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특정 개인이나 소집단이 독단적으로 국정을 지배, 통치하는 체제.
현대의 독재자들은 국가 위기 때 통치권을 장악, 정치권력을 독단적이고 전제적이며 항구적인 지배체제를 구축하는 데 사용했다. 권력유지를 위해 강제력과 기만행위로 사회공동체를 통제, 권력유지를 위해 협박이나 테러가 수반됐다. 공산주의체제 성립 과도기적 단계에 나타난 프롤레타리아는 계급구조의 토대를 이루는 사회적 생산관계를 파괴하며, 계급없는 사회건설이 목적이었으나 한 정당 독재체제로 변질되었다. 북한 1당 독재 체제, 수령지배체제도 그 한 예이다. 모든 정권기관이나 정치조직은 수령과 당의 영도 아래 사업해야 하며, 수령·당·계급·대중이 하나의 전일체를 이루고 있는 당은 최고 형태의 혁명참모부이자 향도적인 영도 역량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정치
정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