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정악과 민요·무가에 함께 쓰이는 장단.
영산회상·삼현육각·행악 등의 정악과 민요·무가 등의 민속악에 두루 쓰인다. 정악은 평민들이 즐기던 민속악에 대비되는 귀족적인 음악으로 고상하고 바르고 좋은 음악이란 뜻이 담겨 있다. 타령장단을 구음으로 표시하면 덩--기덕-덕쿵-기덕--덕으로 굿거리·중중모리·자진모리와 유사한 12/8박자 계열의 장단이다. 타령 외에 정악에 쓰이는 장단에는 도드리장단, 가곡장단, 시조장단 등이 있다. 이 장단들은 민속악에 쓰이는 장단에 비해 많이 느리고 장중한 느낌을 준다. 행악의 ‘길타령’ ‘별우조타령’ ‘군악’ 등에 타령장단이 쓰인다. 타령장단은 정악에 쓰일 때는 늦타령이라 하여 느리게 연주하며, 굿춤·탈춤·줄타기 등의 반주로 쓰일 때는 자진타령 또는 볶는타령이라 하여 빠르게 연주한다. 타령장단을 쓰는 민요로 <군밤타령>, <경복궁타령>, <자진방아타령>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