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플로어볼

다른 표기 언어 floorball

요약 하키를 변형하여 남녀노소 즐길 수 있도록 만든 팀 스포츠 경기. 일반 하키와 달리 실내 경기장에서 부드러운 재질의 공과 플라스틱으로 만든 스틱을 사용한다. 실내스포츠 종목이 발달한 스웨덴에서 1960년대 후반에 체계화된 스포츠의 기틀이 마련되었고 1970년대부터는 유럽 전역으로 급속하게 전파되었다. 1986년 국제플로어볼협회가 창립되면서 국제적인 스포츠로 발전했다.

플로어볼

ⓒ Angus Liang/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개요

주로 실내 경기장에서 경기하는 하키형 스포츠 종목. 1960년대 후반 스웨덴에서 스포츠 형태로 발전하여 북유럽과 유럽 여러 나라로 전파되었다. 플라스틱제 스틱과 공을 사용하며, 정해진 시간에 넣는 골의 차이로 승패를 겨룬다. 1986년 스웨덴·핀란드·스위스가 주도하여 국제플로어볼협회가 창립되었으며, 이후 전 세계 80여개 국으로 전파되어 국제적인 스포츠로 발전했다. 플로어볼은 나라와 언어권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핀란드에서는 '살리밴디(salibandy, 홀 밴디),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는 '인밴디(innebandy, 실내 밴디), 스위스와 아일랜드에서는 유니하키(unihockey, 단순형 하키)' 등이라고도 불리는데, 명칭에서도 이 종목의 원형을 유추할 수 있다.

역사

플로어볼은 필드하키(field hockey)와 아이스하키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밴디(bandy)에서 기원한 스포츠이다. 필드하키는 2천 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오랜 스포츠로, 1887년 영국에서 근대 스포츠 경기 규칙이 제정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밴디는 19세기 중반 영국·네덜란드·러시아 등에서 초기 형태가 시작되었으며, 1860년대 들어 캐나다와 북유럽으로 전파되었고, 1882년에 영국에서 근대적인 규칙이 처음 제정되어 인근 나라에 전파되었다.

플로어볼은 필드하키나 아이스하키가 발달한 북아메리카와 북유럽에서 장난감이나 실내용으로 출시된 플라스틱제 스틱과 공에서 그 원형을 찾을 수 있는데,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점차 스포츠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다. 한편 밴디가 성행했던 스웨덴에서는 밴디를 대체할 실내 스포츠 종목으로 플로어볼에 주목하고, 이를 근대스포츠로 발전시키기 시작했으며 1970년대 말에 이르러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공식적인 스포츠로 발돋움했다.

1986년 스웨덴·핀란드·스위스가 주도하여 국제플로어볼협회(IFF)를 창립했으며, 이후 여러 나라에도 국가 협회가 설립되기 시작했다. 1986년에는 핀란드, 1996년에는 스웨덴에서 플로어볼 리그가 결성되었으며, 1996년에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최초의 세계선수권대회가 개최되었다. 2008년에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공인을 받았으며, 2011년에는 IOC 총회에서 정식 경기종목으로 승인하고 IFF가 국제공인스포츠협회(ARISF)에 가입했다. 2015년에는 동남아시안게임에도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경기장과 경기용구

국제대회 경기장의 규격은 20m x 40m, 국내 일반부/대학부 대회 경기장의 규격은 36m X 18m, 국내 초중고 대회 경기장의 규격은 28m X 16m~34m X 17m 이며, 링크 라인을 따라 50cm높이의 보드로 둘러싸여 있어야 한다. 정식 경기용 골대는 160cm(높이) × 115cm(너 비)×60cm(깊이)이며, 초등부 경기용의 경우에는 112cm × 137cm × 60cm이다. 골키퍼가 없는 간이 게임에서는 미니 골대(60cm × 90cm)를 사용하기도 한다. 경기 용구는 플라스틱으로 된 스틱, 공, 골대 및 골키퍼 장비로 이루어진다. 골키퍼의 헬멧과 유니폼, 무릎보호대는 의무적으로 착용해야 한다. 초등부와 중등부의 경우 필드 선수도 스포츠용 고글을 필수적으로 착용해야 한다.

경기 방식

경기 방법은 두 팀간의 시합 형태로 한 팀당 필드선수 5명과 골키퍼 1명이 참여한다. 국제 대회의 정식 경기 시간은 3피리어드가 각각 20분씩 이루어지고, 각 피리어드 중간에 10분간 두 번 휴식을 취한다. 국내 일반부/대학부 경기에는 전·후반의 두 피리어드로 나눠 20분씩 진행되며 휴식시간은 5분이다. 초중고부 대회는 10~20분씩 2피리어드로 진행되며 휴식시간은 3~5분이고 대회마다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플로어볼에서는 필드선수 5명이 전원 공격이나 수비 형태로 경기를 진행하며, 선수 교체의 제한은 없다. 공의 모든 부분이 골라인을 통과했을 때 득점이 인정되며, 득점의 경우에는 중앙의 페이스오프 지점에서 재개한다. 다만 슛한 공에 공격쪽 선수의 의도적인 움직임으로 몸에 맞고 골라인을 통과했거나 공이 무릎 위 이상의 높이에서 스틱에 샤프트에 맞고 들어갔을 때에는 득점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작전 타임은 30초이며 경기당 1회만 사용할 수 있다.

한국

한국에는 2004년 도입되어 같은 해 대한플로어볼협회가 설립되었고, 신안산대학교와 춘천강원대학교에서 클럽팀이 창설되었다. 그해 말 공식 대회가 개최되었고, 2005년 남자부 국가대표팀이 싱가포르 아시아선수권대회에 출전했다. 이후 각급 대학과 사회체육시설을 통해 확산되었다. 2012년에는 교육부 전국학교스포츠클럽대회 정식 종목으로, 2013년에는 전국장애학생체전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매년 초중고 학생대회와 대학, 일반부 대회, 장애인 대회 등 10여 개 대회가 교육부, 대한장애인체육회, 대한플로어볼협회 등의 주관으로 개최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플로어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