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일반 가계가 느끼는 경기 및 소비 상황에 대한 인식을 수치화한 것.
경기나 소비 등에 대한 각 질문에 아주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에는 1.0 가중치를, 약간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에는 0.5 가중치를 부여하고 반대의 대답에는 마이너스 가중치를 부여한다. 수치를 각각 더한 후 전체 응답자 수로 나눈 백분비를 구하면 소비자동향지수가 산출된다. 이 지수는 한국은행이 매 분기마다 조사하여 발표하는데, 그 값은 0~200의 수치로 나타낸다.
100을 초과하면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가구가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한 가구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투자와 생산 전망을 나타내는 기업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BIS)가 생산자들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소비자동향지수는 경제 주체의 하나인 소비자가 피부로 느끼는 소비·물가·고용 등에 대해 현재 상황과 전망 등을 담고 있어 국민경제 전반의 수준을 판단하고 예측하는 데 유용한 정보가 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경제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