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성기 韓成基내용 가야금산조의 명인. 본관은 청주(淸州). 전라남도 강진출생. 국가무형유산 판소리의 기능보유자 한농선(韓弄仙)이 그의 딸이다. 16세 때부터 김창조(金昌祖)에게서 산조를 배웠으며, 전라남도지방과 서울 등지에서 가야금 연주활동을 하며 제자들에게 전수시켰다. 1930년부터 1941년까지 일본 동경에서 거주하면서...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금강산 삼선암 金剛山 三仙巖내용 1983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입사장 보유자로 지정되었던 이학응(李鶴應)이 금입사(金入絲)로 금강산 삼선암을 표현한 작품이다. 1900년 충청남도 직산에서 출생한 이학응(李鶴應)은 1916년에 상경하여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19년 이왕직미술품제작소에 들어가 입사(入絲)와 서화...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현대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이창희 李昌熙1928년 별신굿 때 17세 소년으로 각시 역을 맡아 놀았다. 하회별신굿은 전승집단이 해체되어 단절의 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2000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하회별신굿 보유자로 지정된 임형규가 현지 생존자들을 수소문하고 불러모아 재결성하였다. 당시 이창희 명인은 「하회별신굿탈놀이」 전반을 소상히...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허종복 許宗福내용 경상남도 고성출신. 호는 고산(鼓山)이다. 1970년 7월 18일 고성오광대중 말뚝이 배역과 탈제작의 기능을 인정받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기예능보유자로 지정받았다. 1945년 경상남도 고성군의 동해 국민학교를 졸업했고, 1948년 마산 상업중학교를 졸업했으며, 또한 여러 해동안 한학을 수학했다...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허현도 許現道내용 경상남도 고성 출신. 1971년 10월 6일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기예능보유자로 지정받았다. 호는 설호(雪虎)이다. 고성오광대에서의 배역은 큰어미와 비비춤이다. 9세대부터 5년동안 한학을 수학하였으며 37세에 고성오광대에 입회하여 김창후에게 양반춤을, 홍성락에게 문둥 북춤과 큰어미 춤을 전수...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한영숙 벽사(碧史), 韓英淑공연에서 우리나라 고전무용의 아름다움을 과시하였으며, 1966년에는 무용생활 35년 기념공연을 하였다. 1969년에는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승무기예능보유자로, 1971년에는 학춤기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할아버지로부터 전수받은 승무 · 살풀이춤 · 태평무 등을 후학들에게 가르쳤고, 개인연구소에서의...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유기장 봉화유기장, 鍮器匠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놋쇠는 한자로 유(鍮)라 표기하지만 옛 기록에서는 유석(鍮石) · 유철(鍮鐵) · 황동(黃銅) · 주동(鑄銅) · 진유(眞鍮) · 두석(豆錫) · 주석(朱錫) · 향동(響銅) 및 청동(靑銅) 등 그 용어가 다양하다. 그만큼 놋쇠는 구리합금의 대표적인 금속으로, 주된 합금재료인 석(錫, Sn...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서초구 瑞草區가야금산조 및 병창은 1968년, 승무는 1969년, 피리정악 및 대취타는 1971년, 문배주는 1986년, 살풀이춤은 1990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또한 서울특별시의 무형유산으로 지정된 것들도 있다. 삼해주 제조는 방배동에 거주하는 권희자가 보유자이며, 1993년 2월 13일 지정되었다. 자수장은...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이주환 소남(韶南), 李珠煥배웠으며, 원래 전공은 피리였으나 특히 하규일(河圭一)에게 가곡 · 가사 · 시조를 배워 일가를 이루어 정부로부터 가곡 · 가사의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예능보유자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목은 타고나지 못하였으나 피나는 수련과 정진으로 대성한 가인이었다. 저서에 『가곡보(歌曲譜)』 · 『속 가곡보...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백동연죽장 白銅煙竹匠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백동을 두드려 펴고 땜질하여 백동죽을 만드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었으므로 이에 관한 세공솜씨가 뛰어났다. 따라서 순동이나 아연 합금의 놋쇠로는 담뱃대를 잘 만들지 않았다. 구리와 니켈 합금의 백동은 경도가 크고 녹슬지 않아 가공이 용이하고 완전히 냉각된...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김정연 金正淵내용 1971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서도소리 예능보유자였다. 평양 출신. 서도소리명창 죽사(竹史)의 아우이다. 9세에 개성으로 이사하여 정화학교를 다녔다. 1929년 이승창에게 가곡 · 가사를 배웠고 이장산(李獐山)으로부터 무용을 배웠다. 홍기청에게 가야금 · 양금을 배웠고, 김칠성(金七星)으로부터...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조선왕조 궁중음식 朝鮮王朝 宮中飮食진다. 이러한 궁궐의 음식은 조선왕조의 몰락과 함께 잊혀져가게 되었고, 근대 이후 급격한 정치적 · 사회적 변혁을 겪으면서 우리 고유의 식문화도 크게 변질되었으므로 조선시대 때 궁중에서 차려지던 음식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하여 우리 식문화의 전통성을 잇고 있다. 기능보유자는 황혜성(黃慧性)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물품
- 분야 :
- 생활/식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