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월평동산성 유성산성/월평산성, 月坪洞山城
    편이 수습되어 백제가 축조하였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2001년에 남벽 일부 구간과 고대지 일대가 발굴되었다. 역사적 변천 월평동산성이 위치한 곳은 백제의...奴斯只縣)이 있었던 곳이다. 그 때문에 월평동산성을 노사지현의 현성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또한 백제부흥군이 활동하였던 내사지성(內斯只城)으로 비정...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태평로2가 지하배수로
    다리꼴 단면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상류구간의 연장은 측량 결과, 약 87.6m로 확인되고 있으며, 내부의 규모는 가로폭 약 0.7m가량으로 추정되고 있다. 상류구간 종점에서부터 비굴착구간이 약 126m 확인되고 이후 약 33m의 흄관이 확인된다. 동 지점에서 관거 내 하수 수위가 높아 촬영이 불가능하여 현대식 관거로...
    도서 위키백과
  • 아차산성 장한성(長漢城), 阿且山城
    성벽 구간에 대한 보수 공사 과정에서 원성벽이 노출되어 1997년 국립문화재연구소(현, 국립문화유산연구원)가 이를 수습 발굴 조사했고, 이어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가 실측 조사를 진행하였다. 1999년에는 성벽의 구조 및 성의 축조 방식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대학교박물관이 시굴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시대 :
    고대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보간법과 외삽법이란?
    보간법[또는 내삽법(interpolation)]은 이미 알고 있는 몇 개의 함숫값을 기초로 그 점들 사이의 하나의 함숫값을 구하는 근사 계산법을 말하며, 외삽법(extrapolation)은 함숫값이 알려져 있는 점을 포함하는 구간 밖에서의 문제 값을 추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 두 가지 방법은 공학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 충주 남산성 마고성(麻姑城), 忠州 南山城
    전체 구간에 잘 남아 있는데, 조사 결과 외벽 기저부에서 일정한 높이까지는 편축으로 조성한 후 성벽의 중간 지점 이상부터는 내외 협축(夾築)의 방식으로 쌓은 것이 밝혀졌다. 남은 성벽의 상태로 볼 때, 높이 약 6~8m 정도로 성벽을 쌓은 것을 알 수 있다. 성벽 상면의 너비는 약 6.2~6.4m이며, 그곳에는 평여장(平女...
    시대 :
    고대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산청옥산리유적 山淸玉山里遺蹟
    79호분에서 출토된 금박샌드위치 유리옥은 백제지역에서 유입되었다고 추정되는데, 이 집단의 대외관계를 잘 보여주는 유물이다. 수혈식석곽묘는 평면 세장방형...다만 규모가 큰 유구에서는 환두대도와 철모·철촉 등이 출토되어 유구간의 계층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징 산청옥산리유적에서 확인된...
    성격 :
    생활유적
    유형 :
    유적
    소재지 :
    경상남도 산청군 산청읍 옥산리 답 626-15, 22, 648-3번지 일대
    분야 :
    역사/선사문화
  • 개성 만월대 유적 開城 滿月臺 遺蹟
    확인하였다. 또한, 제7차 조사 막바지에 금속활자 1점(嫥, ‘전일할 전’으로 추정)을 찾아내는 성과를 거두었다. 2018년 10월 22일부터 12월 10일까지 50일간 실시된 제8차 조사는 회경전과 장화전(長和殿) 사이 중심 건축군의 축대 구간을 대상으로 발굴 조사를 하였다. 발굴 구역은 서부 건축군과 중심 건축군에 걸쳐...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스튜던트의 t검정 Student's t-test
    개수와 추정하고자 하는 변수 개수의 차이(자유도), 둘째, 실험자가 옳은 가설을 기각하려는 의지(유의수준)에 따라 선택된다. 한 실험자가 평균 ω가 75인 모집단을 평균 x가 79, 표준편차 s가 10, 크기 n이 26인 표본으로 나타낼 수 있다고 가정하고 이를 검정하기 원한다고 하자. 공식 를 이용하면, 0.05의 유의수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수학
  • 영월삼옥리유적 영월 삼옥리 선사 및 역사시대 유적, 寧越三玉里遺蹟
    때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시기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철기시대 유적은 강안의 충적대지에서 주거지 6기와 수혈유구 3기, 고상...呂)자형(1 · 3 · 4 · 5호)과 방형(2 · 6호)으로 구별된다. 주거지 유구간 중복양상은 보이지 않고, 대략 6~7m의 간격을 두고 남-북의 선상으로 배치...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안동저전리유적 安東苧田里遺蹟
    안동저전리유적은 국도5호선(안동 서후-영주 평은) 확·포장구간 건설에 따라 2005~2008년까지 동양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청동기시대의...유구의 폭과 깊이는 지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최소 폭은 약 9m, 최대 폭은 15m 정도로 추정된다. 유구의 남서쪽 부분 가운데 폭이 급격하게 좁아지는...
    건립시기 :
    청동기시대
    성격 :
    생활유적
    유형 :
    유적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 424-2번지 일대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마장리계곡
    마장리계곡은 경기도 파주시 마장 2리에 위치한 곳으로 박달산 아래에 있다. 수원은 인근 산에서 흘러내리는 계곡물이라기보다 마장저수지로 추정된다. 문산천 구간으로 수영 금지구역이다. 수백 년 된 느티나무길이 운치 있게 자리 잡고 있다. 마장 2리 마을회관 이장을 중심으로 주민들이 주차장 등 편의를 제공하며...
    위치 :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심궁로246번길 13
  • 연천 호로고루 자미성(紫微城), 漣川 瓠蘆古壘
    호로고루에는 조선시대 중기까지 장단군의 치소(治所)가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호로고루는 1991년 문화재연구소(현, 국립문화유산연구원)가 실시한...확인되었다. 고토양층(古土壤層)인 지반을 평탄하게 조성하고 난 후 성벽 쌓을 구간을 1m 정도 높이로 판축해 쌓아올린 후 성벽의 중간부분도 판축으로 너비...
    시대 :
    고대/삼국/고구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