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당당한 단군조선, 위대한 단군임금마한과 변한의 계음(契飮), 고구려의 동맹(東盟), 백제의 교천(郊天), 신라와 고려의 팔관회(八關會)와 같은 제천행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또 1909년 대종교에서 경축일로 정해 해마다 행사를 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음력 10월 3일을 개천절로 정해 중국으로 망명한 대종교와 합동으로 기렸지요. 그러다가 1949년...
-
단백교 檀百敎佛寺)라는 이름으로 교를 창립하였다. 1970년 12월 13일 정오에 내린 단군의 계시에 따라 1973년부터 교명을 ‘단백교’로 불렀다. 한때 대종교에 입교한다는 소문이 나돌아 대종교 본사에서 표창장까지 내린 적이 있었던 용화불사는 1980년대까지 태고종 사찰로 등록되어 있었으나 재산보호를 위한 명목이었을 뿐이며...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55년
- 성격 :
- 종교, 신종교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김판례(金判禮)
- 분야 :
- 종교·철학/신종교
-
김서종 설도, 金書鍾1893년 6월 13일 경상남도 함안군(咸安郡) 칠원면(漆原面) 구성리(龜城里)에서 태어났다. 호는 설도(雪島)이며, 종교는 대종교(大倧敎)이다. 만주로 이주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10년에 함안군 칠원면 구성리의 보흥학교(普興學校, 현 칠원초등학교(漆原初等學校))를 졸업하였고, 이후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
- 출생 :
- 1893년 6월 13일, 경상남도 함안(咸安)
- 사망 :
- 1943년 8월 27일
- 관련 사건 :
- 임오교변
- 주요활동 :
- 1922년 대종교 북일도본사 소속으로 활동, 1934년 대종교 하얼빈 선도회 총무, 경의원 참의, 총본사 전강, 1942년 천전건축주비회 부위원장을 맡아 민족의식을 고취함.
- 포상훈격 :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대종교
-
구변도설 九變圖說거듭 변화하는 과정을 알기 쉽게 그림으로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 도설에 따르면, 삼도를 잘 수행하여 하늘에서 부여받은 삼진을 회복하는 것이 대종교 수행의 궁극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서일의 구변도설은 현재도 대종교의 주요 경전들에 대한 해설에서 자주 원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서일
- 창작/발표시기 :
- 1921년
- 성격 :
- 교리서, 대종교교리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대종교
-
주문 呪文바에 대한 특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기본주문으로는 천도교의 시천주(侍天呪), 정역의 오음주(五音呪, 詠歌), 증산교단의 태을주(太乙呪), 대종교의 각사(覺辭), 각세도의 원각주(圓覺呪), 갱정유도의 해인경(海印經), 물법교단의 심전작정주(心田作井呪), 성덕도의 청심주(淸心呪), 금강대도의 보고(寶誥...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신종교
-
삼법회통 三法會通내용 대종교 교리에 따른 간결하고도 긴요한 수행 지침서이다. 원제는 ≪수진삼법회통 修眞三法會通≫이며, 한글로는 ‘세법모두틈’이라 한다. “성통공완(性通功完)하여 철인(哲人)의 경지에 이르는” 수행법이다. 저자는 ≪삼일신고 三一神誥≫의 진리훈(眞理訓)에 나오는 지감(止感)·조식(調息)·금촉(禁觸)의 이치...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윤세복(尹世復)
- 창작/발표시기 :
- 1952년
- 성격 :
- 대종교서, 지침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대종교
-
안호상 한뫼, 安浩相항일운동가 안효제(安孝濟)와 독립운동가이자 실업가인 안희제(安熙濟)의 뜻에 따라 신학문의 길을 걷게 되었다. 1919년서울로 올라와 중동중학을 다니면서 대종교에 입교하여 민족정신을 고취하고 민족의 사상을 연구하는 일에 뜻을 두었다. 1922년에는 상해에 가서 독일국립동제대학(獨逸國立同濟大學)에 재학중 김구...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02년
- 사망 :
- 1999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교육자, 민족사상연구가
- 대표작 :
- 한백성주의의 본바탕, 민주적 민족론, 단군과 화랑의 역사와 철학, 겨레역사6천년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대종교
- 본관 :
- 탐진(耽津)
-
-
조화사상 造化思想의 조물우주(造物宇宙)는 우주물리학에서의 팽창우주와 같으므로 우주 생성에 관한 원리는 ≪삼일신고≫의 말씀과 천문학의 연구와 일치하고 있다. 대종교의 생천설과 조물설은 한얼님이 하늘을 내놓고 만물을 있게 하는 신공성덕(神功聖德)을 나타내는 데 쓰는 두 가지 방법이다. 이것을 강조한 것이 대종교의 조화사상...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대종교
-
김좌진 백야(白冶), 金佐鎭받고 풀려났다. 이후 만주로 건너가 1919년 3 · 1운동이 일어나자 만주에서 독립운동가 38명과 함께 「대한독립선언서」를 발표하였다. 3 · 1운동 직후에는 대종교에서 창설한 대한정의단의 군사 책임자로 활동하였다. 그해 10월 대한정의단과 대한군정회를 통합하여 대한군정부를 조직하고 사령부의 사령관을 맡았다...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
강석기 순서, 姜錫箕시대의 변혁을 알려주었고, 이와는 별도로 자택에 광일의숙(光一義塾)을 세워 나이가 많은 학생을 모집하여 야학으로 운영하였다. 1909년 대종교의 중광(重光)과 더불어 대종교를 신봉한 이래 나철(羅喆, 1863~1916) 등과 교류하며 1911년 지교(知敎), 1915년 상교(尙敎) 및 총본사 총전리(總典理), 1916년 정교(正敎...
- 출생 :
- 1860년 6월 27일, 충청남도 부여
- 사망 :
- 1931년 2월 13일
- 관련 사건 :
- 3・1운동, 강철구 군자금 모집 사건
- 본관 :
- 진주(晉州)
- 주요활동 :
- 1906년 고향에 천영학교 등 건립, 1909년 대종교의 핵심적 인물로 활동, 1913년 중국 화룡현 청파호로 망명, 1914년 백두산에서 구국제천의식 거행, 1919년 3・1운동에 연루되어 용정 일본영사관에 체포, 회령감옥에 구금, 1920년 서울에서 대종교 남도본사를 재건, 국내 종단 활동, 1922년 9월 태평양회의에「군축회의에의 한국청원서」를 연명 제출, 그해 겨울 아들 강철구의 군자금 모집 사건으로 동대문경찰서에서 조사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