대
    출생 :
    1923년 7월 24일
    사망 :
    2003년 4월 20일
    경력 :
    제6~11대 국회의원, 제11대 국회부의장
    유형 :
    인물
    직업 :
    정치인
    성별 :
    분야 :
    역사/현대사
  • 고익진 병고(丙古), 高翊晉
    탐구한 끝에 개안(開眼)하였고 병도 어느 정도 회복되었다. 이에 불교에 더욱 심취하던 중 본격적으로 불교학 연구에 뜻을 세우고 31세가 되던 1965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 다시 진학하였다. 그 뒤 1970년에 문학석사학위를 취득하고 1980년에 불교학과 교수로 취임하였으며 1986년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처럼...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한국불교전서 韓國佛敎全書
    불교관계 학술자료를 총 집대성한 서물(瑞物)이다. 편찬/발간 경위 한국 불교학계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던『한국불교전서』의 편찬 사업은 1970년 초부터 동국대학교 불교대학과 불교문화연구소가 자료수집에 들어가면서 시작되었다. 이들 자료를 토대로 1976년 12월 1일에 불교문화연구소에서는 먼저『한국불교찬술문헌...
    시대 :
    현대
    저작자 :
    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
    창작/발표시기 :
    1979∼2004년
    성격 :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4책
    간행/발행 :
    동국대출판부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수정암(충북)
    요양차 방문했을 때 복천암까지 오고 간 순행길인 편도 3.2km의 세조길이 조성되어 있다. 수정암터에서 9세기 통일신라시대의 석조여래좌상이 발견되었는데, 발견 당시 파손되었던 것을 동국대학교에서 복원해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http://www.beopjusa.org/ 참고문헌 https://encykorea.aks.ac.kr
    위치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속리산면)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7건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경주분교
동국대학교 건학 100주년 기념 - 낱장
동국대학교 건학 100주년 기념 - 전지
동악 선생 시단(동국대학교 교정 안)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
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박물관 전시실
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박물관 전시실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홍제중학교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중학교
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박물관
동국대학교 경주 한방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