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평등 사회

다른 표기 언어

요약 개인과 개인 사이, 집단과 집단 사이에 차별이 없는 사회.

인간은 원래 자유롭고 평등한 존재로 태어났다는 이른바 자연적 평등의 관념은 17, 18세기의 사회계약론자들이 주장했다. 시민계급은 이 사상을 무기삼아 신분제적·봉건적 지배질서 밑에 있던 절대왕정에서 자유·평등한 각 개인의 동의와 계약에 의해 이루어진 민주정부를 수립했다. 이것이 곧 근대국가의 기원이다. 근대국가의 성립과 동시에 문제가 된 것은 정치적 평등과 재산의 평등이었다. 정치적 평등문제는 제2차 세계대전 후 남녀 보통평등선거권이 대부분의 나라에서 실시됨으로써 비로소 해결을 보았다. 재산의 평등은 19세기말 이래 사회보장·사회복지의 확충이라는 형태로 구체화되었다. 여기에서는 자유경제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소득의 재분배정책에 의해 부의 불평등에 대한 시정책이 취해지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평등 사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