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최종수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공훈록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3권(1987년 발간)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507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1488면 관련 현충시설 정보 1 비석 3·1운동 기념비(임실군) 전라북도 임실군 2 탑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도서 위키백과
  • 정양성
    진주고등학교 졸업 1984년 : 단국대학교 행정학 학사 1987년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1984 ~ 1988 : 서울특별시 산업경제국 근무 1988 : 통상산업부 기획실 근무 2007 : 정보통신부 감사관 2008 ~ 2011 : 국가보훈처 보훈심사위원회 상임위원 2011 ~ 2013 : 국가보훈처 차장 1992년 : 대통령 표창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이병태 (1937년)
    공직자 정보 이병태(李炳台, 출생일 ~ 사망일)는 육군 중장으로 전역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었으며 대학 교수였다. 국가보훈처 처장 등을 거쳐 국방부 장관 직책을 지냈다. 육군 중장 예편 국가보훈처 처장 제31대 국방부 장관 제7대 한국야구위원회(KBO) 총재 제21대 국가안전기획부 부장 신한국당 당무위원 한양대학교...
    도서 위키백과
  • 심덕섭 (정치인)
    공직자 정보 심덕섭(沈德燮, 1963년 2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국가보훈처 차장(차관급)과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위원장(장관급)을 역임한 정무직 공무원이자 기초단체장이다. 현재 제48대 고창군수이다. 석곡국민학교 졸업 영선중학교 졸업 고창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학사 서울대학교 행정...
    도서 위키백과
  • 남자현 Nam Ja-hyeon, 南慈贤
    말을 남기고 정오 무렵에 순국하셨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1962년 3월 1일에 정부는 독립유공자 58명에게 건국공로훈장 복장을 수여했다 국가보훈처 차관을 지낸 김시복은 남자현의 손자이다. 남자현은 '여자 안중근'이라고 불린다. 남자현의 일생을 추적해 《나는 조선의 총구다》 제목의 저서를...
    도서 위키백과
  • 박종주
    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註·판결문(1930. 10. 18 광주지방법원) 판결문(1931. 6. 13 대구복심법원)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238면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분책 723면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9권 495·501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3권 264·1611∼1624·1633∼1654·1667∼1708면 조선일보(1930. 1...
    도서 위키백과
  • 강석기 (독립운동가)
    추서하였다. 그의 영향을 받은 둘째 아들 강철구, 조카인 강일, 야학운동을 한 강성모, 강일구, 강병국 등도 애국지사로 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친족인 강성구는 한국전쟁 당시 이북치하에서 부여군 인민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았다. 註·호석문집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8권 154·728·749·754·794·802면 -국가...
    도서 위키백과
  • 김양 (금융인)
    김양(金揚, 1953년 2월 24일 ~ )은 제27대 국가보훈처 처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전직 금융 기업인이었다.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1975년 2월 :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1980년 8월 :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외무행정학 전공) 1982년 8월 : 조지 워싱턴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국제관계학 전공...
    도서 위키백과
  • 이승화 (1876년)
    들어와 충청남도, 경상도, 경기도 등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됐다.서적 인용 같은 해 9월 20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실형을 언도받고 1년간 투옥됐다.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공훈록) 출옥 후 경북지역에서 항일운동을 하던 중 1917년 일제의 수배령 내려져 국내활동이 힘들어지자 다시 만주로 갔다.서적 인용 1919년...
    도서 위키백과
  • 안창관
    서울 탈환 작전, 도솔산 전투 등에서도 수훈을 세워 대한민국 해병대가 명성을 떨치는데 크게 기여하여 그 공을 인정받아 을지무공훈장을 수여하였고 국가보훈처에서 호국인물로 선정되었다. 안창관은 1966년 해병대 대령으로 전역한 후 1971년 타계하였다. 안창관은 안용운의 2남 5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초기 생애는...
    도서 위키백과
  • 이형국
    및 치안방해 혐의로 징역 7월형을 언도 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했다. 출옥 후 다시 만주로 건너가 부민단(扶民團) 및 한족회(韓族會)에서 활동했다.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공훈록) 1919년 백부 이상룡이 안동 임청각의 종손(宗孫) 임무를 대행해줄 것을 부탁하자 국내로 들어왔다. 그후 임청각 건물을 이용해 동흥...
    도서 위키백과
  • 필리핀 한국 원정군 Philippine Expeditionary Forces to Korea
    고지 부근의 공산군 진지를 점령하고 중공군의 역습을 격퇴하였다. 필리핀은 총 5개 대대와 7천여 명의 장병을 1950년부터 1955년까지 파병 지원하였다.국가보훈처,《자유의 수호신, 한국과 필리핀-필리핀군 6·25전쟁 참전사》,68쪽 참전부대 및 지휘관손규석·조성훈·김상원, 《6·25 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출처1건

멀티미디어4건

국가보훈처 청사
한상호(국가보훈처)
윤준희(국가보훈처)
김강(국가보훈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